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아직도 ‘아무도 버리지 말자고, 아무도 죽어선 안 된다고 외치는 사람들을 볼 때마다 경이롭다. 낙오없고 고통 없고 재해 없는 세상은 불가능하다고 믿는다. 안전에 집착하다가는 빗장 닫아걸거나 수용소로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안전 위에서 비로소 자유롭고 존엄할 수 있다고 여기기보다 자유와 존엄 위에서 안전이 추구돼야 한다고 여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건 뮤직비디오도 아니고, 뭐야?‘
이 부분을 읽고 혼자 피식거렸다. 긴박한 상황이겠지만, 거기 딱 어울리는 유머에.








그러나 정규도 총을 들고 있다. 그것도 주영의 것보다 훨씬 제대로 된, 아무리 봐도 진짜로 보이는 총이다. 그다지넓지 않은 공간에, 서로 총을 겨눈 두 사람의 호흡이 어지럽게 흩어진다.
이건 뮤직비디오도 아니고, 뭐야?
- P80

우주가 아무리 넓어도 직접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야기들이 있으니까.

지구에, 한국에 존재하는 건 원래 경민의 몸이 아니라 정보였다. 여러 사람에게 남겨진 정보, 나누어 가진 기억과 관계는 몸보다도 더 실체를 가지고 있었다.  - P144

그러니 어쩌면, 한아는 이제야 깨단는 것이었는데, 한아만이 경민을 여기 붙잡아두던 유일한 덫이었는지 몰랐다.
닻이라고 하기에도 너무 유약하고 가벼운 닻, 가진 게 없어줄 것도 없었던 경민은 언제나 어디로든 떠날 준비가 되어있었고 종국에는 지구를 떠나버린 거다. 한아의 사랑, 한아에 대한 사랑만으로는 그 모든 관계와 한 사람을 세계에 얽어매는 다정한 사슬들을 대신할 수 없었다. 역부족이었다.
인정할 수밖에. 닻이 없는 경민은 얼마나 빠른 속도로 나아가고 있을까?
쉬운 과정은 아니었으나 거기까지 이르자, 한아는 떠나버린 예전의 경민에 대한 원망을 어느 정도 버릴 수 있었다.
나 때문이 아니었어. 날 사랑하지 않아서가 아니었던 거야.
다만 오로지 그 사랑만으로는 안 되는 일이었던 거지. 질량과 질감이 다른 다양한 관계들을 혼자 다 대신할 수는 없었어. 역부족도 그런 역부족이 없었던 거야. - P146

상호 간에 신뢰가 없는 사회였다. 윗세대가 완전히 망쳐버린 것을 우리 세대가 다시 회복할 수 있을까? - P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해의 시대

왜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왜 가난한 청년들이 부유한 부모를만난 자들보다 더 많은 사고를 겪어야 하는가? 왜 여성이 남성보다더 쉽게 살해되어야 하는가? 왜 택배 노동자의, 콜센터 직원들의, 요양원 수용자의 호흡기는 바이러스에 더 쉽게 노출되어야 하는가? (우리는 사회적 평등을 ‘안전의 평등‘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기 시작했다.) 자유란 무엇인가? 그것은 자신의 신체가 몰래 촬영되어 불법 사이트에공개될 것을 걱정하지 않을 자유, 데이트 폭력에 시달리지 않고 연애를 할 수 있는 자유, 혹은 라돈에 의한 저선량 피폭을 걱정하지 않고침대에 누울 수 있는 자유가 아닌가? 왜 안전을 누리지 못하는 자들은 동시에 자유를 상실할 수밖에 없는가? (우리는 ‘안전으로서의 자유‘혹은 ‘자유로서의 안전‘이라는 매우 독특한 관념에 도달했다.) 우리가 누군가와 연대한다면 그것은 무엇보다도 삶의 위험, 불안, 공포를 함께 겪는 자들의 연대가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의 불안을 이해하지 못하는 자들과 싸워야 하는 것이 아닌가? (우리는 안전이 결핍된 존재자들의 새로운 연대, ‘무해의 연대‘를 구상하기 시작했다.) - P28

벡에 의하면, 위험사회의 시민들은 막스 베버가 예견한 자본주의적 철창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테오도어 아도르노가 비판한 ‘도구적 합리성‘을 폄하하지 않는다. 미셸 푸코가 분석한 ‘파놉티콘‘과 규율 권력에 공포심을 갖지도 않는다. 그들은 오히려 관리되는 세계의 ‘완벽한 합리성‘을 기대한다. 유럽의 대표적 비판 지성들이 디스토피아로 형상화해 온 안전을 지켜주는 통제된 감시사회는 아이러니하게도 21세기 민중이 꿈꾸는, 희망의 상징이 되었다.  - P30

레비나스의 윤리는 인간의 세계만을 이야기했다. 그러나 21세기에 그가 말하는 이웃은 인간 너머로 확장되고 있다. 누군가의 얼굴을 보며그를 죽일 수 없다면, 우리는 이제 그 얼굴의 목록에 철창에 갇힌 개들, 미치거나 장애를 갖고 도살을 기다리는 돼지들, 살처분되기 위해구덩이에 던져진 닭들도 포함시켜야 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비인간의 얼굴들, 도처에서 ‘우리도 살고 싶다. 죽이지 말라‘고 외치는 이얼굴들도 이제 외면할 수 없다. 고통의 자리는 역동적으로 분열되어간다. 거기에는 절대적 경계도 없고, 특권적 위치도 없다. 더 괴로워하는 존재는 언제나 어딘가에 있으며, 반드시 우리 앞에 나타난다.
무해의 시대는 고통이 회피되는 시대가 아니라, 이제껏 인정되지 못했던 새로운 고통을 기왕의 것들과 연결하는, 강인하고 질긴 망해이엮어지는 그런 시대다.  - P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래된 가게가 없어져가는 우리나라에서 이런 노포들이 유지되고 있다는 게 반갑다.
먹는 것도 좋아하고, 다니는 것도 좋아하지만 낯선 곳의 어디인지도 모를 데를 블로그나 인스타를 보고 갔을 때의 실망감으로 새로운 곳을 찾기가 쉽지만은 않다. 이 책은 이런 나를 위한 길라잡이 갔다. 특히 경양식에 빠져 있는 요즘으로선 더욱 반갑다. 경양식, 중국집만이 아니라 음식이나 식당 종류별 다양한 책들이 나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시 정세랑 작기의 글답기도 하고,
우리가 흔히 ‘이쁘장하다‘, ‘인상좋다‘라고 뭉뚱그리는 표현을 확 와닿게 해주는 표현 덕에 책에 대한 인상이 좋아지고, 기대된다.

어쩐지 친해지고 싶은 호감형이기는 하지만 평일 오후 두시의 6호선에서 눈에 띌 정도지, 출퇴근 시간 2호선에서는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을 희미한 인상이었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