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거부한다
퍼 페터슨 지음, 손화수 옮김 / 한길사 / 2020년 6월
평점 :
지난 달 인스타그램 댓글 이벤트에 당첨되어 받은 책이다. 언뜻 보니 두꺼워 보였는데 330쪽밖에 되지 않았다. 종이가 두꺼운 대신 가볍다.
작가 페르 페테르손은 노르웨이의 대표작가라고 한다. 노르웨이 소설은 처음 읽어 보아서 신기하기도 했다. '거부한다'라는 부정적인 어조의 제목도 눈길을 끌었다.
이야기의 배경은 노르웨이의 수도인 오슬로에서 약 60km 떨어진 조그마한 동네이다. 1960년대 뫼르크에 살았던 짐과 토미의 이야기다. 여기에 토미의 여동생 시리와 토미의 어머니 이야기도 들어가 있으나, 전체적 서사는 짐과 토미가 중심으로 흘러간다. 참고로 저자의 나이(1952년생)와 짐과 토미의 나이는 비슷하다.
현재(2006년)와 과거(1960년대~1970년대), 등장인물의 시점이 번갈아 가며 진행된다. 덕분에 같은 사건이라도 각자에게는 어떤 의미였는지 비교해보는 재미가 있다. 맏이로서 동생들을 보살펴야 하는 책임감을 지고 있는 토미와 그런 토미를 옆에서 지지해주는 짐의 관계는 가족보다 더 가깝다. 이러한 토미와 짐의 어렸을 적 모습을 생각해보면 35년간 연락도 하지 않는 현재의 모습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작가는 이미 현재의 모습을 소설 첫머리에서 보여주었다. 그들은 왜 반대로 변했을까?
소설의 안에는 '거부'라는 단어가 여러 차례 등장한다. 각 등장인물들이 마음 속으로 '거부'하고 싶은 상황을 떠올릴 때마다 부모님과 형제, 친구 관계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그래도 제목의 부정적인 뉘앙스에 비해 결말은 나름 희망차다. 소설은 짐으로 시작해서 시리로 끝나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토미이다.
+토미 어머니와 욘센의 이야기는 없는게 더 좋지 않았을까 싶다....
어둠. 시각은 새벽 5시. 나는 헤레고르스 도로를 향해 하우케토에서부터 차를 몰고 왔다. - P9
아니, 어쩌면 내가 도망을 치고 싶었던 것은 내 삶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그 어느 곳으로도 갈 수 없었다. 어느 누구도 내게 오라고 손짓하지 않았다. - P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