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공부법 - 모든 공부의 최고의 지침서
고영성.신영준 지음 / 로크미디어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완벽한 공부법

저자 : 고영성, 신영주
옮긴이 : 
출판사 : 로크미디어
읽은날 : 2017/03/08 - 2017/03/20


마치 책은 이렇게 쓰는 것이다라는 걸 보여주고 싶었던 걸까?

책뒤에 붙은 수많은 참고문헌과 본문은 공부란 이렇게 하는 것이다에 대해서 잘 이야기해준다.

장마다 붙어있는 저자들의 경험담은 누구나 이 책에서 나온 방법론으로 공부를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한다.

책이 두툼하지만 지루하지 않게 읽어갈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책을 읽거나 공부할 때 적용해보고 싶다.

여러번 읽으면서 내 몸에 습관처럼 적응시켜야 하기에 도서관에서 빌리지 않고 사서 읽었다.

그리고, 책을 사기를 참 잘했다는 생각을 한다.

내가 수험생이라면 이 책은 나만 봤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난 팀을 이끄는 책임자. 우리 팀원들에게 사줘서 팀원들의 역량을 끌어올려야겠다.



p20 연구에 따르면 학습된 낙관주의, 즉 학업성취에 관한 기대가 높은 학생은 공부를 오랫동안 지속하고 도전적인 학습활동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P22 기대를 잃어버리는 가장 큰 이유는 성공의 경험을 맛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p24 유독 부모님들만 그런 것이 아니라 대부분 사람이 긍정적인 점보다는 부정적인 점에 더 주목한다는 것이다 

p26 니체는 "살아야 할 이유를 아는 사람은 거의 어떠한 상황에서도 견딜 수 있다"라고 말했다 

p32 성장형 사고방식을 형성하는 첫번째 방법은 우리의 뇌가 성장한다는 믿음을 갖는 것이다 

p33 "문제를 두 번째 풀때 더 잘하게 된 사람 모두 일어나 보세요" 반 아이 전체가 자리에서 일어섰다. 모두 '성장'했다고 합창이라도 하듯이 

p36 먼저 권위있는 사람이 자신의 잠재력을 믿어줄 때 자신도 그 잠재력을 믿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할 때 그것은 자기 실현적 예언이 되어 능력을 가졌다고 믿는 잠재력까지 끌어올리려고 노력한다 

p41 첫 논문을 발표해서 좋았지만, 진짜 내가 느낀 희열은 따로 있었다. 바로 논문이 인용되는 순간이다 

P48 '뇌가 커졌다'거나 혹은 '해부학적으로 변했다'고 하는 것은 바로 뉴런간의 연결이 더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p50 뇌는 병렬처리이기 때문에 정보를 뇌 전체가 동시에 처리한다 

p59 0.1퍼센트 아이들은 학원을 습관적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도움받으러 학원에 간다는 사실이다 

p65 공부에서 범주화를 활용하는 것은 매우 효율적인 학습전략이지만, 제대로 활용하려면 꾸준히 연습해야 한다 

p69 수고와 노력이 드는 시스템2의 작동들은 서로 강한 산섭을 하므로 두 가지를 동시에 하기 힘들다 

p69 카너먼은 시스템1이 시스템2보다 영향력이 더욱 크며, 시스템1이 우리가 내리는 수많은 선택과 판단을 은밀하게 조정한다고 말한다 

p75 답을 찾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연습문제의 가장 주된 목적중의 하나다 

p78 탁자를 두드리던 사람이 '지식의 저주'에 빠졌다고 표현한다. 내가 아는 것을 상대방이 모를수도 있다는 것을 모른다 

p79 메타인지 부족과 지식의 저주가 만나는 경우를 대학강단에서 너무나 많이 느꼈다. 

p89 전두엽은 뇌에서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CEO역할을 주로 하는데, 이는 20대 중후반까지 성장한다. 다시 말해 어렸을 때는 전두엽 발달이 미비하여 제대로 된 주의력을 발휘할 수가 없다 

p91 주의력을 키워서 공부를 잘하게 된다기보다 공부를 계속하다보니 주의력과 집중력이 높아지는 것이다. 주의도 이렇게 후천적으로 길러질 수 있다 

p92 멀티태스크는 두 배의 효율을 내는 것이 아니라 두 배의 비효율을 낳는다 

p95 연구를 통해 작업기억은 '음운회로', '시공간 메모장', '일회완충기', '중앙집행기'라는 4개의 작업장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p97 음운회로 점수와 독서능력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앙집행기 과제점수는 언어능력읽기이해추론능력, 노트 필기 기술 등 공부 전반에 걸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p98 다시 말해 이미지를 잘 활용하고 그림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좋다 

