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가계부
제윤경 지음 / Tb(티비)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고정관념이란 것은 약에 쓸래야 쓸데가 없다. 그저 걸림돌이 될 뿐인 듯 하다. '가계부를 여자가 써야한다'고 누가 그랬나 말한 사람도 없는데 난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었는지 모르겠다. 결혼하고 가계부란걸 써 보겠다고 달려들어 보았지만 도대체가 수입과 지출이 맞지 않아 답답한 마음에 집어 던진 것이 한두번이 아니다. 그래서 남편에게 가계부를 떠 넘겨 볼 요량으로 권유한적은 있지만 별반 기대하지 않았기에 '남자가 가계부를? 아니지' 하며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들을 지워버렸기에 "아버지의 가계부"는 나의 생각이 짧았음을 지적해줌과 동시에 나의 고정관념을 여지없이 깨 버린 책이었다.  

"물려받은 재산이나 로또 당첨 없는 내가 진짜 부자가 된다" 참 솔깃하는 말이다. 재테크 관련책을 읽다 보면 재테크에 대해 문외한에 이쪽에 발조차 내밀지 않은 나를 참으로 부끄럽게 만들었었다. 전업주부이지만 화려하게 재테크를 해서 집안 살림을 반들반들 윤이나게 하는 사람들은 분명 내가 고개를 들고 쳐다볼 엄두조차 못내는 별 세계의 사람들이었다. 남편이 주식에 손을 대고 있지만 불안한 마음에 어서 정리해 주길 바라는 내게 이 책은 내가 할 수 있는 분야를 계획적으로 미래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고 있었다.   

하늘, 광수, 문식, 재벌 이 4명의 친구들이 마흔살의 문턱에서 인생을 다시 돌아보는 시간은 나에게도 끔찍하게 생각되는 시간들이다. 아직 30대 초반이긴 하지만 아이를 낳고 양육하는 문제에 노후자금까지 마련하려면 이들처럼 가슴 서늘해지고 머리가 아파오기 시작한다. 거기다 아직 집 장만도 못했으니 상황은 좋지가 않다. 얼마전 종신보험에 가입하면서 재무설계를 받아보았는데 대체 언제까지 돈을 벌어야 하는지 남편의 정년퇴직 시기는 멀지 않고 눈앞이 캄캄해져 왔었다. 하지만 아끼고 저축하면 된다고 애써 자위하며 마음을 진정시켜 왔었다. 그러나 이젠 정면으로 맞서야 할 때가 왔다. "이렇게 집에만 있어도 될까? 맞벌이 해야하는거 아닐까?" 한가한 시간이면 늘 이런 생각들이 나의 머릿속을 헤집곤 한다. 아직은 돈을 벌수 있음에도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는 것이 아닌지. 뻔한 살림에 지출목록 다 알고 있다고 대충 가계부를 써 왔는데 이것 또한 문제가 심각한 것 같다.   

난 이 4명중 어떤 부부 유형일까 생각해 보았다. 어쩌면 하늘 부부처럼 사는 게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나는 전업주부로 돈을 벌지 않으니 이들 부부보다 처지가 나은건 아니다. 하지만 가계부를 쓰고 미래 여유자금을 지금 당겨쓰지 않고 충동구매 없이 알뜰하게 살 수 있다면 그리 갑갑한 상황은 아닐 것이다. 물론 지금의 나의 모습은 아껴 쓴다고 하지만 여전히 신용카드는 쓰고 있고 흔히들 들고 다니는 체크카드 사용도 하지 않고 그저 예산없이 대충 돈을 들고 장을 보러 가는건 다반사에 물건을 살 때 이리저리 비교하지 않고 그냥 막 사는 내 모습은 아직은 절약한다고 남에게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서 나 자신과 마주보고 설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 희망적인 미래를 꿈 꿔 볼 수 있는 시간들이었다. 어쩌면 남편에게 넘겨주기 싫은 고유권한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이제부턴 가족이 함께 쓰는 가계부를 만들어 가야겠다. 남편이 어찌 받아들일지. 조용히 이 책을 권한다고 읽진 않을텐데 과연 내가 조리있게 잘 설득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아마 우리집은 가계부를 쓰기 이전에 "가계부는 여자가 쓴다"는 고정관념부터 부셔버려야 할 것 같다.  

분명 이 시대를 살아가는 아버지의 모습은 힘 없고 약해보이는 모습이지만 '하늘'의 아버지가 가족을 위해 쓴 가계부를 보고 있노라면 가족들을 사랑하는 아버지의 마음이 느껴진다. 나도 나이 들어 자녀에게 나의 가계부를 물려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시작이 반이라고 하지 않나. 이제부터 노력하여 저축할 돈이 없다고 생각하며 늘 돈을 쫓아 다니며 사는 것이 아닌 돈에 휘둘리지 않는 삶, 행복한 삶을 설계하여 나의 마흔살은 여유롭게 맞이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