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문장들 - 한 줄의 문장에서 러시아를 읽다
벨랴코프 일리야 지음 / 틈새책방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은 러시아 사람들의 자랑이다. 혹여 외국인이 러시아 말을 배운다고 하면 바로 푸시킨이나 다른 유명한 작가의 명언을 읊으면서 러시아어가 얼마나 아름다운지, 이런 아름다운 언어로 쓴 문학 작품이 얼마나 많은지 자랑스러워할 것이다. 이것 역시 한국 문화와 매우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한국어를 배운다고 했을 때 나에게 박경리 작가의 토지 같은 작품을 언급하는 한국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 P11

사랑 앞에서는 나이가 고개를 숙인다 -알렉산드르 푸시킨, 예브게니 오네긴 - P76

러시아 문화에서 가장 멸시하는 인생은 ‘평범함‘이다. 평범함을 경멸하고 깔보며 비웃는다 ...‘제대로 살거나 죽어라.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라.‘ 러시아 문학은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이 메시지를 꾸준히 전달해 왔다. - P207

진짜 남자는 여자의 생일은 꼭 기억하지만 나이는 절대 모르는 사람이다. -파이나 라녭스카야 - P2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아하는 마음 없이 - 2025년 제70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김지연 외 지음 / 현대문학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파트 단지 너머로 보이는 눈 쌓인 산의 능선이 너무 아름다워 하염없이 바라보다 보니 혜영의 머릿속은 점점 잿빛 슬픔으로 가득 차오르는 듯했다. 곧 눈이 그칠 것이고 눈이 녹을 것이고 또 봄이 오고 꽃이 피고 산은 푸르러질 것인데 그때에도 산은 여전히 아름답겠지만, 언젠가 단풍이 들고 낙엽이 지고 앙상한 나무들로 희끗해질 것이고 우뚝한 바위가 드러난 초겨울 산도 역시 아름다울 것이지만, 혜영은 산이 겪을 그 모든 변화들이 너무 생생해서 못견디게 슬퍼졌다.

- P127

어느 순간 슬픔이 차올랐다가 어느 순간 아련하게 잦아드는 일이 여러 번 반복되었다.산의 아름다움이 시간을 통과하면서 자아내는 아드한 무채색 슬픔의 아우라가 혜영의 내부에서 느린 호흡을 하는 것 같았다. 이 지극한 슬픔에 비하면 지금 당장 눈 오는 순간의 아름다움이 주는 즉자성은 아무 의미도 감동도 없는 얇은 환각에 불과할 뿐인 것 같았다. 이것은 또 무슨 우울의 증상인가, 혜영은 가슴을 누르고 눈물을 글썽거리며 생각했다. - P1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독본 - 미시마 유키오 소설론 미시마 유키오 문학독본 2
미시마 유키오 지음, 강방화.손정임 옮김 / 미행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소설이 존재하는 덕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고백을 모면하고 있을까. - P19

곤충학자가 나비를 채집하고 서커스를 위해 포획업자가 맹수를 포획하듯이, 인간을 채집하려는 이상한 인간. 인간이면서 인간을 채집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부도덕하고 범죄적인 냄새가 나는데, 심지어 현실에서 잡는 것도 아니고 언어라는 채집망으로 상대의 본질을 훔쳐버리는 인간. 더군다나 그것을 종교인처럼 책임을 지고 하는 것이 아니라, 무책임하기 그지 없는 방법으로, 자신의 알 수 없는 목적을 위해 마음대로 이용하려는 인간. 아무런 권리도 없으면서 그런 짓을 하는 인간을 사회가 용인하고 있는 것은 실로 이상한 일이다. - P24

어쨌든 독자는 그 ‘알고 싶다‘는 욕구를 플롯을 통해 ‘필연‘으로 치환시키고 싶은 욕구를 품게 된다. 왜, 어떻게, 무엇을 알고 싶은지 독자는 잘 모른다. 독자는 소설이 그것을 알려주기를 바란다. - P41

‘이 소설이 끝나면‘일는 말은 지금 내게 최대의 금기어다. 이 소설이 끝난 뒤의 세계를 나는 상상할 수 없기 때문이며, 그 세계를 상상하기 싫기도 하고 두렵다. ...유일하게 남겨진 자유는 그 작품의 ‘작가‘라 불리는 일일까. 마치 인연도 연고도 없는 사람한테 부탁을 받아, 어쩔 수 없이 그의 자식의 대부가 되듯이. - P91

나는 일찍이 1948년에 <중증자의 흉기>라는 수필을 쓰며 "나와 같은 세대에서 대다수의강도가 나온 걸 자랑스럽게 여긴다"라고 썼는데, 지금도 이 마음은 잃지 않고 있다. 금각사라는 소설도 분명히 범죄자에 대한 공감에 바탕을 둔 작품이었다.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을 끌어올 것까지도 없이, 본래 예술과 범죄는 매우 가까운 관계다. ‘소설과 범죄는‘이라고 바꾸어 말해도 좋다. 소설은 많은 범죄로부터 큰 도움을 받고 있는데, 적과 흑에서부터 이방인에 이르기까지, 범죄자에게 감정이입을 하지 않는 명작의 수가 오히려 적을 정도이다. - P94

소설의 복안이 떠올랐을 때, 단편에서는 마지막 장면, 장편에서는 가장 중요한 장면의 이미직 분명히 떠오를 때까지 기다리는 게 나에게는 중요하다. 그리고 그 이미지가 단순한 장면으로서가 아니라, 분명하고 강력한 의미를 띠기 시작해야 한다. - P132

나는 출발 당시부터 자신의 문체를 확고하게 가지고, 거기서 나오는 이자로 생활하면서 걸어온 사람이 아니다. 애초에 그런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문체를 부모의 유산처럼 처음부터 가진 작가는 없을 것이다. 문학적 재능이 대개 유전되지 않는 것처럼, 문체도 유전되지 않으므로, 따라서 태어났을 때부터 가진 자신은 아니다. 문학가는 어차피 한 세대에 한정되며, 문체도 한 세대에 한정된다. - P1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쓰코의 모험
미시마 유키오 지음, 정수윤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 일본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솔로지옥. 매력남과 매력녀가 어떻게 유혹하고 유혹당하는가, 어떻게 마음은 뜨거워지고 차가워지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쓰코의 모험
미시마 유키오 지음, 정수윤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아, 누구와 함께해도 사랑을 위해 목숨을 걸거나 죽을지도 모르는 위험을 무릎쓰는 일은 없어. 남자들은 입만 열면 시대가 틀렸다느니 사회가 문제라느니 말이 많지만, 자기 눈 속에 정열이 없다는 게 제일 나쁘다는 걸 깨닫지 못하고 있어. - P18

노구치는 술잔을 빤히 들여다보았다. 그 안에 몸을 던지기에는 너무 좁다. - P1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