싫은 소설
교고쿠 나쓰히코 지음, 김소연 옮김 / 손안의책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싫어!’, 혹은 ‘싫다.’ 로 시작되는 일곱 편의 연작 소설이다. 정말이지 이 부정적인 어휘는 듣는 것은 물론 써진 문자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도 왠지 마음이 거북하고 편치 않다. 불현 듯 언짢은 감정이 몰려온다. 그런데 이 기이한 제목의 소설을 손에 들게 된 이유 또한 설명하기에는 복잡한 그 무엇이 있었는데, 마땅치 않아 기분을 저하시키는 이 싫음의 실체에 대한 막연한 저항감이었다고 할까? 그리고 제깟 것이 사람의 감정을 얼마나 불쾌하게 몰아댈 수 있는지 보자 하는 오만한 심사(心思)였으리라. 그러나 이내 이 어깃장의 심리는 꺾이고 마는데, 그야말로 온통 싫은 감정에 포획되고 마는 것이다. 정말 싫다! 정말 싫은 소설이다! 그렇지 않아도 일상의 삶이 그리 유쾌하지 않은 사람들이 구태여 이 소설을 읽는 것은 말리고 싶다. 그 만큼 ‘싫은 소설’인 것이다.

 

대체 이 기분을 무어라 해야 할까? “심해를 헤매는 덧없는 기분”이라 하여야 하나, 마음에 무언가 무겁게 걸려 내려가지 않은 듯하면서도 왠지 홀려서 자꾸만 끌려들어가는, 그렇다고 재미가 넘치는 것도 아닌데 사로잡혀 읽게 되는, 그러다가 설렁설렁 페이지를 넘기고 이것도 내키지 않아 책을 덮어버렸다가 다시금 읽었던 페이지를 찾아 언짢음의 현상들에 머리를 처박는 일을 반복케 한다. 아마 이 기묘한 감정이 어쩌면 내가 인식하지 못하거나 기억하지 못할 뿐 무의식의 세계에서는 익숙한 것이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스친다. 불가항력의, 이해할 수 없어 어쩌지 못한 무수한 일상의 편린들, 그 싫은 것들의 지워진 기억들에 대한 공감이었을까?

 

소설은 이렇듯 싫은 현상 혹은 일들이 지독하게 반복되어 발생할 때 이와 마주한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에 대한 이야기다.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의식으로는 이해를 구할 수 없는, 그러나 내게는 발생하고 있는 괴이한 상황, 그래서 어쩌지 못하고 견뎌내다가는 그 싫은 일에 참혹하게 희생당하고 마는 그런 이야기이다. 유산으로 아이를 잃은 부부에게 현시되는 아이, 그것은 공포도 위협도 아니지만 견딜 수 없는 싫은 것이고[싫은 아이], 치매 노인의 수발을 들던 여자에게 불현 듯 다가오는 고통의 환상은 평범했던 삶의 정상성을 점진적으로 파괴하며 사람의 정신을 분열시키고 끝내 재앙적 최후에 이르게[싫은 노인]하고 마는 것처럼 그 정체를 규명할 수 없는 무엇에 대한 이야기 들이다.

 

또한 사업에 실패하고 노숙자가 되어 절망하는 남자가 열어야 하는 행복의 문 뒤에 있는 반복되는 살인의 운명처럼 [싫은 문] 벗어날 수 없으며 아무런 몸짓도 할 수 없는 상황의 무기력성이나, 귀엽고 예쁜 연인의 사랑의 무게를 감당할 수 없었던 남자의 무의식 속에서 자라난 거북하고 언짢은 감정의 증폭은 [싫은 여자친구] 그 알 수 없음으로 인해 혹독한 파멸로 치달을 뿐이다. 그러나 이 해석 불가능의 지대, 의식의 표면, 이성이 헤아리지 못하는 현상의 불쾌함 이면, 그 싫음이라는 구체화 할 수 없는 감정의 이면에는 무언가 사위스러움이 진실을 막아서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소설은 마지막 [싫은 소설]에 이르기까지 이 진실을 규명하려는 의지도 가능성의 일말도 보여주지 않는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싫은 감정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사람들은 이 터무니없어 보이는 화(禍)이자 변(變)에 속수무책으로 수장되고 만다. 부부가 함께 행복으로 일궜던 집이 아내의 죽음 이후 부패와 상처의 공간이 되어 마침내 남자를 소멸시키고 [싫은 집] , 어떠한 규명도 하지 않은 것처럼. 그러나 연작의 전편에 등장하여 싫음의 무형성에 희생당하는 이들의 유일한 상담자였던‘후카타니’가 무능력과 무지한, 더구나 소시오패스(sociopath)의 전형인 그의 상사 ‘가메이’와의 장거리 출장의 동행에서 마침내 터뜨리는 견딜 수 없는 싦음, 그 잔혹의 실체에게 억눌린 심연의 목소리를 난폭하게 발산한다. 이제 어떤 전조도 없이 평온했던 일상을 헤집어 놓던 그 알 수 없던 싫음의 정체를 깨달았다는 듯이. 그럼에도 여전히 여운이 꺼림칙하다.

 

“무엇보다 싫은 일이 앞으로.

싫다.”

 

“비현실적이고, 부조리하며, 비상식적이고 분별없는 일들”의 음울하기 짝이 없는 파노라마에 이렇게 넋을 잃고 불가해의 이야기에 빠져든다. 피할 수 없이 우리의 삶에서 마주하게 되는 상실과 실연, 이별, 노화와 좌절과 실패의 심연이 얼마나 어둡고 고통스러운 것인지를, 그래서 그것의 회피에 우리들의 보잘 것 없는 연민이라도 연대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 말하려는 것일까? 이런 삶의 불가피한 체험이 싫다. 빠져나갈 수 없는 것일까? 그래서 이 책 ‘싫은 소설’을 읽는다. 모순인가? 달리 방법이 없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