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아, 아빠가 잠시 잊고 있었단다 - 늘 바쁜 아빠가 가슴으로 쓰는 편지
윌리엄 란드 리빙스턴 원작, 코하세 코헤이 글, 후쿠다 이와오 그림, 이홍렬 옮김 / 깊은책속옹달샘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아마 아이들에게 최고 곤란한 질문이 "아빠가 좋아? 엄마가 좋아?"일꺼에요. 그만큼 자신의 존재감이 아이에게 어느 정도일까 궁금해서 하는 질문이겠지만 그래도 "엄마가 좋다"는 답변이 조금 많을 것으로 생각되네여. 대답하기 곤란할 것을 알면서도 내 아이에게 난 어떤 존재일까 마음속에 자리하는 공간이 어느정도 될까 궁금해서 자주 질문을 던지게 되는듯 합니다. 요즘들어 아버지에 대한 책을 많이 읽게 되네요. 살갑게 지내온 세월이 많지 않아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든든한 큰산처럼 바람막이가 되어 주고 계시다는 생각은 늘 가지고 살았었는데 책을 통해 생각해 본 아버지의 자리가 내 마음속에 얼마만큼의 집을 짓고 사셨는지 명확히 답변을 할 수가 없답니다.  

저에게 이런 질문을 한다면 냉정하지만 "엄마가 좋아"라고 대답을 할 겁니다. 이제는 친구같이 지내는 엄마가 어린시절 강단있게 자식을 훈육하셨던 모습보다 더 좋아지고 있답니다. 아이에게 아버지란 어떤 존재일까요? 요즘은 젊은 아빠들이 아이와 눈높이를 맞추어 같이 놀아주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됩니다. 제가 어린시절엔 상상도 할 수 없는 모습이에여. 책에서처럼 "똑바로 걸어라, 밥 먹을때 조용히 먹어라, 흘리지 마라, 쩝쩝 소리내지마라, 옷이 왜 이모양이냐, 저 친구랑 놀지마라, 일찍 자라, 티비 그만봐라" 늘 무섭게 다가오는 아버지의 모습이 어린시절 제가 기억하는 아버지랍니다. 반듯하게 자라길 바라셔서 그렇게 혹독하게 잔소리하고 꾸짖을셨을지 몰라도 그게 왜그렇게 무섭고 슬프게만 생각되던지 지금도 아버지는 가까이 하기엔 먼 존재입니다.  

아버지란 무섭게 아이들을 훈육해야한다고 법전에 씌여있는 것도 아닐텐데 어찌 그리 거리를 두려고 하셨는지 나이 들어 힘없는 아버지의 모습이 마음 아프기도 하지만 어린시절의 잔상이 남아있어 선뜻 다가가지도 못하겠네여. 아마 전 책속의 아이처럼 늘 아버지한테 혼나지만 아버지니까 밝은 얼굴로 품에 안기어 "아빠. 안녕히 주무세요."라는 말을 못해서 멀어진 거리의 공백을 채울수가 없나 봅니다. 버릇없이 보인다고 '아빠'라고 부르는것도 금지당하고 '아버지'라 부르면서 컸던 어린시절이라 '아빠'라고 부를 수 있는 이 아이가 참 부러워 지기도 합니다.  

가벼운 포옹이지만 화해의 몸짓으로 다가온 아들. 이 몸짓이 아버지의 단단한 마음의 벽을 일시에 허물어 뜨렸겠지요. "아버지 사랑합니다." 이 말 한마디면 될 것을 이 말이 뭐라고 그렇게 하기 힘든 것인지 왜 좀더 내가 순수하지 못했었는지 가슴만 치게 됩니다. 난 부모가 되면 아버지처럼 되지 않겠다는 말을 늘 마음에 꼭꼭 담아두고 살아왔어요. 하지만 세월이 흘러갈 수록 내가 태어났을때 아버지 나이만큼을 지금 먹고 보니 사랑하지 않는게 아니라 표현을 하지 않으셨다는 것을 표현하는 방법을 몰라서 하지 못하셨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되네여. 잠든 아이의 얼굴을 바라보며 "너를 사랑하지 않아서는 아니었단다"라고 독백하는 장면이 그래서 눈물이 되어 제 가슴을 적셔옵니다.  

아빠다운 아빠, 진짜 아빠란 어떤 아빠일까요? 괴로운 일도 기쁜 일도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아빠의 모습도 좋은 아빠이지만 자식이 가는 길에 묵묵히 잘되기를 빌어주는 모습도 표현하지 않으셔도 좋은 아빠의 모습일 겁니다. 아이가 있는 부모가 이 책을 읽으면 자식에게 더 잘해주지 못한 것이 생각나서 마음이 아프겠지요. 전 아이의 입장이 되어 부모님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답니다. 표현하지 않는다고 좋은 아빠가 아닌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어 "사랑합니다 아버지"라는 말보다 "죄송합니다 아버지"라고 먼저 말씀 드려야 할 듯 합니다. 부모님의 깊고 넓은 사랑을 왜곡하여 지레 짐작하고 맘의 문을 닫아 버린건 제가 먼저라고 말입니다. 그래서 전 제 아이에게 딱 제 부모만큼만 잘해줄까 합니다. 이보다 더 이상적인 부모의 모습은 없을테니 말입니다. 짧은 동화였지만 부모님의 마음 모든 것을 다 보여준 동화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