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 문학 속 지구 환경 이야기 1 - 문학으로 지구를 읽고, 환경으로 문학을 읽는다 ㅣ 세계 문학 속 지구 환경 이야기 1
이시 히로유키 지음, 안은별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3년 8월
평점 :
이 책 참 괜찮다. 어린이 학습만화처럼 보이는 표지 말고 다른 대안은 없었을까.
저자가 일본의 노교수인데 나이가 많고 평생 공부하는게 업이었던 사람이니 소재가 광범위하고 문학,환경,과학을 넘나들며 다양한 지식을 깊이있게 이어준다. 저자가 교수라 내용의 신뢰성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었던 것 역시 독자로선 만족스런 포인트였다.
이 책을 읽으며 충격적인건 인간이 과거에 얼마나 야만스레 살았던가 하는 사실에 대한 발견이다. 인구가 20세기 들어 급격히 증가하였고 경제발전과 함께 과한 육식을 해서 지구환경을 파괴하고 있으며 해수면이 최근 몇십년사이 얼마나 급격히 상승했는가에 대한 담론이 너무도 많아서 20세기 21세기를 사는 현대인은 지구를 망친 호로쓰레기같은 세대인줄 알았는데 과거에 인간이 무지함과 공동의 규약이 없는 공백을 틈타 이기심으로 자연을 파괴한 기록을 보면 요즘의 우리는 너무도 성인군자이며 사실 이 지구를 구하라고 하늘이 종말 끝에 내려보낸 세대가 아닌가 싶어진다. 옛날 사람들은 수명이 짧아 그런지 자연을 파괴할때도 화끈하게 내일 없이 아예 끝장을 본다. 나무를 몇그루 베는 수준이 아니라 아예 삼림이 사라지고 국토가 황량해질 지경으로 다 잘라버린다던지 고래를 몇 마리 잡는게 아니라 포경선을 끌고 전세계를 다 누비고 고래따라 북극까지 쫒아가며 아예 씨가 마를때까지 잡는다던지. 그래도 제재가 없던 시절이니까. 그런 시대에 비하자면 분리수거를 하고 브리티 정수기나 대나무 빨대 따위를 굳이 쓰는 요즘의 인간들이란 정말 천사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이 책을 읽으며 테슬라를 종교처럼 섬기는 요즘의 흔하고 흔한 사람들 생각도 나더라. 저탄소란 화두로 돈을 버는 세상이라니. 개인적으로 나는 그게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 에코백을 매자는 식의 기만이라 생각하기에 별 관심이 없는데 (차량생애주기 탄소배출량을 보면 잘 만든 하이브리드 차량이 전기차보다 더 적은 탄소를 배출한다고 한다.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을 설치하는 사회적 비용과 그 과정에서 배출될 오염과 쓰레기들을 생각한다면 에코백을 또 새로 사는 것보다 있는 가방이나 잘 매는게 진정 자연보호 아닐지) 내가 이전시대에 비하면 요즘세기의 인간들이란 너무 착하다고 외치지만 결국 궁극적 본질은, 인간의 본질은 역시 자연 따위 어찌되든지 본인들의 욕망을 채우기 급급한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다만 그걸 좀 더 있어보이는 방식으로 드러내도록 갈수록 기만적으로 진화하고 있는지도. 전기차를 만들자 자연을 보호하자 외치면 그만큼 테슬라 주가가 올라가고 나는 돈을 벌 수 있으니까. 아 인간은 무엇인가. 시대에 따라 다른 버전일 뿐 역시 지구에는 별 도움이 안되는 존재인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