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스트가 사랑한 작가들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가는 열 갈래의 길
유예진 지음 / 현암사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루스의 글쓰기에 영향을 준 작가들을 소개한 책

마르셀은 습관‘과 ‘논리‘를 경계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했다. 습관은 우리에게 하나의 일정한 세상을 보여 준다. 그림자는 검정색이라 단정 짓게 만들고,
바다와 하늘은 당연히 구분된다고 믿게 만든다. 하지만 인상주의적 시선으로보면 무한대의 다양한 세상이 있을 뿐이다. 습관과 논리에서 벗어나면 그림자는 검정색일 뿐만 아니라 파란색, 보라색, 갈색 등 다양한 색으로 관찰된다.
일기에 따라 바다와 하늘의 구분도 그리 명확하지 않고 어디까지가 바다이고어디서부터가 하늘인지 그 경계가 불분명하다. 세비네 부인의 필치는 이러한인상주의적 현상학을 따르고 있는데 바로 이 점에 마르셀은 매혹된다.
또한 논리적인 시선으로 보면 세상은 단조롭고, 오로지 한 가지 진실만을 담고 있는 것처럼 여겨지지만 논리가 아닌 ‘감각‘에 의존하게 되면 세상은 보는, 혹은 느끼는, 듣는 사람의 인상에 의해 얼마든지 다양한 진실을 보여 준다.
(세비네 부인 중에서) - P35

바르트의 [프루스트와 이름]은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시작한다.
우리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가 글쓰기에 관한 이야기라는 것을 안다.
프루스트의 소설을 가장 간단하면서도 명료하게 요약한 이 유명한 첫문장은 그 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는 독자들에게 독서의 방향을제시해 주는 중요한 지침이 되었다. 즉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비의도적 기억에 의해 과거를 되찾는 것도, 꽃 핀 처녀들에 대한 마르셀의 사랑 이야기도, 또한 샤를뤼스의 변태적인 동성애에 관한 것도 아닌 소년 마르셀이 글을 쓰고자 하는 소망을 "되찾게"되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바르트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3막으로 된 한편의 극으로 이해했다. 우선 1막은 쓰고자 하는 욕망의 발견에 관한 것이고, 2막은 쓸 수 없는 무기력, 무능력의 깨달음이다. 그리고 마지막 3막은 비의도적 기억의 작용으로 되찾게 된 글쓰기에 관한 소명을 다루고 있다.
(바르트 중에서) - P2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녀 이야기 환상문학전집 4
마가렛 애트우드 지음, 김선형 옮김 / 황금가지 / 2002년 7월
평점 :
품절


최근에 계속 재미없는 소설들을 읽다가 이 책에 푹 빠져서 읽었다.
길리어드란 디스토피아 속 나라는 여자를 인구를 늘리기 위한 도구로밖에 취급안한다.
시녀라는 계급에 속한 여성들은 사령관들의 집으로 들어가 아이를 꼭 출산해야 한다.
목숨이 걸린일이다.
최소한의 감정도 없이 시녀로 살아가야 하는 주인공은 아주 작게 속삭이듯 이야기 해준다.
마지막에는 후편을 읽을 수 밖에 없는 결말이 기다린다.

하지만 어차피 나는 이 순간 속에 있고, 탈출구는 없다. 시간은 덫이고, 나는갇혀 옴짝달싹도 하지 못한다. 내 비밀 이름과 과거로 향하는 길은 모두 잊어야 한다. 내 이름은 이제 옵ㄷ프레드고, 여기가 내 살 곳이다.
현재를 살아. 현재를 최대한 활용해. 그게 네가 가진 전부잖아. -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일드 - 4285km, 이것은 누구나의 삶이자 희망의 기록이다
셰릴 스트레이드 지음, 우진하 옮김 / 나무의철학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누구에게나 견디기 힘든 사연들이 있지만 그 모든 고통들을 견디거나 건너는 법들을 우리는 찾을 수 있다, 여기 셰릴 스트레이트 처럼.
4.285km를 무작정 걷는 사람처럼.

pct에서 맛보는 근원적인 고독은 내 안에서 다른 감정으로 변해갔다. 이제는 더 이상 그저 작은 공간에서의 고독이 아니라 온 세상에서 느껴지는 감정이 되었다. 나는 전에는 한 번도가보지 못한 길을 걸으며 온 세상에서 혼자된 기분을 한껏 느낄 수 있었다. 머리 하나 둘 곳 없는 이런 광활한 공간에서 지내다 보니 세상은 이전보다 더 크게도, 그리고 더 작게도 느껴졌다. 지금까지 나는 이 세상의 광대함을 실제로 이해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이렇게 직접 내 발로 걸어보니 1킬로미터가 얼마나 되는지도 실감할 수 있었다.
- P211

이제는 더 이상 텅 빈 손을 휘저을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믿게 되었고 저 수면 아래를 헤엄치는 물고기를 그저 바라보는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사실 또한 알게 되었다. 그것으로 충분했다. 다른 모든 사람들의 인생처럼 나의 삶도 신비로우면서도다시돌이킬 수 없는 고귀한 것이었다. 지금 이 순간, 바로 내곁에 있는 바로 그것.
인생이란 얼마나 예측 불허의 것인가. 그러니 흘러가는 대로, 그대로 내버려둘 수밖에.
- P5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좁은 문 - 펭귄 클래식 펭귄클래식 5
앙드레 지드 지음, 이혜원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웅진)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지금 감성으로는 이해되지 않는 이야기지만 종교를 잘못 해석하거나 잘못 받아들인다면 충분히 있을만한 이야기인 것 같다.
타인을 위한 희생양이 되어 종교적인 완성을 꿈꾼 알리사도 안타갑지만 제롬이 가장 안쓰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 북쪽
마르셀 서루 지음, 조영학 옮김, 무라카미 하루키 후기 / 사월의책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것이 무너지고 사라진 세계.
여자 혼자서 홀로 버티기에는 너무 버겁다.
인간이 만들어 온 문명이 없어진 자리에는 생존경쟁만이 인간임을 증명한다.

책속의 세계가 낯설지 않은것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라는 생각이 들기때문이다.
지금같은 바이러스는 더 많이 생기고 언젠가는 인간도 버티기 어렵겠지.

극한의 환경속에서도 여자는 농사를 짖고 미래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