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산에서

 

 

 

 

                       히말라야를 다녀왔다는 한 사내가

                       껌을 밟고 섰듯 우렁차게 먼 이야기를 하지만

                       사실 낮은 산이 더 오래된 산이다

 

                       조용한 산이 높은 산이다

                       눈보라에 이것저것 다 내주고

                       작은 구릉으로 어깨를 굽히고 앉았으나

                       부러울 것도 없네 손자 손녀도 우습게 매달리고

                       때론 사이클 탄 이가 우주로 떠오를 듯 달려나가기도

                    하니

 

                       언덕에 섰는 갈참나무나 자귀나무도 마음이 연해

                       별다른 벌레들 기어들지 않고

                       청설모며 족제비가 종갓집을 이루는 터

                       내가 오늘 먹을 걱정에 터벅거리며 산을 내려오자

                       산은 슬며시 나의 옷깃을 잡으며

                       곧 볍씨 뿌리는 들판이 될 거라고 귀뜸을 한다

                       따뜻한 바람을 모아 군불 지피는

                       끝내 고향이 되어버린 아우 같은 산

                       머리 긁적이며 돌아보니 오솔길은 발장난을 치고

                       묵은 꽃향기 수북이 손등처럼 쌓여 있다  (P.10 )

 

 

 

 

 

 

                       버리긴 아깝고

 

 

 

 

 

                          일면식이 없는

                          한 유명 평론가에게 시집을 보내려고

                          서명을 한 뒤 잠시 바라보다

                          이렇게까지 글을 쓸 필요는 없다 싶어

                          면지를 북 찢어낸 시집

 

                          가끔 들르는 식당 여주인에게

                          여차여차하여 버리긴 아깝고 해서

                          주는 책이니 읽어나 보라고

 

                          며칠 뒤 비 오는 날 전화가 왔다

                          아귀찜을 했는데 양이 많아

                          버리긴 아깝고

 

                          둘은 이상한 눈빛을 주고 받으며

                          뭔가 맛있는 것을

                          품에 안은

                          그런 눈빛을 주고 받으며  (P.12 )

 

 

 

                                                              -박철 詩集, <작은 산>-에서

 

 

 

 

 

 

 

 

 

 

    <영진설비 돈 갖다 주기>로 처음 만났던,

    박철 시인의 <작은 산>의  '개화산에서'를 읽다 문득

    부모야말로, '작은 산'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눈보라에 이것저것 다 내주고/ 작은 구릉으로 어깨를 굽히고

    앉았으나/ ... 머리 긁적이며 돌아보니 오솔길은 발장난을 치고/

    묵은 꽃향기 수북이 손등처럼 쌓여있/는...' 그런 작은 산.

    오늘은 어버이날이라고 세상이 정한 날.

    늘 철없는 자식, 철없는 부모의 위치에서 언제나 미안하고

    고맙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맘껏 사랑과 진상을 떨고 살았지만,

    오늘은 편하게 누는 똥,처럼 그런 자식이 되고 싶구나.

    아해들아, 너희도 그래주렴~^^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이 2013-05-08 11:12   좋아요 0 | URL
까악, 버리긴 아깝고- 넘 예뻐요.

appletreeje 2013-05-08 14:32   좋아요 0 | URL
ㅎㅎ 저도 그렇듯이, 좋았어요. :)

2013-05-08 12: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5-08 14: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하늘바람 2013-05-08 13:43   좋아요 0 | URL
개화산이란 이름이 반가워서 달려왔어요 예전 개화산은 제가 나온 고등학교 근처였던 것같아서
그런데 좋은 시네요.
버리긴 아깝고
참 그런 마음 많았는데 ~

appletreeje 2013-05-08 14:30   좋아요 0 | URL
강서구에서 고등학교를 다니셨군요.~^^
저는 성동구에서 다녔는데..^^
버리긴 아깝고, 그렇쵸~그런 마음들..*^^*

bari_che 2013-05-08 15:59   좋아요 0 | URL

<개화산에서>는
남난희의 「낮은 山이 낫다」의
페로몬이 풍기네요.

안녕하세요?^^
나무늘보도 보통 서재가 아니로군요.
프레야 님 서재에서 뵌 적 있었는데, 과연
고수들은 고수들끼리 통하나 봅니다.
종종 들려 한 소식 듣고 가겠습니다.
_()_

appletreeje 2013-05-09 00:20   좋아요 0 | URL
<개화산에서>를 읽으며, 저도 남난희님의 ,<낮은 山이 낫다>가 생각이 났습니다.^^
늘 훌륭하신 글들과 사진단상을 읽으며, 감탄을 했었는데 방문해 주시니 정말 기쁘고, 감사드립니다. 저서이신 <안녕, 우울증>도 인상깊게 읽었습니다.
프레야님께서는 진정, 고수이시지만 저는 하수라 실로 면구스럽기 짝이 없습니다. ^^;;;
bari_che님! 좋은 밤 되십시요. *^^*

보슬비 2013-05-08 17:25   좋아요 0 | URL
'개화산에서' 참 좋다.... 생각하고 읽었는데, '버리긴 아깝고'를 읽으니 더 좋네요. ㅎㅎ

appletreeje 2013-05-09 00:21   좋아요 0 | URL
히히...보슬비님께서 좋다하시니, 저는 정말 더 좋고 감사합니다.~*^^*

후애(厚愛) 2013-05-09 14:18   좋아요 0 | URL
'버리긴 아깝고' 좋은데요.^^

appletreeje 2013-05-09 20:15   좋아요 0 | URL
그렇쵸~? 후애님!
간결하면서도 그 마음들이 진솔하게 보이는 듯 해 정말 좋았어요.~~*^^*

숲노래 2013-05-09 22:11   좋아요 0 | URL
멧자락이면 다 멧자락이에요.
한국말에는 '높은 산'과 '낮은 산'을 따로 일컫는 낱말이 없어요.
그냥, 멧자락이고 멧줄기이며 멧봉우리예요.

그리고, 모든 산은 숲이지요.

appletreeje 2013-05-10 09:42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모든 산은 숲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