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직 도시 - 기업과 공장이 사라진 도시는 어떻게 되는가
방준호 지음 / 부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에 머물러 살며 회사란 일터에 몸담고 있는 이들을 직장인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 대부분이 도시에 거주하며 도시에 위치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을지 모를 일이다. 하지만 만약에 이 도시가 죽은 도시, 실직 도시가 돼버린다면 어떤 기분일까?

아마 쉽게는 뭣 같겠고, 좌절, 낙담, 혹은 대안을 찾기 위해 동분서주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우조선의 거제시가 그러했고, 이 책의 주요 거점 장소인 군산도 마찬가지이다. 저자 방준호는 사람들의 이야기 듣기를 좋아하고, 정리 잘 하는 기자 출신의 르포 작가이다.

실직할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펜 끝으로 예리하게 정리한다. 노동자들이 실직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상황이 궁금해진다. 딱 맞는 시기에 출간된 이 책을 읽다 보면 궁금증에 대한 갈증이 해소되리라 여겨진다. 우린 다양한 해고, 실직, 직장 폐쇄 등의 기사를 수시로 듣는다. 하지만 무엇인 명확한 진실인지 뉴스 보도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작은 도시나 농촌에 거대 기업이 들어와 지역 경제를 살리는 것은 자본주의의 논리에 당연한 사례이자 기업으로서의 몫이기도 하다. 그렇게 되면 도시 인구는 늘어나고 거대화되어 살기 좋은 도시로 뉴스에 포장된다. 반대로 그런 도시의 기업이 도산하거나 지역 이전을 하게 된다면 그 결과는 불 보듯 뻔하다. 일차덕 피해는 대부분 실직 노동자들과 그들 가족이 껴안게 되는 부채이다. 이 책의 중점 지역은 산업 도시 군산이다. 절대 쉬지 않을 것 만 같은 기계들이 멈추고 공장 노동자들은 거리에 내몰리게 된다. 그 실상을 파악하고 배우는 것, 함께 공감하는 것은 독자들이 지녀야 할 가장 기본적 의식이자 도덕적 윤리라는 판단까지 서게 된다. 그리고 어떻게 그들의 일터를 되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지 《실직 도시》에서 조금이나마 가늠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시작은 초라했다. 실직자 대책을 마련키 위한 노사와 정부 부처 간의 회의 기간이 남북 정상회담이 겹쳐진 이유도 컸다. 실직자로 몰리게 될 노동자들의 운명은 '생과 사'를 오가는 위태로운 상황이었음에도 국가의 이벤트란 이름의 남북 정상 회의에 가리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나마 이 책의 저자 방준호 작가는 이날 노동자 측 대표로 나오게 된 김성우(가명)와의 다음 만남을 기약하며 자신의 신분을 밝히는 것이 전부였다.

이후 저자는 김성우를 비롯해 그의 해직 동료들을 만나고 그들이 눈물을 흘리며 자신이 몇 십 년간 근무했던 일터를 떠나는 심정, 새로운 자격증과 일에 도전하는 삶의 애환을 기록하며 있는 그대로의 사실, 부족한 지면에 필요한 말만을 세상에 알리려는 노력도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작은 시작이 저자가 이야기한 것처럼 '낯선 다른 세계와 익숙한 내 세계의 관계를 다시 밝히도록 애써야 한다'라고 마음먹은 시작이 되었다. 옛 것의 영광이 지나가고, 다시 한번의 격동을 치른 후 상흔만이 남은 도시, 그리고 사람들. 지금 이 순간이 암울하게 머물고 있는 군산의 현주소가 생동감 있게 기록되어 있다.



*출판사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담았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2-01-02 2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게 알림이 왔습니다! ˝웃는식˝님께서 <실직도시> 리뷰를 작성하셨다고!^^ 이제 막 읽으려는 <노동에 대해 말하지 않은 것들>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웃는식 2022-01-31 09:37   좋아요 1 | URL
아이구 감사합니다!!!^^저도 킵해둘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