비움 - 14명의 삶에서 배우는 인생의 지혜
미하엘 코르트 지음, 이승은 옮김 / 21세기북스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채우고자 한다면 먼저 비워라!"

쉽지 않다. 잠자는 시간조차 끊임없이 생각하고 기억하는데 아니 잠들기직전까지 내일은 무엇을 할 것인가 코 앞의 일이나 더 멀게는 한달뒤 1년뒤 10년뒤의 일을 걱정하기도 한다. 걱정한다고 새롭게 바뀌는것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생각하는 것을 도대체 멈출수가 없다. 누군가 멈춰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만약 그렇게 된다면 '나'가 아닌 삶을 살게 될 것이며 죽어있는 삶이 아닐까. 요즘들어 명상의 시간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것도 요원한 일이다. 요가시간 명상할때도 나는 그곳에 있지 않고 이미 다른 곳을 주유하고 있으니까.

"우리가 추구하는 행복을 위한 기본조건은 무엇일까?"라고 저자는 질문을 던진다. 나는 깊게 생각할 것도 없이 아마 '돈'과 '건강'이라고 대답하지 않았을까. 뭐 타인에게 그럴듯한 대답을 한다면 아마 '자기만족과 여유로움'이라고 덧붙여 말할 것이다. 억만금의 재산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이것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면 불행할 것이고 당장 먹을 끼니만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 이것도 대단히 감사할 일이라고 축복받았다고 생각한다면 "난 행복한 사람"이라고 말할 것이다. 요는 마음가짐이 아닐까. 마음의 채워짐과 비움 아마 이것이 이 책이 던지는 화두일 것이다.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비움'이 행복을 위한 기본조건이라고 하니까. 

쇠와 강철 왕국의 제왕이던 아버지에게 받은 막대한 유산을 홀가분하게 살고 싶어서 모두 나눠주고 견실한 직업기술을 배우고 초등학교 교사가 되고 급기야는 아일랜드의 서해안 오두막집에서 감자와 물, 빵을 먹으며 생활하는 비트겐슈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가? 아마 미친짓이라고 손가락질 할 것이다. 그러나 그는 아주 평온한 모습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 책에 등장하는 14명의 삶에서 배우는 인생의 지혜는 무엇일까. 영혼의 채워짐 그러나 마음속 물욕의 비움일 것이다. 내가 가진 소유욕이 날 불행하게 만들고 남들과 비교하는 삶이 날 옥죄어 오는 사슬과 같음을 알면서도 인간의 욕망이란 손안에서 툴툴 쉽게 털어낼 수 있는게 아니다. 아마 그래서 이런류의 책들이 세상에 나와 "부족함이란 처음부터 없었지 않냐"고 이야기 하는 것이리라. 

많은 것을 가지기 위해 움켜쥐려 하면 영혼을 위한 자리는 손안에 쥘수가 없다. 내가 가진 모든것을 버리는 삶을 살라고 강요하는 책이 아니다. 내가 가진것이 보잘것 없어도 행복해지기 위해선 더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다. 건강한 몸이 있고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있으며 배고프면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이 있고 마음이 아플때 슬플때 마음을 나눌 가족들이 있으며 쉴 수 있는 비바람을 막아주는 집이 있으니 나는 행복하지 아니한가. 평범한 삶을 살아간 사람들이 아닌 정말 특별한 삶을 살았지만 행복을 위해 어떤 행동을 했는지 읽게 되므로써 많은 것을 가졌음에 감사하며 읽게 된 책이었다. 채우라고 이야기 하는 책들은 많으나 비움이 먼저라고, 채우고자 한다면 먼저 비우기를 원하는 책은 처음 접하는 것 같다. 비우고 싶은가. 그럼 이 책을 읽기 바란다. 물론 난 온전히 비우지 못했다. 하지만 채우기 위한 자리를 마련하는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