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은 왜 조선일보와 싸우는가
유시민 지음 / 개마고원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무섭다.
한 인간이 언론에 의해 어디까지 왜곡 될 수 있는가 무섭다.
한 인간이 언론에 의해 어디까지 쇄뇌당할 수 있는가 무섭다.

한 사람은 어쩌면 객관적 관찰자가 될 수 없을 것이다.
이쪽이거나 저쪽..  한 사람의 시각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간혹 어떤 사람이 나는 객관적이다라고 자신있게 말 한다 치자.
그는 기회주의자거나, 신념이 없는 자이거나, 무관심한 자이거나 혹은 무지한 자가 아닐까....
그러나 언론은 다르다.
내 생각에 언론은 ’객관적 관찰자’가 되어야 마땅하다.
마땅함에도 제각기 노선은 갖기 마련이여서 자기의 뜻대로 자르고 붙이고 왜곡하게 되는 것일까.

대한민국 1등 신문 조선일보는 노무현에게 왜 객관적이지 못하는가.
2001년 해양수산부 장관시절, 노무현은 ’언론과의 전쟁’도 불사해야한다’고 했다. 그말은 권력이 언론과 전쟁을 하자는 말이 아니라 너무 언론에 굽실거리지 말고, 눈치보지 말고, 싸울때는 싸워야 한다는 말이었다. 거기서 전쟁이라는 말은 억압과 박살이 아니라 언론의 횡포로 부터 자유를 찾기 위한 투쟁해얀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독재정권 시절에도 들어보지 못했던 놀라운 발언이며 정치인으로서 너무 황당하고 난폭하며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인식조차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했다. 
독재시절엔 전쟁이란 말이 필요없다. 전쟁이란 서로간의 싸움이 아니던가. 독재시절엔 전쟁이 아닌 침략 즉 억압과 박살만이 있었을뿐이다. 정치인으로서 노무현은 정말 황당하고 난폭했다. 그때까지의 정치인은 일신의 안위와 권력을 향한 언론의 눈치보기가 있었을뿐 나를 전부 내던지는 정치인은 황당한 노무현 뿐이었으니... 누가 감히 ’밤의 대통령’ 조선일보에게 반기를 든단 말인가.

조선 일보는 기득권층의 이익이 곧 사회 전체의 번영이라고 믿는다. 재벌과 명문학교 출신의 지배를 위협하는 모든 사상과 행동은 불온하다고 믿는다.( 지금의 누군가와 많이 닮은 사상아닌가.... 입맛에 맞는 ’낮의 대통령’을 좋아한다는 조선일보, 지금은 물만난 고기가 아닐까..?)
기득권층의 조선일보의 그 믿음에 씨가 다른 노무현이 감히 도전장을 냈으니... 결과는 어땠을까.

누군가는 그가 대통령으로 있었서 행복했다고 했지만 나는 그의 재임기간 내내 불편했다. 무지한 내가  정치에 최소한이라도 관심을 갖게 했고, 희망이라는 믿음으로 노란풍선을 흔들게 했고, ’그래도’란 믿음을 내려놓지 못하게 했던 한 사람..  그 한사람은 위선자이며, 거친말을 쏟아내는 경박한 인물로 왜곡되어져 우리에게 보여졌다. 그것이 오늘의 이 슬픔을 만들어낸 이유 중 하나라는데 나는 조금도 반대하지 않는다.
어제 서울광장에 나갔다. 태양은 너무 뜨거웠고 발딛을 틈 없는 슬픈 추모객들의 열기로 아스팔트가 불탈 것만 같았다.
국민장이 진행되는 내내 여기저기서 상기된 얼굴로 눈물을 훔치며 ’조중동 반성하라’는 노란 종이를 흔들기도 했다. 반성만으로는 부족하리라. 변해야 한다. 기득권은 쥔 것을 내려놓고 가슴을 열어야 한다. 무엇을 어떻게........................

지하철역 가판대에 늘어져 있던 신문들 중 유독 조선일보는 노 전 대통령의 국민장 소식을 1면에 머릿기사로 싣지 않았다. 
그것이 조선일보의 굳은 신념이라고 말한다면 나는 더이상 할 말이 없다.

이 뜨거운 슬픔을 외면하며 누군가는 잘됐다고 실소를 흘리기도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보, 나좀 도와줘 - 노무현 고백 에세이
노무현 지음 / 새터 / 200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뭐라고 해야할까. 주말 오전에 그 황망한 소식을.
누구도 예상 못했고, 실제 상황이란 것도 믿을 수 없는 그 꿈만 같던 주말.
여기저기 인터넷 기사들을 들쑤시며 이럴수가 이럴수가... 눈물만 났다.
그가 대통령에 당선되고 나는 적잖이 실망도 했다. 그리고 그사이 나는 내가 노사모였다는 것을 잊고 있었다.
이럴수는 없다. 이렇게 가셔서는 안되는 거다....
멍하니 앉아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가 나는 문득 그분에 대한 책한권 읽은 적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1994년 마흔아홉에 그가 직접 쓴 책이다.
’제 후원회 전화번호’라는 꼭지를 보면 그가 이 책을 왜 썼는지에 대해 적고 있다. 변변한 줄 하나 없는 그가 정치자금을 마련하지 못해 여기저기 나 좀 후원해달라고 사정하다 못해 돈 좀 벌어 볼까 하고 이 책을 썼다는 것이다.
그 시절 이 책 한권 사는게 그에게 큰 도움이었텐데..... 이제서 무슨 도움이 될까....
나는 그분을 믿는다.
적어도 권력을 향해, 내 한몸의 일신을 위해 하룻밤사이에 변절하는 역사는 갖지 않았던 사람임으로.
소신이 너무 곧아 부러질 망정 휘지는 않았던 분으로 믿는다.
좀더 말을 아꼈더라면, 한때 그분에게 했던 실망이 없었을까......

