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림 1 (1부 1권) - 왕도(王道), 하늘에 이르는 길
최인호 지음 / 열림원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가기를 무척이나 소원하는 나는 우리나라의 산천 여기저기 발자국을 남기지 못한 곳이 많다. "심신이 지쳐있다며 여행가고 싶다"를 외쳐 부르지만 막상 떠나려고 하면 갈 곳을 정하지 못한채 여행사가 이끄는대로 테마여행을 다닌 것이 전부였다. 그래서일까. '조광조'의 유적을 찾아 떠나는 작가의 여정에 난 심히 부끄러워진다. 문화재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라 해 보았자 그저 학창시절 수학여행으로 여러군데 돌아다닌 것뿐 스스로 '가야겠다' 생각을 하여 찾아나선 적은 없으니 말이다. 문화재 탐방을 떠난다고 해도 지식이 전무하여 과연 제대로 보고 올수 있을지 모르지만. 이렇듯 저자와 함께 '조광조'의 자취를 찾아다님은 왠지 나도 '조광조'의 모습을 직접 대면한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며 그 세계로 빠져들게 한다.  

'적려유허비'

능주로 귀양 가서 죽은 조광조를 기념하는 비가 세워져 있는 곳이다. 5백 년 전의 일이지만 그 흔적을 찾기 위해 저자의 발걸음을 바삐 쫓아 가면서 듣게 되는 그는 실패한 정치개혁자가 아닌 올곧은 선비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는 '조광조' 과연 이상은 높았으나 행동이 지나치게 성급하였던 것일까. 그러나 이처럼 목숨을 내 놓고 체제 개혁을 단행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 것인가. 조광조의 정치철학이 실패했다고 도덕주의에서 출발하는 그의 정신마저 사장시키기엔 그 죽음이 너무나 처연하다.  

지조있고 의로운 모습, 재물을 탐하지 않고 은둔하여 학문에만 정진하는 모습이 우리들이 생각하는 선비의 모습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자면 조광조는 정치에 입문하여 세상에 발을 내딛였으니 선비의 정신이 탁해졌다며 손가락질 하는 무리들도 있겠으나 탁한 물에서 그 시류에 섞이지 않고 곧은 정치를 펼 수 있다면 이또한 세상에 태어나 큰뜻을 품고 세상에 나아갈 수도 있지 않겠는가. 하지만 중종의 마음을 얻을 수 없었던 그는 4년여만에 사약을 받는다. 이렇게 짧은 기간밖에 뜻을 펼칠 수 없음을 알았다면 그래도 중종을 도와 체제 변화를 꾀했을 것인가? 죽은 사람에게 대답을 들을 순 없지만 그의 개혁정신을 보건대 아마 '그렇다'일 것이다. 짧은 기간 많은 것을 변화시키려 무리한 행보를 했을수도 있겠지만 어쩌면 세상을 잘못 태어나 그의 이상을 펼칠 수 없었음에 통탄할 일이니 지금 그가 있다면 많은 업적을 남기며 존경받는 정치가가 되어 있을지도 모르겠다.  

당파싸움으로 의로운 사람들이 뜻을 펴지 못하고 희생당하던 그 시절. 지금도 그 못지 않게 밥그릇 싸움을 하는 정치상황을 보고 있노라면 지금이 춘추전국시대가 아닌가 하는 작가의 의견에 동감하게 된다. 왜 이렇듯 역사는 돌고 도는 것일까. 그 밑에 숨죽이고 있는 민초들만 불쌍할 뿐이다. 먹고 살 걱정에 허리 펼 시간조차 없는 그들이니 그 누가있어 따뜻하게 어루만져 줄것인가. 하루가 다르게 뻗어 올라가는 빌딩들. 황폐한 황무지 사막같은 이곳에 놓여 숨쉬기조차 곤란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우리의 모습은 빌딩들에 갇힌 '조광조'의 유적들과 별반 다를바 없는 신세여서 올곧고 강직한 모습을 한 그가 그리워진다.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당당한 모습, 공자의 사상으로 낡은 정치를 개혁하고자 하였던 선각자, 공자의 사상을 현실정치에 접목시키려고 애쓴 그를 실패한 정치개혁자라 부를 수 있을까. 눈 내리는 날이 오면 그가 마지막 떠나던 날 모습이 생각나 마음이 울적하여 술 한잔 기울이고 싶은 겨울날이 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