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투자의 미래 - 경제 위기론에 흔들리지 않는 명쾌한 투자 강의
홍춘욱 지음 / 에프엔미디어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제목 : 인구와 투자의 미래

저자 : 홍춘욱

옮긴이 : 

출판사 : 에프엔미디어

읽은날 : 2017/05/05 - 2017/05/11


믿고 보는 홍춘욱 박사님의 신작.. 

인구절벽으로 우리나라의 경제와 부동산이 작살나서 경기 침체와 부동산 폭락이 있을 것이라는 주장을 데이터와 외국 사례를 통해 분석한 책이다.

어디서 이런 데이터를 다 찾았나 싶게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해 위의 주장을 반박한다.

결론을 말하면 '인구감소로 인한 경제붕괴는 당분간은 없을 것이다'이다.

2018 인구절벽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기본 데이터인 2005년 통계청 자료가 새로 update되었는데 실제 인구절벽도 2030년으로 연기되었다. 그리고, 외국 사례도 실제 인구절벽으로 인한 경제붕괴는 일본을 제외하고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일본도 일본은행이 대응만 적절하게 했으면 이렇게 오랜 기간동안 불황을 겪지는 않았을 것이라는게 저자의 의견이다. 그 이유는 일본 사례를 연구한 다른 나라들은 적절한 대응으로 큰 위기를 겪지 않았기 때문이다.

홍춘욱 박사님의 책은 데이타 중심이라 그래프를 잘 이해하면서 읽어야 한다.

그래프 읽기만 재미있으면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p28 물가가 안정된 나라의 통화가치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p37 부동산 가격 상승은 당장의 경기를 데울 수 있을지는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경제에 큰 해악을 끼친다 

p44 어빙 피셔는 조금은 애매모호하면서도 핵심을 찌르는 짤막한 문장으로 이렇게 결론을 내린다. 채무자들은 더 많이 갚을수록 더 많이 빚지게 된다 

p50 자산 시장의 버블이 붕괴될때에는 일단 시장 참가자들이 미래 경제에 대한 예상을 바꿔놓을 정도로 공격적인 경기부양이 필요하다 

p57 이런 사명을 완수하기란 쉬우면서도 어려운 일이다. 쉬운 이유는 사명의 완성도를 수량화할 수 있는 범주(=물가 상승율)에 의거해 측정될 수 있기 때문이고, 어려운 이유는 안정된 마르크를 지향하는 정책이 필연적으로 다른 이해관계자들과 마찰을 빚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p59 1990년 이후 일본이 장기불활에 접어든 이유는, 세 가지라 할 수 있다. 가장 큰 원인은 자산시장에 형성된 거대한 거품, 두번째 원인은 일본 중앙은행의 잘못된 정책대응, 마지막 원인으로는 '안전자산'으로서 일본 엔화의 지위를 들 수 있다 

p76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금리가 오르지 않으면 꽤 오래 지속될 수 있다'가 될 것이다. 앞에서 이야기했듯, 주식이나 부동산의 기대수익율이 아무리 낮다해도 채권 금리가 더 낮은 수준이라면 주식이나 부동산에 머문 돈이 이탈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p105  가설대로라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완전히 마무리되는 시기까지는 경제활동 참가율 부진속에 미국 노동시장의 인력부족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p118 한국 주식시장이 '할인'되어 거래되는 것, 다시 말해 실력에 비해 저평가된 것은, 아직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경제에 그리 높은 신뢰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p146 다시 한 번 원칙을 확인하자면, 버블이 언제 무너질지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버블이 형성되면 결국 가격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것은 분명하다 

p154 주식시장이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여부와 별다른 연관이 없는 것은 한국 사람들이 주식투자에 별로 열의가 없기 때문이다 

p168 한국은행의 정책금리 결정에는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치며, 금리를 결정짓는 '핵심요소'같은 것은 없다는 이야기다 

P184 총요소 생산성은 어떻게 해야 개선되나? 크게 두 가지 밖에 없다. 하나는 사람의 숙련 수준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기계장비의 성능과 사용법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p185 한국이 그간 빠르게 성장한 데는 1960년대 이후에는 수출주도의 경제성장과 도시화, 1990년대 이후에는 교육 및 R&D투자가 요인이었음을 알 수 있다 

p216 그럼 어떻게 해야 수출을 잘하게 되나? 가장 중요한 것은 '운'이다 

p225 고임금을 받고 싶다면 전문 분야에서 경력을 꾸준히 쌓고 또 휴직기간을 줄이라. 이런 권고는 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p227 가족친화적인 노동환경을 조성하고, 노동시간을 단축해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지 않으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다 

p291 적어도 10년내에는 한국경제가 인력부족 충격으로 성장율이 급락할 가능성은 낮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