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 - 2015 제39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구병모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작가의 전 작품집『고의는 아니지만』을 읽고 "자기반성도 없고 타자에 대한 이해도 없는 현실 속 일상을 투영해서 그것들이 잉태하고 출현하여 휘젓는 악의적 현상들과 참담하고 잔혹한 현실 세상의 수치스러운 속살을 치욕스럽게 드러내고 있다."라고 썼다.

아마 이러한 소회는  "지금의 인간들은 자기 이외에 진정한 관심을 가질만한 여유가 없으며, 그 무관심이 유익하다는 것을 감각적으로 체득한 개체들"이라는 나름의 인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처럼 다시금 옮겨 적는 이유는 이번 작품집『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이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되었다는 연상에서이다. 바로 그 무관심과 타자의 몰이해의 속살들, 양상들에 마치 줌인(zoom in)하여 각개를 보여주고 있다는 느낌이기 때문이며, 급기야는 "바로 지금, 여기가 아닌 사실만으로도", 즉 이 현실의 모멸스러운 공간에서의 빈번한 탈출을 시도하는 인물들을 보게 되었기 때문이랄 수 있다.

 

​「여기말고 저기, 그래 어쩌면 거기」 에서의 '하이'가 마지막으로 다다른 곳이나, '루초 폰타나(LUCIO FONTANA)'의 '탈리' 연작중 하나의 모작으로 그려진 칼자국, 사실은 그래피티에 지나지 않은 틈을 통해 비일상을 꿈꾸는 「관통」에서의 '미온'이라는 여성이 활보하는 세계에서 오늘 우리의 현실이 어디에까지 이르렀는지 우울하게 목격하게 된다. 이들이 원하는 세상은 그야말로 소박한 것들이다. 갖다버린 것을 주은 유모차와 주민센터 의류수거함에서 챙긴 수유셔츠가 아니라 3분백과 실크블라우스라는 "그저 단순 명료한 몰개성적 표지"지만 그것이 이 사회에서는 그토록 어려운 일이다.

 

그렇다고 작품「이창」에 등장하는 '오지라퍼'의 이웃에 대한 침입에 가까운 관심이나, 「이물」의 '사회복지사'를 툴러싼 관심에 적의 적인 사회 양상, 그리고「식우」의 "내가 아니면 너도 안돼"에 기초한  '니은'의 타산적 배려처럼 타자에 대한 자기 이익, 자기 욕구 충족을 기반으로 한 관심이나 연민이란 오히려 세상을 더욱 불온하게 할 뿐이다.

 

작품「이물」에는 "내 밖에 있는 나 아닌 모든 것은 나에 대한 침입자"라는 주절거림이 있고, 인면수(人面樹)가 되어버린 무수한 사회적 약자들의 이야기인 「덩굴손 증후군의 내력」에는 "거대 규모의 비극에 매일같이 둘러싸여 있다보니 외부에서의 사소한 자극을 포착하는 일이 점점 둔"해지며, 「이창」에서는 "누군가를 위한다는 신념이" 얼마나 위험한가를 말한다. 그리고 「식우」에서는 "나눈다는 행위는 자리가 비어있다고 해서 가능한 일이 아니다."라며, "자기들의 위험과 이익에 어느 누구보다도 예민한 촉을 지닌"부류들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그래 "자본의 흐름이 훨씬 정직하고 믿을만한 삶을 이루는 근간이 된다는 진실"을 신봉하는 사회에서, 나 아닌 존재를 책임진다는 일, 누군가를 위한 위한 배려와 누군가를 이해한다는 것은 실로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우리들이 서로 이물(異物)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면, 살아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주 불가능한 임의이며 임시"임에 동의 한다면, 욕심의 끝이 자멸인 식우(蝕雨)의 도시가 아니라면,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식 기회주의적 인식에 공감하지 않는다면... 우린 온 몸을 기울여 들어야 한다. 큰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저기 저곳의 사람들에게, "그들이 건네고 싶어하는 말은 기껏해야 한 장짜리 고막의 떨림이 아닌 온 몸을 써서만 들을 수 있는 그 무엇"이기에.

 

이제 우리 불통과 무심의 세계를 묘사하는 일이 너무 버거워 초자연적 현상에 의탁해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덩굴손 증후군의 내력」, 산성비가 내리는「식우」, 거대한 저수지가 된 마을의 이야기「파르마코스」처럼 오컬트(Occult)적 사건이나 현상을 통해서야 현실을 비로소 바라볼 수 있을 정도로.

그것은 우리들의 사회, 그 평범한 일상에서 수없이 반복되고 자행되는 무분별과 냉혹함, 무관심, 비열함, 이기심, 비정함이 야기하는 잔혹하고 무참한 현실의 각성들이다. 우리 개개인들이 스스로 자초한 자가당착, 현실의 잔혹한 삶에 와 닿으면서 일으키는 그 음험한 파열음에 절로 몸이 수축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