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이 아니어도 괜찮아
최정동 지음 / 한길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베토벤이 아니어도 괜찮아

작가 : 최정동

번역 : 

출판사 : 한길사

읽은날 : 2020/12/28 - 2021/01/02


책둘 곳 없다고 책을 살 때마다 기존 책을 버리라는 규제를 받았다.

하는 수 없이 전자책을 많이 읽기로 했다.

전자책으로 읽어보니 확실히 종이책 넘기는 맛은 안난다. 하지만 적응해야 한다. 

이 책은 최정동 기자가 쓴 칼럼을 모은 책이다.

칼럼 모음집이 다 그렇지만 내용상 서로 연관은 없다. 그저 여러 작곡가와 연주자들의 음악을 소개하며 본인의 감상평을 담았다.

이 책을 읽으며 신의물방울이라는 만화책이 생각났다. 

와인을 한잔 마시면 갑자기 넓은 벌판이 나오거나, 졸졸졸 시냇물이 흐르고, 제대로 숙성되지 않은 와인을 마시면 시든 꽃밭이 나오는 그런 만화책...

이분은 음반을 걸고 음악을 들을 때 그런 상상을 하는 것 같다.

사실 난 아무리 들어도 그런 상상이 되지는 않는다. 

음악이 기분이 좋네, 우울하네 정도일뿐...

어느 정도 음악을 들으면 그런 상상을 할 수 있을까? 

음악을 들으며 연주자별로 음악에서 묻어나는 스타일을 구분하는 이야기를 들으면 별나라 이야기 듣는 느낌이다. 

겨우 작곡가와 음악을 매치시키는 수준인 나로서는 이번 생에는 틀린것 같다.

대신 훌륭한 음반을 많이 소개받았다. 

돈도 없고 그 LP들을 돌릴만한 빵빵한 사운드도 없어서 들어보기는 어렵겠지만 CD와 유투브의 도움을 받아 내 귀를 호강시켜줘야겠다.

세상 도처에 유상수다. 


9% 아 버찌가 익어갈 때 Le Temps des Cerises라는 곡인데요. 샹송이죠

11% 도쿄 시내 음반점에 CD가 깔리는 날 김영섭의 부탁을 받은 일본의 고교 동창은 음반가게를 순례하며 발렌테의 바위위의 목동을 20여 장이나 쓸어 담았다. 사막을 건넌 낙타 떼ㅏ 우물을 말리는 형국이었다. 음반들은 김영섭에게서 발렌테 열병이 전염된 동호인들에게 하나씩 돌아갔다. 이런 풍경을 보면 오디오 마니아라는 사람들이 인류 중 어떤 인종에 속하는지 알 수 있다

15%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선생이었다. 18세에 시작한 직업음악가의 삶은 바이마르까지는 연주자로, 쾨텐과 라이프치히 시절은 작곡가로 크게 구분되지만 제자를 가르치는 일은 평생 계속했다

16% 스탈린, 흐루쇼프의 공산 소련에서 꿋꿋하게, 한편으로 애처롭게 살다 간 쇼스타코비치는 누구보다도 강렬하게 바흐의 적통임을 인식한 것 같다

19% 바흐가 바이올린의 성서라고 불리는 이 곡을 최종적으로 완성한 것은 1720년이다. 그해 바흐는 한 살 많은 육촌 누이였던 아내 마리아 바바라를 잃었고, 그전에 그녀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자식 중 셋을 하늘나라로 보냈다. 그 비극적 가족사를 아는 선생은 샤콘 연주에서 바흐의 슬픔을 표현하고 싶다고 한 것이다

23% 계몽의 시대를 앞장서서 살았던 베토벤에게 귀족은 존경의 대상이 아니었다. 그에게 귀족이란 누군가에게 훈장이나 작위를 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시인이나 작곡가를 만들 수는 없는 사람일 뿐이었다

26% 날개를 단 글렌 굴드는 명반을 솓아내기 시작했다. 318과의 첫 녹음은 1961년 브람스의 인터메조 10곡이다. 1964년부터는 공개연주회를 중단하고 수도사처럼 스튜디오에 틀어박혀 녹음에 몰두했다. 90개 이상의 레코딩이 이루어졌는데 특히 평균율 1권, 6곡의 파르티타 인벤션과 신포니아 등 바흐가 완벽하다

