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전 2
이종호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惡(악)의 세력이 점점 그 힘을 더해가는 듯한, 그래서 선과 악의 일대 전쟁은 불가피해 보이는 기대를 던져주며 1권은 끝났었다.

2권은 전편과 달리 에피소드의 열거를 지양하고 작품의 진행속도와의 결합을 보다 공고히 하려는 듯이 줄거리 중심의 형태로 다소 변화를 준 것 같다. 즉, 선명해진 주제의식과 인물성격의 구체화, 서사성의 견고(堅固)화 등이 이루어져 재미를 더욱 만끽 할 수 있게 되었다는 느낌이다.

선과 악의 대결구도, 얽히고설키기 시작하는 애정 네트워크, 지극히 통속적이고 적나라한 대화, 확전일로에 놓인 퇴마사와 영귀와의 전쟁에 대한 기대감 등 재미를 유발하는 요소들을 섬세하고, 분명하게 깔아놓고 있는 것과 같다.

1권의 가물가물해진 기억을 되살리기라도 하려는 듯, 초입부터 머리카락이 곧이 서고, 오한이 등골을 서늘하게 타고 내려오는 전율로 독자의 정신을 메다꽂는다. 이 구성전략은 처음부터 알지 못할 공포의 나락으로 빠져들게 하는 묘미가 있다. 개운치 않은 떨림으로 멈칫거릴 틈도 없이 관능의 언어로 매혹하고, 새로운 등장인물로 신선함을 선사한다. 작가의 TV일일연속극적 시나리오와 엔딩 기법처럼, 독자들의 시선을 지면에 가두어놓고 또한, 호기심과 기대감의 적절한 오르내림을 주어 조절해댄다.

새로운 귀신, 액귀(縊鬼), 사령자(死靈者)의 등장은 악의 뻔뻔스러움과 비열함을 두드러지게 하여, 다음으로 미루어진 ‘무풍리’에서의 본격적인 혈전을 선악의 대결이란 명료한 구도로 뚜렷이 해놓는다. 한편, ‘숙희’의 모호한 태도, 악귀의 근원인 사람의 선함이란 흐릿한 경계를 통해, 여전히 선이 이겨내고는 있지만 악의 세력으로의 중심이동을 암시하여 애매한 균형을 조성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독자를 갈등과 긴장으로 더욱 팽팽하게 조여 놓는 역할을 수행하는 듯싶다.

귀신전 2를 한번 손에 든 독자들은 절대 내려놓지 못한다. 등장인물, 사건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여운을 남기고 있어 ‘귀신전 3’의 기대는 더욱 증폭되어 버린다. 권(拳)이 더해질수록 더욱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