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두 얼굴 : 외부 조종자 - 상황 속에 숨겨진 인간의 진짜 모습
EBS <인간의 두 얼굴> 제작팀 지음 / 지식채널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요즘 같아선 우린 지옥에 살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할 정도로 불의와 부도덕, 참혹한 사건 사고가 넘쳐나는 악의 울타리 속에 갇혀있다는 불안을 떨치지 못한다. 정치사회는 당리당략에 골몰하고, 공공행정 및 치안은 시민을 위해 작동하지 않고, 이기적 탐욕만이 성공을 안내하며, 소비와 쾌락만 조성하는 기이한 사회, 정의와 도덕성은 부인되고 타인의 고통은 방관하는 끔찍한 사회이기만 하다고 한탄한다. 도처에 사회의 안전이 체계적으로 위협받고 있다는 증거만이 무성한 사회라고 말이다. 

그래서 이 거대한 불의의 덩어리를 ‘나’한사람의 힘으로는 어떠한 변화도 가할 수 없다고 체념하고, 이러한 무참한 사회를 개혁하는 데에는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는 믿음으로 아무런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 한다. 결국 사회는 지속적으로 악화되기만 한다. 과연 나 하나의 힘으로는 어떠한 시정도 가할 수 없다는 것이 옳은 판단일까? 그렇지 않다는 것이 바로 이 저작의 주된 관점이고, 그 가능성과 실제를 일상의 실험을 통한 인간의 심리적 기제들의 성찰과 사회의 작은 현상들에서 찾아내고 있다.

마치 인간은 자신의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처럼 주변의 상황에 어쩔 수 없어하는 것이 실제의 모습이다. 사실 인간의 판단과 행동의 근거를 관찰하면‘상황’에 주도되는 취약한 존재임을 즉시 발견하게 된다. 이렇게 상황에 종속되어 비합리적이고 비이성적이며 때론 선악의 경계를 넘어 가벼운 위반에서 범죄행위에까지 이르는 사례를 목격 할 수 있다. 인간은“애매하고 불확실한 상황에 놓일 때 자신이 한 행동의 근거와 합리성을 타인과 집단으로부터 얻으려고 한다.”거나, 특정인이나 집단으로부터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압력을 받아 스스로의 행동 또는 생각을 바꾸는‘동조현상’, 그리고‘권위에 대한 맹종’처럼 집단에서 배척당하기를 거부하고 거기에 소속되려는 기본적인 욕구 탓에 인간은 특정 상황에 통제된다. 예시되는 대구지하철 참사사건당시의 미동도 없는 승객들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나 집단 동조현상의 실험, 경찰복장을 한 자에 대한 맹목적인 권위의 복종 실험 등은 이를 흥미롭게 증명해주고 있다. 

이의 연장선에서 무수한 심리학서에 단골로 등장하는‘제노비스 신드롬’이라 불리는 무려 38명이라는 다수의 목격자가 침묵하는 가운데 35분간에 걸쳐 한 여성이 세 차례나 난도당하며 살해당한 사건은 우리들을 충격으로 몰아넣지만 이 역시 애매하고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주변의 반응을 통해 행동을 결정하거나 다수에게 책임이 분산됨으로서 모두 방관자가 되게 하는 인간심리를 이해하면‘상황의 힘’이란 것이 얼마나 강력하게 인간을 지배하고 있는지 이해하게 된다.

이러한 유사한 예는 동네 골목에 쓰레기가 무단 투하되는 것이나, 무단횡단에 동조하는 사람들의 행위에서처럼 도처에서 발견 할 수 있는 인간의 일반적이고 전형적인 행동이란 것이다.
그러나 이렇듯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상황의 힘에 종속되는 인간의 행동을 일탈하는 행동 또한 우린 발견할 수 있으며, 또한 인간은 상황의 방해가 없을 경우 타인을 위해 손을 내미는 것을 망설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의 학습능력이 거울뉴런이란 존재 때문에 가능하듯이, 내면에 타인의 고통을 공감하는 능력이 내재화되어 있음이 다양한 과학적 실험들과 뇌과학의 검증으로 입증되고 있다. 그럼에도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이 곧 이타심으로는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결국 잠자고 있는 우리의 이타심을 깨우기 위해 우리 주변의 상황을 이타심이 발현되기 쉬운 상황으로 여하하게 만들어 나가느냐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이 저작에서는 역기능으로서 사람들의 이미지를 획일화하는 가공할만한 미디어의 힘을 이러한 이타심을 확대재생산하는 긴요한 도구로 긍정적인 활용을 할 수 있음을 방편으로 제시하고 있기도 하다. 즉 일본의 지하철로에 떨어진 사람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했던 한국인 유학생‘이수현’군의 일화가 일본의 도덕 교과서에 수록되고, 미디어에서 재생산되어 이타심을 확산시켜 타인의 불행에 무관심하던 일본인들의 행동방식을 변화시켰던 것처럼, 잠들어 있는 선한 본성이 행동으로 표출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이다.

소위‘사회적 태만’의 비극이라는 불리는 집단 내 여러 사람(또는 기관)에 주어진 과제의 경우 성과에 대한 기여자와 책임소재의 불명확으로 모두 방관하는 사례는 우리 주변에 차고 넘친다. 그러나 우린 작은 힘이 사회를 변화시키는 모습을 목격하기도 한다. 꽤나 흥미롭고 사회 변화의 가능성을 발견케 하는 커다란 의미를 지니는 실험인데, 횡단보도에서 아무것도 없는 하늘을 바라보는 사람이 세 사람에 이르면 지나가던 모든 이들이 동조하여 하늘을 쳐다보는 광경에서 세 명이 모이면 집단의 힘이 발생한다는 것을 이해케 된다. 셋이 모이면 기기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믿게 되고, 즉 거기엔 사회적 규범 또는 법칙이 되고 특정한 목적을 갖고 있는 것처럼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시 말해 누군가 한 사람이 외치고, 여기에 한사람이 더해지고 또 한 사람이 더해져 세 사람이 되면 아주 사소한 시도로 커다란 변화를 열어나 갈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대단한 노력이나 엄청나게 기발한 해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더 나은 세상을 살기를 바라는 우리에게 필요한 열쇠는 이처럼 작고 평범한 한 사람의 시도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상황의 힘을 극복하기 위해서 거대한 집단을 움직이는‘세 번째 손’이 되고자 하기만 한다면 우린 굉장한 변화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저 엄청난 권력의 횡포를 내가 어떻게 바꿔. 대기업의 말도 안 되는 시장의 폭력을 어떻게 막아. 그러나 우린 바꿀 수 있다. 우리 한 번 바꿔 봅시다! 고 나 먼저 외쳐보자. 친숙한 우리의 사건과 사고의 일례와 알기 쉬운 심리학 실험과 용어의 설명을 통해 인간과 사회의 건강성을 회복하는데 그리고 개인의 심리적 긍정성을 발전시키는 데 명쾌한 도움을 주는 뛰어난 기획물이며, 재미있는 심리학 실험으로부터 사회학적 정의의 지향점에 이르는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하고픈 진정 훌륭한 저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