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고래
다시 도벨 지음, 베키 토른스 그림, 장혜경 옮김 / 생각의집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래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온순함, 부드러움, 인간의 친구, 우리와 가장 친근한 동물이라는 생각을 들게 합니다. 그런 차원에서 고래라는 생명체는 보고 또 봐도 사랑스러운 존재라 여겨집니다. 물론 우리 인간은 그런 동물, 고래를 사랑하고(?) 아낀다는(?) 입장에서 포획하고 전시하며 아이들의 교육 도구로도 사용하죠.

저의 꿈도 아이의 꿈도 고래를 자연 그대로의 현장에서 보고 싶은 로망이 있습니다. 그것이 정말 진정한 친구 사이로 맺음하는 관계가 아닐까요? 그에 앞서 만나는 #세상의 모든 고래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왜 그들과 친구였는지, 어떻게 그들을 급변하는 자연 생태계 앞에서 보호해야하는지의 이유를 이 작품에서 보여줍니다.


다양한 고래의 종류와 서식지 등의 설명은 기본이지요. 돌고래, 범고래, 흰고래를 비롯해 그간 알지 못했던 수많은 고래의 종류가 총망라 되 있어 읽어주는 입장에서도 신기할 따름입니다. 사실 고래가 예~전에는 육상 동물이었다는 이야길 들은적 있어요. 다리가 점점 퇴화되 지느러미가 되었다는 전설(?)같은 이야기가 있죠. 이러한 고래의 변화 과정도 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연 어떤 동물의 뿌리였을까? 상상해 보는 것도 큰 공부가 되겠죠.


고래가 변화해 현재에 이르렀을 것을 짐작할 만했던 진화 과정, 정말 저 동물이 진화한 것일까? 라는 생각을 갖게 할 만큼 다양한 동물들이 고래의 옛날 할아버지, 할머니의 모습을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추정케 합니다. 모양 상태, 뼈의 구조 등으로 다양한 변화의 사례를 예측한다니 신기하면서도 과학적인 방법에 혀를 내두르게 됩니다.


다양한 고래의 특징과 서식지에 대해 알아보는 재미도 더해 줍니다. 사실적인 그림이 생동감을 더하며 책 요소, 요소에 설명 되어 있는 고래의 특징이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마치 현장에서 바라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끔 합니다. 언택트 시대에 딱 맞는 그림 동화, 지식 백과에 가깝다고 할 정도의 양질 도서입니다. 고래의 소개뿐 아니라 그들이 먹는 먹이, 생태계의 상태 등도 친절하게 설명 되어 있죠. 고래의 유형에 따라 세계 각지에 분산되어 살아가는 모습을 관찰하는 것도 흥미롭습니다. 남극, 북극, 적도 및 국내의 바다에서도 돌고래. 참 신기하면서도 친근한 우리의 친구가 맞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이 인간과 고래가 친근한 사이로만 지냈던 것은 아니었죠. 인간이 살아가기 위해 포경선을 띄우고,고래의 살과 뼈로 식생활을 대체하는 경우도 많았던 것 같습니다. 고래의 튼튼한 뼈가 집을 짓는 도구로도 사용되었다고 하니 인간을 위한 헌신까지...... 인간 입장에서는 편리성이라지만 고래 입장에선 최악의 상황이었겠구나.라는 생각을 하니 마음이 아파옵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고래를 친구로 대하는 법을 가르쳐 주는 교육이 필요하며 이 작품이 여러모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환경 문제가 세계적으로 커다란 화두로 대두되고 있지요. 지구 온난화 문제도 고래의 생태계 변화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고래들이 먹을 식량 문제도 우리 인간의 어업 문화와도 연관성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고래에겐 소음 공해가 될 바닷길의 큰 유조선, 여객선 등도 고래에겐 큰 해가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어떻게 보면 인간은 편안해지는데 동물, 특히 고래에게 힘겨운 세상살이의 시대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고래의 생태계 보존, 바다를 아끼고 사랑해야한다는 환경 보존의 의미에서도 이 책은 큰 역할을 합니다. 고래를 살리면서 인류의 안전과 환경을 지켜 나가는 것이 인간과 고래가 영원한 친구로서 공존해가는 원동력이 되지 않을까요? 아이에겐 미래에 대한 자산을 어른에겐 현재의 삶에 대한 중요성을 전해주는 #세상의 모든 고래. 함께 하는 인간에게 자연이란 거대한 선물에 대한 에티켓이 필요함을 각성 시켜주는 그림 동화이자, 고래 지식 백과서입니다.


조금 거창할 수 있지만 아이들에게 자연을 중심으로 인류가 어떠한 지혜로운 방법으로 다양한 생명체들과 공생공존하며 살아가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이야기 나눌 수 있게 하는 작품입니다. 이러한 화두가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무게감이 아닌, 자연과 동물을 사랑하는 기본 원칙을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