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둥글둥글 지구촌 관혼상제 이야기 ㅣ 함께 사는 세상 15
정인수 지음, 윤유리 그림 / 풀빛 / 2014년 7월
평점 :
책에서 보여주는 지구촌 곳곳의 관혼상제의 방식은 모두가 축제분위기를 보여주는 듯 하다. 하긴 태어나서 어른이 되고 결혼하고 이별하고 그것을 기리는 것은 축제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그러한 의식을 하기위해서는 모두가 축하해주고 함께 슬퍼해주면서 사람들에게 단합적인 의미도 부여한다. 그곳에서 어머니날이 탄생하기도 하고 자신들의 자유를 쟁취하기도 하였다. 그것이 사람이 사는 이유이기 때문이리라..
보통 관혼상제라 하면...우리나라가 가장 격식이 어렵고 힘들다고 생각되어졌었다. 간혹 다른나라 지구촌에서 황당한 상례문화가 들리기도 하지만 그것은 모두 옛날일이라 생각되어졌다. 그래서 현재 남아있는 것은 우리나라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되어져서 자꾸만 간소화 해달라고 건의를 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일들이 가정에서 서서히 받아들여지고 있는 입장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책을 읽어보면 우리나라만 그리 힘들지는 않다. 다른 지구촌에서는 행사가 더한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먼저 관혼상제의 뜻부터 이야길 해보자. 관혼상제는 관례,혼례, 상례, 제례를 뜻한다. 어른이 되고, 결혼을 하고, 장례를 치르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이라면 모두가 겪게 되는 의식이고 모두가 주인공인 것이다..
관례는 한마디로 말하면 어른이 되는 것인데..흔히들 성인식이라고 하면 쉬울것이다. 예전에는 어른이 된다는 것이 쉬운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고추에 칼을 대는 할례부터 아프리카 부족들은 몸에 문신을 새기는 일까지 하고... 코에 주렁주렁다는 귀걸이를 하기 위해서 코를 뚫기도 한단다. 그것에 비하면 요즈음 우리나라 성인식은 너무 쉬운듯 하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그들에 비하면 복 받은 것이다. 우리나라는 특별한 성인식이 없는 걸로 안다. 날짜는 있다..하지만 특별한 행사는 특별한 곳에서만... 제가 사는 촌에는 없다. 다만 만20세가 되는 날에는 부모님들이 젊어서 자신의 아이에게 선물을 하고 어른이 되었음을 축하하고 책임감을 일깨워 주는 일은 하고 있는 듯하다.
혼례는 어른이 되는 중에서도 엄마아빠가 되는 의식이다. 혼례를 하는 방법도 나라마다 모두 다르다. 아주 간단하게 치르더라도 금액이 만만치 않을텐데 몇일씩 하는 결혼식 하는 나라는 왠지 염려가 된다. 하지만 모든나라에서 잔치이기는 하다. 우리나라처럼 전통을 그대로 따라서 하는 장소도 공원이나 집이나 성당이나 종류도 다르고 하는 절차도 다양하다. 모든 나라에서 동일인 것은 결혼식날 신부가 울면 잘 산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예전 결혼식을 보면 신부들이 거의다 울고 있었다. 하지만 요즈음에는 방긋방긋 웃으면서 환한 얼굴로 결혼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아마 환경의 변화로 받아들여져도 되리라 본다.
상례는 사랑하는 누군가와 이별하는 것이다. 누군가를 멀리 보낼때는 비통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만 조금 많이 비통해 하는 듯 하고 다른 나라에서는 밖으로 표현하기 보다는 살아있을때 그들을 생각하여 웃고 떠들고 노래하는 곳도 있다니 신기할 따름이다. 하긴 우리나라도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요즈음 상가집에서는 마냥 슬퍼하지만은 않다. 돌아가신 분의 형편에 따라서 많이 슬퍼하기도 하고 "호상"이라고 상주를 웃으면서 위로하기도 한다.
제례는 죽은 이를 기리는 마음을 담아서 일년에 한번씩 제사 지내는 것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교회에서 추도식만 하지만 동양쪽에서는 우리나라처럼 49제, 77제, 등 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이별하고 있다. 일본은 제사도 지내긴 하지만 신사나 마츠리에 가서 참배를 하는 것을 더 자주하고 있다. 제례의 가장 커다란 축제는 발리의 갈룽안..꾸닝안, 중국의 청명절에 고혼지를 태우는 모습.. 우리나라의 추석 처럼 커다란 명절로 다가오기도 한다.
지구촌 곳곳의 관혼상제의 의식들을 보면서 물론 그들의 문화를 지키고 기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살아있는 이들도 살아야 할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든다. 모든 사람들이 주인공으로 이러한 의식을 그쳐야 생을 마감하게 된다. 그러한 곳에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서 한가지의 의식을 치룰때마다 빚으로 남게 된다면 그러한 의식을 치루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밖으로 보여지는 의식인듯한 생각이 강하게 들어서 안타깝게 여겨지기도 한다. 여유가 있는 사람은 여유있게 하는것도 괜찮지만... 그렇지 아니한 사람에게는 그것도 짐일수밖에 없다. 모두가 축하하는 자리고... 슬픔의 자리이기도 한 곳에 마음이 우선이 되었으면 할 것 같다는 쓸데없는 걱정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