p102 밤늦게 학원에서 수업을 들으면 뭔가 열심히 공부한 듯 하지만 그것은 착각이다. 뇌는 해야 할 일을 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p105 그것은 반복읽기와 다르게 시험을 볼 때는 공부한 내용을 밖으로 '인출'해야 한다. 바로 그 인출이야말로 장기기억으로 가는 최선의 길이다 

p108 공부를 할 때 여러과목을 교차해가며 공부하는 것이 좋다. 하루에 한 과목씩 집중해서 공부하는 방법은 결코 좋은 전략이 아님을 알 수 있다 

p117 최적의 경험인 몰입을 하기 위해서는 메타인지, 즉 내 수준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하며 과제의 난이도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몰입을 위한 최적화된 과제 세팅이 안되기 때문이다 

p129 독창성은 실패를 먹고 자란다. 필연적으로 도전을 원한다. 하지만 증명목표에 휩싸인 신동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게 된다. 자신의 재능없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p137 목표는 구체적으로, 특히 실제 행동에 대한 내용을 적는다면 실제로 행동할 가능성도 커진다 

p138 먼저 크고 위험하고 대담한 장기목표를 세운다. 그리고, 그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실현가능하고 구체적인 중단기 목표로 계속해서 세분화시킨다 

p154 "영성아, 우리 하루를 걷자. 800킬로미터를 생각하지 말고 그저 우리에게 주어진 하루만 생각하고 걸어보자" 

p167 사람들은 추측결과에 상관없이 추측할 때마다 선조체라는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신경학자들에 따르면 선조체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전두엽에서 받은 명령을 동기부여가 일어나는 기저핵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p187 <메타인지>장에서 공부 최상위 학생들이 어떻게든 하루에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시간을 3시간 이상 확보하려 했던 사실을 기억할 것이다. 결국, 스스로 부딪치는 시간이 있어야 한다 

p195 꾸준히 노력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능력은 '자제력'이다. 자제력은 장기보상을 위해서 단기충동을 억제하는 능력으로 '마시멜로 이야기' 통해 자제력의 힘이 얼마나 대단한지 많은 사람이 알게됐다 

p197 감정을 억제하고, 놀고싶은 마음을 억제하고, 말실수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등 우리가 발휘하는 자제력의 종류는 경험적으로 매우 다르지만, 항상 활성화되는 뇌부위는 같다는 것이다. 그곳이 복의측 전전두피질이다 

p199 여기에 에릭슨은 한 가지를 더 이야기한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많이 노력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만약 제대로된 방법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노력은 진짜 우리를 배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p201 에릭슨은 제대로 된 방법으로 노력하는 것이 노력하는 양만큼 아니 그 이상 중요하다고 말한다. 훌륭한 방법론은 노력의 효율을 몇 배나 올려주기 때문이다 

p206 머리를 좋게 한다는 각종 두뇌훈련 프로그램, 게임, 퍼즐에 현혹될 필요가 없다 

p209 논문은 노력과 선천적 재능을 비교한 것이 아니라 의식적인 연습이 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메타분석이다. 

p220 7세 전가지는 문자를 외우는 것이 크게 중요하지 않다. 부모가 많이 읽어주면 된다 

p226 만약 안좋은 경험이나 스트레스 등을 받아 좋지 않은 감정이 생긴다면 망상활성계는 생존에 관한 경고로 생각하고 그 어떤 정보보다 우선권을 준다 

P229 불안은 잠재우는 가장 좋은 방법의 하나는 불안을 잊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불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거나 글을 쓰는 것이다. 이를 정서명명하기라고 한다 

p237 나 자신도 무엇을 배우기 전에는 무작정 시작을 하기보다는 큰 그림을 보려고 노력하고 흥미있는 부분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p240 개인의 가치와 감정을 최대한 존중하고 수용하는 문화가 행복을 만든다는 것이다. 

p244 <사이언스>지에 실린 논문을 보면 돈은 사람에게 '자기충만감'이라는 우쭐한 기분을 들게 한다고 했다. 다시말해 돈이 있으면 "너희가 없어도 난 혼자 살 수 있어"라는 마음을 준다는 것이다. 

