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은 날기 위해 울음마저 버린다
김용만 지음 / 삶창(삶이보이는창)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는 언어로 지은 집이라서, 본래 관념적일 수밖에 없다. 글이 어떻게 손에 잡히겠는가. 그래서, 농촌을 읊고 노동을 읊는 시들에서 물론 시인은 농촌과 노동의 숭고함과 소중함을 읊겠으나 이물감을 어쩌지 못한다.

그런데.
이 시집은 물질이다. ‘달뜬 첫눈‘이 보이고, 아버지의 영어사전 뜯어 만 담배에서 침 냄새가 나고, ’늘 그렇게 가난하게 끝나곤‘ 하는 어머니의 농사 중 밭 갈며 ’밭 가상에 돌 던지던 소리‘가 ’깊고 아득‘하게 들려온다.

어린 시절의 가난이 구질구질하지 않다. 처절하게 그리지도 않고, 예쁘게 포장하지도 않는다. 담담한데 시리게 온다.

“물길을 뛰어넘고 물장구를 치며 놀다 난 그만 한쪽 고무신을 잃어버렸다 정신이 아찔했다 한쪽 남은 신발을 내려다보며 한없이 물길을 원망하며 울었다 소식을 들었는지 걸레 빨다 쫓아온 어머니에게 직사하게 맞았다 온몸에 걸레 자국 검붉게 남아 따끔거렸다
/지천의 물은 비만 멎으면 금방 줄었다 모두들 돌아갔지만 난 물이 줄어들기를 기다리며 오래 물 앞에 앉아 있었다 어지럼증이 일었지만 행여 포기할 수 없었다 눈이 퉁퉁 부어 가물가물할 즈음 돌팍 사이에 끼어 물살에 발발 떠는 것은 것이 보였다 아, 잃어버린 한쪽 신발이었다 신발을 주워 맨가슴에 꼭 안고 혼자 한참 울었다 신발을 찾아 신고 자꾸 발등을 내려다봤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어머니를 만났다 우리는 서로 부둥켜안고 울었다 내가 미쳤지 내가 미쳤지 어머닌 상처 난 내 맨몸을 쓰다듬으며 미안하다며 울었다 나도 따라 울었다 집에 돌아와서 나는 마루 기둥에 새겨 쓴 숫자를 찾았다 내가 검정고무신을 산 날짜였다“ 81 고무신

그리고, 그 가난은 가지런하다.

“늦가을 햇살 같은
가지런한 이 가난
/얼마나
간결한가” 51 가을날

시인의 아버지는 논을 갈고, 먼 데까지 가 풀을 베어 짐을 져다 쌓았다. 논마다 풀더미가 쌓이며 아버지와 어머니는 퇴비를 만들려고 풀을 썰었다. “따가운 햇볕 아래 말없이 맥이고 딛는 먼 모습을 하굣길에 바라보다 말없이 돌아서곤 했다 작두날에 썰린 가지런한 풀처럼 참 아름닥고 고른 날들이었다“87

그런 시인이었으니 사람이 순하고 맑을 수밖에. 밤에 딸 마중 나가다 서행 중이었지만 고라니를 치고 드는 생각이

“다행이다
아마 많이 아팠을 것이다
/아휴, 큰일 날 뻔했네
했을 것이다” 13 고라니

한다. 자기를 위한 생각은 없다. 고라니 생각뿐이다.

시인은 전북 완주 학동마을 소양에서 산다. ‘만나는 사람 없어 산 보고 메리 크리스마스, 했어요‘18 할 정도로 외롭다. 그러나 밭이 열 군데라 할 일이 태산이고, 달팽이부터 온갖 푸나무, 숲, 산과 더불어 살다보니 심심할 틈은 없다. 자연과 더불어 사는 모습도 시에 고스란하다. 담백하다.

위봉사 가는 길이 시인 덕에 외갓집 가는 기분이겠다.

배추밭


배추밭에 섰다
싱싱하다

—야, 이놈아
너도 속 좀 차려라

— 예
어머니

그렇게
가을이 갔다 - P43

시인


아름다운 것들은
땅에 있다

시인들이여

호박순 하나
걸 수 없는

허공을 파지 말라

땅을 파라 - P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