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체
이규진 지음 / 책밭(늘품플러스) / 201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정조시대의 이야기는 왠지 모르게 나를
끌어당긴다. 나뿐만 아니라 모든 이들도 그 시대를 많이 이야기 한다. 아파하고 아쉬워하고 안타까워한다. 유독 이 시대를 다룬 이야기가 많은
이유가 그 증거가 될것이다. 사랑이야기,전쟁이야기, 왕의이야기,백성들 이야기..등 어떠한 이야기도 소재가 되고 영화와 책들로 넘쳐나 있다.
그렇게 많은 책들을 모두 찾게 되는 이유는 그 시대에 대한 열망이리라..
파체(눈물을 거두라는 뜻. 슬픔을
끝내고 기쁨을 얻으란 뜻. 이탈리어 어로 "평화"를 뜻하는 말)라는 글을 첨 만났을 땐 아주 생소하게 들려왔다. 그래서 선택하게 된 책. 그
속에는 많은 이들이 등장하지만 또한 많은 이들이 등장하지 않는다. 정도대왕과 주변의 엑스트라.. 그리고 아픔을 간직한 세명의 주인공들로 하여금
그시대의 또다른 이야기를 엮어간다.
그들을 잠깐
소개하자면...
어릴때부터 권력투쟁의 암투에서 목숨의
위험까지 받으면서 자라났지만 원수를 끌어안아야 나라를 이끌 수 있는 현실에서 자신과 아들의 목숨까지 지켜내면서 치열하게 살다간
정조대왕.
모든것에 박학다식하면서 요즘의 말로
천재의 흡수율을 가졌지만 신분제에 걸려 삶을 되는 대로 살아가는 천재 김태윤, 조선시대를 살아가면서 성리학에 갇혀서 가문과 명예를 지키기 위하여
자신의 본성까지 다르게 살아가는 무사 차정빈, 인정받지 못하는 왕의 자손이면서 나라에서 목숨까지 가져가면서 위협하는 천주교를 신봉하는 이유겸..
불구의 몸으로 태어나 자신을 반대하는 중신들과 영민함으로 싸우다 끝내는 생을 마감한 세자...
권력을 가진자나 그렇지 못한자나 모두
하나의 아픔을 가진 인간의 치열하게 살아가는 삶을 그려냈다.
아픔을 가졌다고 아파하지만 않는다.
현재의 삶에서 최고를 누릴수 있도록 삶을 살아낸다. 그들의 탈출구로 화성이 그려진다. 화성을 상업,물류, 행정의 중심도시로 만들기 위해서 또한
그들이 꿈꾸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 머리속에서 그려내고 현실로 만들어가는 과정이 이쁘기만 하다. 뭔가를 이루어내는 열정과 정열이 책의 열기를
더해간다. 책속에서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몇해전 여행갔던 장소가 그들의 하나 하나 지어가는 과정에서 내머리속으로 그려진다. 그들이 하는 이야기를
내 앞에서 하는 이야기처럼 고스란히 느껴진다. 이해되고 이해된다.
왠지 스포일러 하고 싶은 책이었다.
계속 다른 님들에게 이야기를 전해 주고 싶었다. 책을 잡는 순간 한순간도 놓을 수도 없었다. 가슴으로 머리로 확하고 다가왔다. 그 흔한 이야기를
이렇게 다른 눈으로 풀어낼 수 있는 작가님이 존경스러울 정도다. 내가 그 안에 있는 듯 하여 그들이 불쌍하고 또 불쌍했다. 어짜피 받아들일
천주교를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이들을 죽이는 성리학자들을 보면서... 공부는 공부일뿐 정치욕에 빠진 사람들은 아무리 좋은
공부라도 그들의 권력유지용 도구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한번더 절실히 느껴지게 하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