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102/pimg_731727186812149.jpg)
오늘 <라이프 오브 파이(LIife of Pi)>를 보았다.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를 오래전에 인상깊게 읽었던 터라, 이 영화의 개봉을 기다렸고, 드디어 오늘 리얼 3D로 보게 되었다. <색, 계>, <브로큰백 마운틴>의 이안 監督의 첫 3D 어드벤처 작품이다.
영화의 첫 시작은, 재밌게도 나무늘보의 모습이 나오고 새로운 소설을 쓰기 위해 인도로 간 저자 얀 마텔은 "신을 믿게 할 이야기가 있다"는 한 노인을 만나고, 그에게서 이제는 어른이 되어 살고 있는 파이를 소개받게 된다. 그리고 파이의 이야기로 영화는 시작된다.
인도의 프랑스라 불리는 폰디체리. 열 여섯 살 인도 소년 '피신 파이 파텔'은 동물원을 운영하는 아버지와 어머니, 형과 행복한 나날을 보낸다. 그러다 1970년대 후반, 인도의 상황이 불안해지고 정부의 지원마저 끊기자 아버지는 캐나다로 이민을 결정하고 동물들을 북미의 동물원에 팔아버린다.
동물들을 태우고 태평양을 건너가던 화물선이 난파되고, 정신을 차린 파이는 하이에나와 '오렌지 주스'라는 이름의 오랑우탄, 얼룩말, 벵갈 호랑이 '리처드 파커'와 구명보트를 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얼룩말과 오랑우탄을 죽인 하이에나를 호랑이 '리처드 파커'가 잡아먹자, 파이는 호랑이와 자신이 모두 살아남기 위해선 호랑이를 길들여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것은 그의 문제나 나의 문제가 아니라 그와 나의 문제였다. 우리는 문자 그대로 또 비유적으로도 같은 배에 타고 있었다. 죽어도 같이 죽고 살아도 같이 살 터였다. 그가 죽으면 절망을 껴안은 채 나 혼자 남겨질 테니까. 절망은 호랑이보다 훨씬 무서운 것이니까. 내가 살 의지가 있다면 그것은 리처드 파커 덕분이었다. 그는 나를 계속 살아있게 해주었다."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중,)
파이는 리처드 파커를 허기지지 않게 하기 위해, 거북이나 황새치등을 쉴새없이 잡아 채식주의자인 자신과 함께 먹었다. 폭풍이 치는 무서운 바다에서의 표류를 하는 동안 꿈과 몽상과 현실의 구분이 안되는 자신의 상황에서 '신이시여 저를 창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젠 돌아갈 준비가 되었습니다.'라 외친다. 그리고 리처드 파커와 죽음을 기다리다, 멕시코만의 해변의 끝에 도착한다. 그곳은 미오켓들의 섬으로 이젠 살았다고 안심하나, 밤이 되면 화학작용이 일어나 땅이 모든 생물체를 잡아먹는 식인섬이었다. 열매 속에 들어있던 죽은 사람의 이를 발견한 파이는 다시 바다로 떠나고 , 어느 날 한 섬에 도착한다. 그리고 그 섬에서 리처드 파커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밀림속으로 가버린다. 그런 리처드 파커를 보며 파이는 가슴 아파하고(마치, 캐스트 어웨이에서 배구공 '윌슨'을 떠나 보낸 톰 행크스처럼) 이윽고 사람들이 나타나 파이는 구조된다. 그 후 파이는 캐나다의 토론토로 가 살고 있다.
이 영화는 어린 10대 소년이 사나운 호랑이와 277일동안 태평양에 표류하는 이야기다. 사랑하는 가족을 한순간 잃고, 언제 자기를 해칠지 모르는 호랑이와 공존 아닌 공존을 하면서도 끝끝내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한 소년의 이야기가 울림을 전한다.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의 부커상 심사위원이 말했듯이 "믿음이라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탐구하는 작품으로, 독자로 하여금 신(神)을 믿게 한다."처럼.
대부분의 원작이 있는 영화들은 원작의 방대한 분량을 두 시간여의 짧은 시간으로 전달함의 한계에 원작에 못미친다는 실망감을 안기기도 하지만, 이 '라이프 오브 파이'는 3D의 환상적이고 놀라운 비주얼과 스토리의 탄탄함으로 원작의 메시지를 더욱 생생하게 전했던 것 같아 좋았고, 생각할 것들을 더욱 세부적으로 많이 주었던 듯 하다.
영화와 훌륭한 소설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권하고 싶은 멋진 영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