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진 사월
이스마일 카다레 지음, 유정희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의 제재인 삶과 죽음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카눈의 관습법’, 즉 죽음의 법칙이 우선시되는 기괴한 서사시를 읽으면서 어떤 위대함, 숭고함, 그리고 아름다움을 느끼게 되는데, 문득 칸트가 분류한 숭고함의 유형에 맞닿으면서 두려움과 아름다움이 뒤엉킨 곳에서 숭고함이 피어난다는 감성의 보편성 같은 것을 확인하게 된다.

끔찍하고 부조리하고 숙명적인 죽음의 법칙이 지배하는 ‘라프쉬’라는 알바니아 북부지방의 피의 복수에 얽힌 침울한 이야기이지만 거부할 수 없는 신비스러움과 친근함, 아름다움, 욕망의 감정이 어우러진 그 어떤 위대함, 경외를 떨 칠 수 없게 한다. 아마도 죽음이 내재하고 있는 그 자체의 위대성으로 인해 인간의 운명에 어떤 영원한 것이 부여되고 있다는 느낌 때문이기도 한데, 자신이 죽음의 위협을 받을 때에야 비로소 자신의 삶이 이어질 수 있다는 삶이 두 동강 난 청년이 발하는 비극성이 수반하는 감당키 어려운 위엄, 육중한 무게가 직접적인 영향일 것이다.

 

“피는 피로 갚는다!”바로 동태복수법(同態復讐法)이라 할 수 있는데, 죽음을 당한 집안은 반드시 죽음을 일으킨 집안에 죽음을 돌려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종의 명예라는 자본을 축적하려는 것인데 이 역시 아름다움을 야기하는 한 요소라 볼 때, 우리네가 성스러움이라고 부르는 것의 한 실체를 확인하게 된다. 이 작품을 읽는 내내 어떤 감성의 소용돌이가 그치질 않는데, 그것은 이러한 요소들이 줄기차게 작동하여 아마도 시종 아련한 그리움, 동경, 연민, 그리고 미(美)로서의 숭고함 같은 것에 마음이 지배당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네 형의 피를 회수하지 않는 한, 너는 다른 어떤 것을 위해서도 살 수 없다.”형을 죽인 크리예키크 가문의 남자에게 복수를 하여야 하는 것이다. 칠십년 전 손님으로부터 비롯된 이 처절한 복수의 반복은 카눈의 엄격한 법칙이며, 이를 어길 수 없다. 사람을 죽이기 전에는 살 권리가 없다는 이 기이한 삶과 죽음의 모순법, 이제 피를 회수해야 한다. 피를 회수당한 형의 피를 다시 회수해야 하는 것, 그리고 피를 회수하면 역시 그의 피도 회수당한 가문으로부터 회수당할 것이다. 이 작품이 위대한 것은 이처럼 생명의 법칙을 압도하는 죽음의 법칙이 뿌려대는 그 음울한 숭고함 때문만은 아니다.

 

신화와 같은 서사적 아름다움의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또 다른 층위의 비판이 그것인데, 카눈의 관습법이 지배하는 라프쉬를 신혼 여행지로 선택한 관찰자, 이 불행한 산악주민들로부터 예술적 재미를 찾으려는 작가‘베시안’의 오만함이 대변하는 지배자와 행동하지 않는 지식인에 대한 은밀한 비난이다. 아름다운 신부‘디안’과 함께하는 라프쉬의 마차여행은 살인의 의식으로 점철(點綴)된 카눈의 관습법이 삶의 모든 행위를 실타래처럼 얽어 도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모습 속에서 미를 찾는 양태이다. 그러나 피를 회수하고 피의 세금을 내기위해 피의 관리인인 오로쉬 성을 나선 청년‘그로즈그’와 먼발치에서 눈을 마주한 디안은 죽음의 표시를 몸에 달고 있는 그 비극적 광휘에 온통 마음을 빼앗긴다. 죽음이 내려앉은 청년이 발산하는 두려움과 그 속에 동반된 전율, 그것은 마음을 끄는 그 무엇이다.

 

소설은 애초에 생명의 법칙보다 죽음의 법칙이 우선시 되는 이 지역, 즉 카눈의 법칙이 지배하는 곳, 바로 그러한 장치 속에 베시안과 디안이 뛰어들게 함으로써 비극의 씨를 잉태하게 하는 것인데, 그래서 소설이 온통 비극적 숭고함에 빠져들게 한다. 그조르그, 죽음의 표상인 검은 리본을 단 파리한 청년의 모습에 디안은 고통스럽게 그러나 동시에 감미롭게 무너져 내린다. “아무리 비싼 대가라도 기꺼이 치르리라”고 디안은 마음속으로 되뇐다. 이것은 남편 베시안의 의도를 무참하게 전복시키는 것이며, 자신의 예술을 살찌우기위한 행동, 즉 자기의 이익만을 위해 행동하는 지배 권력의 탐욕에 대한 파멸의 예고이기도 하다. “당신의 예술에선 범죄 냄새가 나오!”“피비린내 나는 연극을 공연하라고 몰아넣고는 그 연극을 관람하는 거요.”바로 그걸 ‘살인의 미학’이라 부르면서.

 

한편 이 작품을 미학의 향연장이라고 부르고 싶을 정도인데, 칸트를 비롯해서, 바타이유, 랑시에르의 숭고미와 죽음의 사유들과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그 지적 감수성을 깨워대는 통에 정말 예술의 지고한 즐거움에 빠진다는 것이 이런것이구나 하고 내심 기쁨의 탄성을 질러대게도 된다. “날짜도 계절도 연도도 미래도 없는 영원의 시간, 더 이상 어느 것도 그와 결부되지 않는 추상적 시간”속에 누워 부서진 사월을 어둠에서 맞는 그 비극적이고 부조리한 삶에서 오히려 삶의 무한성을 발견하게 하는 작가의 위대함에 그저 찬사를 보낼 밖에 없다. 진정 기립 박수를 보내고 싶은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