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의 도덕의식과 물화(物化)의 관계에 대해서

작성: 필리아(비의식)

 

나는 올 한해의 한국사회에 더없는‘물화(物化)’의 심화라는 비판적 모티브를 더하고 싶어진다. 단지 국가의 진정한 리더를 선택하는 것에서조차 오직 정치공학적인 물질적 놀음과 마케팅적인 이벤트로 뒤덮는 혐오스러움이 미디어를 도배질해 정작 이 사회의 뿌리깊은 문제점들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되어버린 것은 딱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독서시장을 뜨겁게 달구다가 이내 언제 그런 일이 있었던가처럼 이 사회의 비판적 자기 성찰이 잊혀지는 것이 못내 안타까워 다시금 ‘마이클 샌델’의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을 올해의 책으로 올려놓는다. “정의로운 사회는 행복을 극대화하거나 선택의 자유를 확보하는 것만으로 만들 수도 없으며, 삶의 의미를 함께 고민하고 서로의 이견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논의하는 문화”를 요구하는 것이 바로 정의의 실천적 사고라고 공정성, 불편부당성에 대한 도덕철학을 우리에게 생각게 했던 그가 공정성이라는 도덕규범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또 다른 도덕의식을 우리에게 상기시켰을 때 정말이지‘루카치’가 부활한 것처럼 꽤나 반가웠던 기억이 떠오른다.

 

 

바로 “특정 대상물의 관행과 가치평가를 변질시키는‘부패’라는 도덕의식”에 대한 이야기이다. “다시 말해 시장만능의 경제적 논리가 인간의 모든 생활양식을 지배함에 따라 지금까지 도덕과 이의 사회 규범적 실천으로서의 법으로 존중받고 보호되던 영역들이 비도덕과 비법률적 영역으로, 즉 시장의 거래 대상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은 100년 전‘루카치’가 주장한 “상품교환의 강제 아래서는 주체들의 행동에도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변화는 주체의 주변 세계에 대한 관계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는 말과 매우 닮아있다. 이것은, 인간들은 계산적이기만한 교환과정에의 참여로 모든 대상물을 물화하는 해석습관에 사로잡히게 됨을 지적한 말이다. 결국 루카치 이후 사라져가던‘물화‘라는 비판적 언어에 숨을 불어넣은‘악셀 호네트’와 함께‘마이클 샌델’을 경청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샌델의 책은 “돈이 잠식하거나 밀어낼지 모르는 태도와 규범에 담긴 도덕적 중요성의 인식을 우리가 망각하고 있는 것이라는 경고”의 의미에 비중을 두고 있지만, 그 논의의 근원적 사고는 “시장이 인간 삶의 고유한 비시장적 규범의 영역을 침해하는 것이 우리 인간과 인간사회를 어떻게 손상시키고 있는지를 심각하게 생각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를 묻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이는 곧 물화에 대한 현대적 환기이기도 하다. 상품 교환의 행위 영역에서 강제되는 모든 대상에 대한 물질적, 즉 교환, 거래 대상으로 측정하는 태도는 <<인정이론>>에서 호네트가 썼듯이 인간의 실존적 사실인‘인정의 태도’, 즉 자신의 기원에 대한 감을 상실한 인간들의 기억상실이라고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시장의 도덕적 한계, 이것은 온통 물화로 치달아 자신의 실존적 이해를 망각하고, 스스로 도덕적 영역을 비도덕화시켜 자신들의 건강성마저 훼손하는 한국인들과 한국사회의 현실을 깊이있게 들여다보게 해주는 절창이다. 내겐 그 어느 아름다운 시보다 샌델의 의식이 아름다웠으니 말이다. 먼저 우리들 자신을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우리들의 모습이 지금 어떻게 보이는지, 어떤 중요한 것들을 잃어버리고 있는지, 이 작업을 하지 않고 법과 제도와 정치적 수장과 같은 형식을 바꾼다고 무엇인들 변화하겠는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은 올해의 책에 머물지 않고 인류사회가 물화를 끝내는 날까지 읽혀야 될 책이라 해도 과장되지 않을 것이다. 부패와 부정의 뿌리는 다름아닌 물화에 자리를 내준 우리들의 본모습인 '인정의 망각', 자기 기원의 상실이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