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성당을 가다가, 어느 택시회사가 있는 골목에서 그만 발을 삐끗해 순식간에 넘어졌다. 그 와중에도 무의식적으로 몸의 균형을 잡으러 손목에 너무 힘을 주어선가 꽈당 넘어져 일어나 보니 무릎도 되게 아프고 오른쪽 손바닥의 살갗도 다 까졌다. 청바지 무릎을 보니 바지가 찢어지진 않아서 무릎은 피가 나게 까진 것 같진 않고.
아이들이 넘어지면 잉잉 울면서 누군가 다가와 일으켜주기를 바라지만 어른들은 창피해서 후다닥 일어나 아무렇지도 않은 듯 다시 길을 간다. 나도 아픈 것보단 먼저 창피해서 재빠르게 일어났는데 본능적으로 주변 사람들을 쳐다봤다. 아..그런데 이 민망하고 떫은 기분은.
사람들 여럿이서 내가 넘어졌다 일어나는 모습을 멀뚱하니 빤하게 바라보고 있는 것이 아닌가.
보통 사람이 넘어지면 가던 사람들이나 주위에 있던 사람들이 어이구,라든지 괜찮아요,라든지 어느 사람은 일으켜 주며 등을 한 번 쓸어준다든지해 애써 아픈 걸 꾹 참고 괜찮아요,~씨익 웃고는 다시 걸어가다 그제서야 아휴, 아퍼죽겠네. 혼잣말을 하는데 오늘의 이 상황은..왠지 당황스러웠고 좀 싸했다. 마치 로봇처럼 서서 빤히 보던 사람들의 모습이 왠지 낯설었고, 창피함 뒤에 누군가의 염려가 있을거라고 생각했던 자신이 더욱 민망했던 것이다. 사실 그 부분이 더 쪽팔렸다.
빌어먹을, 차가운 심장.이란 어느 시인의 시 제목이 떠오른.
그리고 점심때 친구네 집에서 식탁에 앉아 밥을 먹다가, 무엇을 가져오려 일어서다 또 의자에서 쿵, 넘어졌다. 이거.. 참, 왜 이래. 다시 일어나 앉아 밥을 먹으며 아침에도 넘어진 이야기를 하니 그 친구의 말. "네가 잘 안먹어서 그래. 분명! 그러니 잘 먹고 다녀야지. 어서 이것도 먹고 저것도 먹어봐. "하며 부지런히 밥그릇에 반찬들을 놓아준다.
아.. 나이도 자꾸 먹어가는 중년이 이제는 자꾸 넘어지지 말아야겠다, 생각을 한다.
넘어질 때는 무엇인가 그 순간 딴 생각에 잠겼기 때문이다.
길을 걸을때는 걷는 일만, 밥을 먹을때는 밥 먹는 일만, 누군가와 이야기를 할 때는 그 이야기에만, 책을 읽을 때는 그 책에 대해서만, 누군가를 사랑할때는 그 누군가의 전부만, 꽃과 나무를 볼 때는 그 꽃과 나무에 대해서만 생각을 해야겠다고 다시금 생각하는 시간.
어제부터 읽고 있는 조경란의 <일요일의 철학>,도 그런 책인 것 같다.
조경란 작가 특유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넘어지는 이야기. 그리고 그 넘어졌을 때 주변 사람들의 따스한 위로의 시선을 받지 못한 사람들의 이야기. 그리고 쓰라리고 피가나게 아파도 다시 일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저녁에 또 약속이 있어서 나가야 하는데 제발, 오늘은 세 번째로 넘어지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이궁, 정신차려 이 사람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