p260 사회적 정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지적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외로우면 아프고 멍청해지지만, 진정한 우정과 소속감을 느낀다면 우리는 똑똑해진다 

p289 운동은 우리의 뇌가 공부를 잘할 수 있도록 최상의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p293 개인차가 전혀 없다고는 볼 수 없지만, 청소년 대부분은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것이 가장 몸의 생리와 맞는 것이다 

p294 벼락치기를 하면, CREB활성체가 빠르게 소진되는데 문제는 CREB활성체가 재생되려면 휴식, 특히 잠을 푹 자야 한다 

p297 낮잠은 아침에 일어난 후 7-8시간 후가 적당하며 30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p311 병원의 투약조끼신박사의 비닐가방에서도 보았지만 알람은 눈에 띄어야 한다. 가시적으로 계속 확인할 수 있다면 우리는 원하는 행동을 하거나 방해받지 않고 집중할 수 있다 

P319 독서를 할 때의 뇌를 살펴보면, 언어, 기억, 시각적 처리 등과 관련된 부분이 활발하게 활동한다 

p321 스마트폰을 줄이고 독서를 하거나 그 시간에 운동이나 제대로 된 휴식을 취한다면 학습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집중력과 산만한 뇌로 변하는 것도 막을 수 있고 말이다 

p339 창의성 첫 번째 태도가 연결이라면, 두번째 태도는 연결하기 위한 재료를 많이 가지려는 노력이다. 즉, 다양한 경험이 있을수록 그 사람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가능성이 커진다 

p344 '원  원 킬'하는 멋있는 스나이퍼라기보다 설정된 방향을 향해 기관총을 난사하는 람보같은 사람이 창의적인 사람이다 

P344 세익스피어는 대작보다 평범하거나 때론 작품성이 떨어지는 작품이 더 많았다 

p345 "큰 영향을 미치거나 성공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해 낼 확률은 창출해 낸 아이디어의 총수가 많을수록 높아진다" 

p345 "아이디어 창출에서는 양이 질을 예측하는 가장 정확한 지표이다" 

p346 창의적인 사람에게는 도전도 일상이지만 실패도 일상이다. 결국, 실패를 잘 받아들일 수 있는 사고방식을 갖고 있을 때 창의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다 

p349 물론 창의적으로 아이디어를 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누군가 아이디어 고갈때문에 괴로워한다면 너무 고민만 하지 말고 부지런히 조사를 해 보라고 충고해주고 싶다 

P353 대부분 직장을 그만두고 창업에 전념한 기업가는 리스크 테이킹 위험을 감수하는 성향이 강했고, 직장을 그만두지 않고 창업에 전념한 기업가는 리스크헤지,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이 높았다 

p363 최우등학생 중 87퍼센트가 교수가 언급한 내용 그대로를 받아 적는다고 했다. 그리고 실제 시험을 볼 때 그 노트를 중심으로 공부했다 

p366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알고 싶어하는 것 사이에 간극이 있을 때 호기심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보의 간극은 '질문'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p371 말콤은 틀렸고 고작가는 이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후 고작가는 말콤의 책에서 뜻밖에 많은 오류가 있음도 찾아내게 된다. 너무나 좋아했던 말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된 것이다 

p419 영미권의 대중소설과 드라마 그리고 그들의 일상대화에서 자주 쓰이는 '기술어휘' 접할 기회는 별로 없다 

p431 영어문장 자원을 아무리 많이 확보했어도, '한국어 --> 영어'전환이 느리다면 영어문장을 바로바로 꺼내지 못할 수 밖에 없다 

p439 어학 연수는 영어를 배우러 간다는 것은 잘못된 접근이고 영어를 활용하러 가는 것이 맞다 

p447 독자들이 이미 친숙한 것들에서 읽기를 시작해 새로운 사실에 도달하도록 이끄는 것은 글쓰는 사람의 기본적인 자세가 아닐까? 

p449 영어문장은 동사를 기준으로 앞부분엔 짧고 단순하고 친숙한 정보를 뒷부분엔 길고 복잡하고 새로운 정보를 담아야 한다 

p479 타고난 것만 같았던 파가니니의 한 줄 연주나 신박사의 말하기 능력 모두 실상은 철저한 반복으로 이루어낸 빛나는 기술이다 

p481 시뮬레이션은 실제로 행동하는 것만큼의 효과는 거둘 수 없다. 하지만 그 다음으로 가장 훌륭한 방법이다 

p489 명확한 의사전달을 위해 발표를 잘하려면 우선 '내용장악'이 필요하다 

p502 더 높은 위치에 올라가면 문제파악을 넘어서 문제 설정을 해야 한다. 

p503 보고라는 언어에서 가장 중요한 문법은 바로 요약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