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일야화 1 열린책들 세계문학 136
앙투안 갈랑 엮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작은 혼란부터 매듭짓는 것이 옳겠다. 나는 『천일야화(千一夜話)』와 『아라비안 나이트』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했는데, 전자인‘앙투안 갈랑’의 번안 작품과 후자인 ‘리처드 버턴’의 번안 작품을 비로소 분별하게 되었다. 아랍의 원작 제목은 <1001의 밤>으로 알려졌으며, ‘1001’이라는 숫자를 설명하자면‘끝없는’ 혹은 ‘무한한’ 이라는 의미를 아랍문화권에서는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이 원작을 최초로 서구세계에 알린 작품이 바로 앙투안 갈랑의 『천일야화(千一夜話)』이며, 이후 리처드 버턴이 다시금 각색 번안한 작품이 『아라비안 나이트』이고 보면 그 본류가 같은 것이지만, 번안자의 해석의지가 반영되어 구성과 이야기에서 차이를 드러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이야기의 구성은 1001일 동안 계속되고 있는데, 그런고로 이 상징적 숫자는 아마 영원하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작품의 아름다움이나 가치를 말하는 새삼스러움은 지양(止揚)하여야겠지만, 이야기들마다 무수한 허구의 상상력으로 넘쳐나는 데에는 감히 격찬을 자제할 수 없게 한다. 특히 수많은 매일의 이야기들이 완벽한 하나의 통합된 작품으로 엮이는 솜씨는 정말 기막히다고 할 밖에 없다. 전혀 다른 이야기 구조와 인물들이 등장함에도 매일의 이야기들이 어떤 단절이나 거북함 없이 연결되는 것에는 무엇인가에 홀린 것만 같으니 말이다.


화자(話者)는 그 유명한‘셰에라자드’이다. 피겨 스케이트장에 울려 퍼지던 김연아 선수의 배경곡인 러시아 작곡가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관현악곡에 모티브가 된 바로 그 인물이다. 작품의 시대 배경은 12~3세기의 페르시아 제국 사산 왕조다. 셰에라자드가 왜 제국의 칼리프인‘샤리아’에게 매일 밤 이야기를 계속하지 않으면 안 되었는지의 이유가 흥미롭다.

우애가 깊은 샤리아와 동생‘샤즈난’이 자신들의 왕비가 그들이 부재중에 벌이는 부정(不貞)을 목격함으로부터 야기된 일종의 여성의 정조(貞操)대한 복수가 발단이라 할 수 있다.


시종들과 벌이는 왕비의 난교 장면을 목격한 칼리프의 서슬 시퍼런 여성에 대한 불신이 그것이다. 왕비를 처형한 샤리아는 이후 매일 밤 자신과 동침하는 처녀를 다음날 처형하는 방식으로 부정에 대한 복수 행위를 지속한다. 이로 인해 백성들의 신음과 원망의 목소리가 높아지지만 어느 누구도 제국의 절대지존인 칼리프, 샤리아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이러한 참혹한 현실에 대해 연민과 슬픔을 가진 재상의 여식인 셰에라자드는 칼리프의 왕비가 될 것을 자청하고, 샤리아의 침소에 든다. 그리고 다음날 죽게 될지도 모를 운명의 여인으로서 샤리아에게 자신의 여동생‘디나르자드’와 함께 마지막 밤을 보낼 수 있도록 허락 받는다.


결국 살아있는 순간의 마지막에 들려주는 것이 될 수 있는 이야기를 동생에게 들려주는 것이고, 이 이야기를 같이 듣던 칼리프 샤리아 역시 그 이야기에 매혹되어 셰에라자드의 처형을 하루씩 미루게 되는 구조를 지니게 된다. 셰에라자드의 처형이 미루어지는 것은 곧 제국의 처녀들을 죽음으로부터 구원하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즉 셰에라자드의 이야기 자체가 이미 생명의 구원이 되는 것이며, 뿐만 아니라 이야기들이 내재하고 있는 온갖 삶의 교훈과 지혜들이 발산하는 그 풍요로운 아름다움과 덕성은 구원 이상의 가치를 보여준다.


여기에는 대중에게 잘 알려진 신바드나 알라딘, 알리바바 등이 1001일간 펼쳐지는 방대한 이야기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진정 무한히 이어지는 이야기들의 연속인데, 이들 유명세를 탄 이야기들 이상의 즐거움과 탄탄한 구성의 이야기들이 즐비하다. 질투와 배신과 탐욕이 어우러져 정의의 세계를 더욱 극대화시키는「세 탁발승과 다섯 아가씨 이야기」, 호리병 속에 갇힌 거인정령의 이기심이 다시 자신을 가두게 된다는 우주적 진리의「어부 이야기」, 협력과 화해와 용서, 그리고 배려, 사랑의 모습들이 수놓인「상인과 정령」과 같은 커다란 범주의 이야기 속에 다시 작은 범주의 이야기들이 놓여있고, 바로 매일 지속되는 이 이야기들이 마치 드라마 연속극이 감질나게 다음회로 미루어지듯이 이야기의 다음을 보지 않을 수 없게 할 만큼 기대와 호기심을 연속적으로 자극하며 끝이 없을 듯 계속되는 구조이다.


당대의 이슬람과 이교(異敎)를 비롯해 풍부한 관습과 풍속을 볼 수 있는데, 근친혼에 대한 터부, 여성의 재혼에 대한 의외의 관대함, 그러나 여성의 부정에 대한 엄격함, 신의와 배신에 대한 강경함, 시샘과 질투, 투기에 대한 처벌, 종교적 권위에 대한 지고함, 형제애, 우애, 가족애, 연인의 사랑 등이 마술과 초현실의 세계를 오가며 풍자와 비극, 숨겨진 삶의 긍정성과 진실들을 풀어 헤친다. “당신들에게 일어난 모든 일이 우리 모두에게 일어났었으니...”와 같은 단순한 문장이 품고 있는 삶의 원리를 자각하는 것, 역으로 그 단순동일의 인간 삶의 범주를 반복하는 어리석음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금기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 그 욕망의 무절제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수백의 아름다운 이야기로 지펴내고 있다. 이제 69일째 밤의 이야기인 1권을 마치면서 도저히 2권, 3권...으로 나아가지 않을 수 없는 지펴진 읽기의 욕망을 끊을 수가 없을 것 같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