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날들
메리 올리버 지음, 민승남 옮김 / 마음산책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사이 나는 마음의 긴장을 이완시키기가 어지간히도 어려운 시간을 통과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 지상에서의 하루가 완벽하다고 외치는 이 책을 선택한 것은 부들부들 떨릴 정도로 꽉 조여진 내 정신에게 잠시나마 여유를 주고 평온의 호사를 가져보려는 안타까운 의도였다 할 수 있다. 대자연의 스스럼없음을 마주할 때 느껴지는 그 안온함, 아마도 아침이 오기전의 어슴푸레한 새벽 공기와 이리저리 나무사이를 오가는 새들의 지저귐을 오롯이 홀로 느끼는 순간의 청명함 같은 것에 마음을 내려놓고 싶었던 모양이다. 좀체 갖기 힘든 그런 진짜배기 여가를 기대하면서.

 

그러나 이 정신 사나운 시간에‘자연(Nature)’타령이나 하고 있겠다는 내 의도가 불순했는지 문장이 시야에 들어오는 것을 계속 거부했다. 그래서 책을 덮어놓곤 몇 날이 지났다. 일과 여가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던 시간이 지나고 일이란 것을 비로소 마음에서 내려놓았을 때 흑청(黑淸)의 대비가 뚜렷한 표지의 이 책은 다시금 나를 유혹했다. 결국 시간은 흐르고 그 섭리에 저항하는 것이 왠지 부질없음을 깨닫는다. “아침에 나는 길을 내려갔다. 나뭇가지에 벌새가 있는지 보려고-없으면, 부재의 핑 하는 작은 울림을 느끼려고.” 존재와 부재 사이에 놓여있는 흐름의 진실을 꿰뚫는 시인의 섬세한 눈길에 공감하면서 나는 그렇게‘메리 올리버’의 문장에 젖어 들어갔다.

 

그리곤 시인‘워즈워스’의 자연의 불가해한 위대성에 대한 깨달음의 일화에서 상쾌함과 공포, 광휘와 심연의 기묘한 조화의 자연, 그 자체가 발산하는 경외의 신비가 문득 가슴에 무언가를 치밀고 들어오는 듯한 충만한 안정감에 온전히 나를 맡긴다. 내 몸이 야생의 자연을 많이도 그리워했던 모양이다. 그러나 도시가 제공하는 물질에 종속된 삶을 지탱해야 하는 평범하기 그지없는 내게 숲과 야생동물이 어우러지고 바다가 지척에 있는 그런 자연은 언감생심이다. 더구나‘메리 올리버’처럼 썰물 때 미처 나가지 못하고 물웅덩이에 갇힌 물고기를 관찰하고, 눈밭 위에 찍힌 여우의 발자국을 보며 그의 삶을 상상하거나 인간에 길든 개의 야생성에서 자연의 미덕을 깨우칠 수가 없다.

 

왜 모르겠는가? 그녀의 말처럼 여가가 일상인 삶을 지닐 수 있다면 모를까. 이른 아침 “포근한 햇살 속으로 들어간 아주 평범한 순간 발작적인 행복감”에 젖어드는 그 찰라의 무념무상이 무엇인지 내 몸에 새겨진 태곳적 감성은 이해한다. 그래서 “장미꽃잎들 속에 서서 바람이 벌의 날개 아래서 졸면서 내는 소리보다 크지 않게 웅웅거리는 소리를 들을 때 강력한 확실성에 이른다”는 그 평온하고 평범함에 대한 그리움에 더욱 막막해진다. 그녀가 부럽다. 또한 낯설다. 질투심이 솟는다. 자연 예찬, 삶의 완벽함에 대한 신비로움 그득한 그녀의 때 묻지 않은 음성에 간극을 느낀다.

 

이쯤해서 자연을 물리고나면 ‘랠프 월도 에머슨’과 ‘너새니얼 호손’의 문학세계와 그들의 삶을 현재로 옮겨와 유령처럼 되살려 낸다. 신비주의에 매혹된 시인의 심리가 읽힌다. 특히 호손의 『일곱 박공의 집』과 『낡은 목사관의 이끼』는 그녀의 새로운 시선으로 해석된 서평으로 작품에 대한 흥미를 지펴내기도 한다. 마음과 풍경이 조우하는 삶, 존재자로서의 기쁨을 말하는 시인이 안내하는 세상의 이해가 몇 편의 시와, 산문에 고요하게 펼쳐져 있는 이 책은 결코 내쳐 읽을 책이 아니다. 가끔 존재의 피곤함이 밀려 올 때, 살아있음을 느끼고 싶을 때 펼쳐들면 아침 산책길의 그 뿌듯한 실체감이 되어 줄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