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시 2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18
살만 루시디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브릴 파리슈타 vs 살라딘 참차, 천사 vs 악마, 선 vs 악, 당신의 선택은???




소설이라는 허구와 유머를 이해하지 못하고 종교적 모독으로 여기는 종교의 근본주의가 문제일까? 솔직히, 이슬람이라는 종교를 모르는 내가 읽은 살만 루시디의 <악마의 시>는 너무나도 방대한 비유가 들어있어서 100% 소화해 낼 수 없었다. 무신론자로서 종교적으로 문제가 되는 곳들을 스스로 읽어내지 못했다. 그저 신화처럼, 천일야화처럼 읽어내면 너무나도 재미있는 이야기로 읽힌다.



선과 악이라는 묵직한 주제로 읽었는데, 지브릴 파리슈타와 살라딘 참차는 천사와 악마의 모습을 대변하고 있다. 총 9부로 구성된 <악마의 시>에서 홀수에서는 현실이, 짝수에서는 지브릴 파리슈타의 꿈 혹은 환상이 교차로 진행된다.



영국의 인종차별과 식민 지배에 대한 유산은 비행기에서 떨어지고 있는 지브릴 파리슈타와 살라딘 참차에게 각기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다. 지브릴 파리슈타는 무신론자로, 살라딘 참차는 뼛속까지 영국인이 되고 싶어 하는 친영파가 되었다. 내가 지브릴 파리슈타이고 살라딘 참차였다면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었을까? 우리나라도 식민 지배를 받았던 시절이 있다. 과연 나는 민족주의자가 되었을까? 아니면 친일파가 되었을까? 아니면 영화 <밀정>에 나오는 송강호 같은 이중 첩자??? 살아남기 위해 난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이민국 사람들에게 잡혀가는 살라딘 참차는 지브릴 파리슈타에게 도움을 요청하지만, 환상을 보고 있던 지브릴 파리슈타는 그의 외침을 듣지 못한다. 살라딘 참차는 모진 수난을 당하고 집으로 돌아오게 되지만, 지브릴 파리슈타와 함께 있는 아내를 보게 된다.



살라딘 참차는 자신이 도와달라는 외침을 외면한 지브릴 파리슈타에게 복수를 결심하게 된다. 하지만 지브릴 파리슈타는 자신을 죽이려고 하는 살라딘 참차를 용서한다. 이런 지브릴 파리슈타의 행동에 살라딘 참차는 어떤 깨달음을 얻었던 것일까? 뼛속까지 영국인이 되길 원했던 살라딘 참차는 인도로 돌아가는 선택을 한다. 그렇다면 지브릴의 선택은? 지브릴은 환영과 질투 속에 살다가 자신도 자살을 선택한다.



신의 묵인 아래, 인간이 현재와 다른 상황에 처했을 때 인간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는 '악마의 실험'. 인간의 세상에서 이분법으로 나눌 수 있는 극단의 선택지들. 선과 악, 남과 여, 식민지와 피식민지, 강자와 약자 등등의 현실 속에서 일어날 법한 수많은 대립과 갈등의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는 살만 루시디.



이 세상과 타협하고 순응하는 삶을 선택한 살라딘 참차가 될 것인지, 휘어지기보단 부러지는 쪽을 선택한 지브릴 파리슈타가 될 것인지. 둘 다 어려운 선택지다. "다시 태어나려면 우선 죽어야 한다네."라는 말로 시작하는 악마의 시처럼. 죽어야만 끝나는 것인지도.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리투서평단 #악마의시 #살만루슈디 #세계문학 #문학동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기 쉽게 풀어쓴 현대어판 : 인간혐오자 미래와사람 시카고플랜 시리즈 5
몰리에르 지음, 김혜영 옮김 / 미래와사람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덕에 집착하고 너무나 솔직한 모습으로 사회적 고립을 택한 알세스트를 만나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핀처 마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19
윌리엄 골딩 지음, 백지민 옮김 / 민음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옆에 있지만 모른척 한눈 감고 살고 있는 인간의 생존을 위해 벌어지는 내면의 이야기.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트] 제르미날 1~2 - 전2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에밀 졸라 지음, 강충권 옮김 / 민음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패로 끝난 파업이었다. 하지만, 에티엔 랑티에는 지금도 계속해서 이름만 변주되어 계속해서 우리 사회에, 우리와 함께 살고 있다.



에밀 졸라는 귀족들에 대한 이야기를 버리고, 현대 사회의 진짜 현실의 모습을 작품 속에서 말하기 시작했고, 끊임없이 그때까지 소외되었던 주제들에 대해 말하기를 계속해서 도전했다. 『목로주점』에 등장하는 노동자의 물결,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에 나오는 소비자 물결, 그리고 『패주』에서 퇴각하는 병사들의 물결처럼. 끊임없이 살아서 움직이는 한 가족의 긴 역사인 <루공-마카르 총서>는 20개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에서 모든 작품이 완역되는 날이 기다려진다. 가장 흥미롭고 재미있는 책은 7권 <목로주점>, 9권 <나나>, 13권 <제르미날>이었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리투서평단 #제르미날 #에밀졸라 #민음사 #세계문학 #루공마카르총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피쿠로스 쾌락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7
에피쿠로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위해 에피쿠로스 학파의 미니멀리즘 쾌락을 탐구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