한 국가의 수장이었던 분의 죽음 앞에 국민의 세금 1원도 쓸 수 없다고 했다던가...
자살은 자살 일뿐 서거일 수 없다고 했다던가....
그의 죽음은 그의 탓이라고 했다던가....
살아있다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가 새삼 깨달았다고 했다던가....
우리민족은 이성보다 감성이 앞서는 냄비근성을 갖고 있다고 한다. 
언제 끓어 넘칠 지 알 수 없는 냄비들임으로 국민들을 잠재적 폭도로 규정하는가.
누구보다 ’냄비근성’이란 말에 열폭하는 나이지만 나 또한 어쩔수 없는 냄비인가보다.
신념을 위해  진실되게 살고자 했던 분의 죽음앞에 그때 그때 달라지는 원칙을 내세우는 이들을 이해할 수 없다.
내 안에 원칙이 있지 않고 내가 중심이 된 원칙을 내세울때 세상은 무서워진다.
나를 재는 자와 나와 다른 사람을 잴 때의 자가 다를 때 세상은 광폭해진다. 그것은 원칙이 아니라 반칙이다.

이성적이고 따박따박 따져가며 앞뒤 재가며 제 할말 다 하는 눈치없이 똑똑한 그네들은 참 좋겠다....... 이성과 감성의 획을 분명하게 그을 줄 알아서. 공정과 편파를 확실하게 제 입맛에 맞게 구분할 줄 알아서.

이제와서 시해네 어쩌네 말도 많지만... 근본적으로 무엇을 믿고 누구를 믿는단 말인가.
노 전 대통령 서거 후 너도 나도 눈시울 붉히며 말하는 그분의 인간미에 대해 흠뻑 취하고 싶다면 <여보 나 좀 도와줘>읽어라. 
타인에 비친 노무현이 아닌 노무현의 시각에서 보는 과장되지 않은 노무현의 이야기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모곡-We believe>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곡-  

-Song by 락별 From 율트라컨디션-  

5월 어느 토요일 잠결의 뉴스  

믿을 수 없는 이야기  

아름답던 그사람 볼 수 없다는  

저만치 떠나갔다는 바람만 슬피 울고 아무 대답도 없어  

밝은 해가 뜨는 그날이 오면 우리 다시 만나요  

We believe forever  

We believe in you  

We believe forever  

We believe in you  

미쳐버린 세상에 산다는 것은 너무나 힘든 일이죠  

하지만 난 당신을 가슴에 담고 그렇게 버텨 갈게요  

We believe forever  

We believe in you  

We believe forever  

We believe in you  

멀리서겠지만 가끔 그렇게 우릴 지켜봐줘요  

밝은 해가 뜨는 그날이 오면 우리 다시 만나요  

이젠 모두 잊고 편히 쉬세요  

우린 당신을 믿어요  

우린 당신을 믿어요  

정말 고마웠어요.  

[출처] 추모곡-We believe (아이와 엄마가 함께 하는 길벗스쿨 일기(아이책 엄마책))  

|작성자 깍꿍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다의 선물 범우문고 49
앤 머로 린드버그 지음 / 범우사 / 199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활하는 데 심신을 가장 피로하게 만드는 것은 체면에 매달리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사회생활이 사람을 몹시 피로하게 만드는 이유는 바로 그것이다. 모두들 가면을 쓰고 있다. 그러나 나는 내 가면을 벗어버렸다."(37쪽)

사람이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최근에 나는 그것이 '관계'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관계..... 남편과 나의 관계, 아이와 나와의 관계, 친구와 나와의 관계, 이웃과 나와의 관계.........
하루종일 관계 속에서 허덕인다.
또 그 관계들을 잘 유지하고 싶다. 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게 적당한 거리.
아니, 가족과는 밀착되고 싶고 가족 외의 사람들과는 적당히 멀고 싶다. 이것이 내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힘겨운 이유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가족이나 타인이나 우리에게는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 그 적당한 거리가 유지 되지 않는 이유...... 가족에게는 무조건 나를 내주고 싶고 가족 외의 사람들에게는 무조건 나를 내주고 싶지 않기때문에 다가오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것도....
사랑은 무조건 수용이라고 한다.
그러나 여기서 한가지 착각..... 수용은 요구를 절대적으로 들어주는 것이 아니다. 귀로는 들어주되 들어줌으로 끝나야 할 것들을 그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했을때 우리는 죄의식을 갖게 되고 나의 능력을 의심하며 괴로워지는 이유가 된다.
바로 그 수용의 충족도가 내 인간관계의 척도였던 것이다.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관계'에는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 
적당한 거리 안에 나에 대한 통찰이 필요하고 나를 통찰한 후 라야 타인과의 관계도 깊이와 넓이를 갖을 수 있다.
린드버그는 그 적당한 거리를 바닷가에서 주운 소라껍데기들을 늘어놓으며 들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무현

나는 노빠다. 

16대 대선, 노사모 가입, 노무현 당선... 펄펄뛰며 세상이 바뀔꺼라고 좋아하다. 

나는 노빠가 아니다. 

노사모에 가입하고, 선거에 한표를 행사하고, 그리곤 아무것도 한 것이 없으므로... 

아니,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대통령 노무현을 수시로 의심했다. 그의 정치적 능력을, 리더쉽을, 그리고 끝내는 그의 인간성까지도.......... 

그에게 고통을 주고 더이상 살 수 없는 명분을 준 한사람이다 나는..... 

나는 그분께 감히 명복을 빈다는 그 흔한 한마디조차도 죄스러워 드릴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