31% 연구에 따르면 민간음악 정읍사는 궁중으로 들어가 의식음악으로 쓰이게 됐다. 곡조가 장중했던 모양이다. 다만 외설적으로 해석되는 가사가 문제가 됐다. 조선 중종 13년 정읍사는 음란하다는 이유로 악학궤범에서 삭제되고 궁중에서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다

34% 골드베르크 변주곡이 두 아리아와 30개의 변주곡으로 이루어져 모두 32곡인데, 베토벤은 33개의 변주곡을 지었다. 딱 하나가 더 많다. 존경하지만, 선배를 이기고 싶은 마음 아니었을까

35% 리흐테르는 유디나가 "작곡가에 대해 정직하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유디나를 지지하는 이들은 그녀가 '자신이 작곡한 것처럼 연주했다'고 평가한다

38% 아프리카 초원의 통나무를 두드리던 리듬이 DNA처럼 핏속에 흐르는 그들에게 게르만의 숲에서 탄생한 대위법을 설명할 필요는 없다

40% 그것은 연출가가 하고 싶은 말이었다. 모차르트는 천박한 인간이지만 신이 내린 재능을 타고났고 그것이 평범한 살리에르를 절망케 했다는 것

46% 손열음의 모차르트 협주곡 해석은 정평이 나 있다. 그는 2011년 차이콥스키 콩쿠르에서 2위를 했지만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특별상을 받았다

47% 그런데 읽는 나는 눈에 불이 났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이 친구는 벌써 다 해버렸구나'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50% 빈 필은 악성 베토벤의 작품을 제대로 연주해 빈 청중에게 들려주겠다는 의욕으로 출범한 오케스트라였다

57% 나치는 유대인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 금지시키고 '게르만 혈통의 적자' 슈만의 곡을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생전에 절친했던 두 사람은 100년 뒤 나치 정권에 의해 적이 되었다

66% 음반들을 연이어 듣고 비교하는 것은 연주자에게 가혹한 일이지만 레코드 애호가의 특권이다

71% 사내들만 시커멓게 모여 앉은 공간에 고음 관악기의 탈속한 선율이 맴도는 모습은 자못 기이하게 보인다

72% 담담하지만 스케일 크고 인류보편의 정서를 진솔하게 노래했다. 오랜 세월 칭송받는 이유다. 문학사의 걸작은 당리쥔의 아름다운 목소리를 만나 절창을 이루었다

77% 크리스마스에 아랫동네에서 막걸리 한 말이 지게에 실려 올라왔고 젊은 스님도 같이 잔을 기울이며 아기 예수의 탄생을 축하했다

78% 2차 세계대전의 화약 냄새가 아직 가시지 않았을 1948년에 슈트라우스는 어던 심경이었을까. 나치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조국 독일은 패망했다. 명예는 땅에 떨어지고 재산도 몰수당했다

84% 바흐의 음악은 톱니바퀴처럼 착착 맞물려 돌아가는 느낌이 상쾌하다.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소나타들도 고전적 뼈대가 만져진다. 그런데 드뷔시의 건반음악은 손에 잡히지 않고 허공에 흩어지는 연기 같았다

85% 바흐는 형 야콥과 헤어진 지 3년이 지난 1707년 육촌 누이 마리아와 결혼한다. 식장은 아른슈타트에서 가까운 도른하임의 교회였다. 신랑신부와 하객들은 아른슈타트에 모여 3킬로미터쯤 떨어진 너른 들판을 행진했다고 한다

90% 1991년 3월, 로스트로포비치는 프랑스 부르고뉴의 작은 마을 베젤레의 성 마들렌 성당에서 바흐의 무반주 첼로모음곡 전곡 녹음을 했다

91% 로스트로포비치는 바흐의 모음곡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어느 날 이 곡들에 대해 모든 것을 알게 되었다고 생각할ㅈ 모르겠지만 다음 날 당신은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96% 어머니의 고향 푸에르토리코에서 온 소녀 마르티타는 노인 카잘스를 걷잡을 수 없는 열정에 빠트려 두 사람은 1957년 결혼하기에 이르렀다. 무려 60살 연하와의 결혼에 수군거리는 사람이 없지 않았지만 카잘스는 괘념치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