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욕의 감각 - 아트 디렉터가 큐레이팅한 도시의 공간과 문화, 라이프 스타일
박주희 지음 / 다산북스 / 2024년 7월
평점 :
도시, 브랜드가 되다
건축가 서현은
“건축이 사람을 담는 그릇이라고 표현되는 것처럼 공간은 단지 바라 보기 위한 대상이 아니다. 구체적인 인간의 모습과 생활 그리고 그 사회의 부대낌, 사회가 바라보는 미래의 모습을 담는 그릇이 된다. 이리하여 건축은 건축가가 공간으로 표현하는 시대정신이 되는 것1)”
이라고 했다. 이를 도시 단위로 확장해보면, 그 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감각 같은 것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물론 장소와 건축의 분리를 통해 이루어진, ‘상품으로서의 건축’에 길들여진 사람들이라면 그 도시만의 고유한 감각을 얘기하기 어렵겠지만.
사람이 모여 ‘도시’라는 장소를 만들면, 그 도시는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을 변화시키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노래하게 된다. 사람으로 치면, ‘개성’을 갖게 된 셈이다. 이렇게 개성을 가진 도시는 ‘뉴요커’처럼 그 도시의 거주하는 사람들의 이미지도 만들어낸다. 즉, 도시 자체가 하나의 브랜드가 되는 것이다.
뉴욕이라는 도시
이 책은 수 많은 도시 가운데 ‘뉴욕’이라는 도시를 선택했다. 그것은 아마 저자가 여행객이 아닌, 뉴욕에서 10년간을 보낸 ‘뉴요커’였기 때문이 아닐까?
어쨌든 <뉴욕의 감각>이라는 책은 공간, 예술, 문화, 맛을 테마로 뉴욕이라는 도시의 분위기를 소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장 공간, 사람을 끌어당기는 중력’에서는 ‘뉴욕’하면 떠올리는 이미지를 만드는 장소들과 브랜드를 소개한다.
가장 먼저 소개된 하이라인 파크[2009]는 도시재생의 대표적인 사례로 유명하다.
하이라인 파크는 오래된 기찻길 위에 자연적으로 자라난 풀과 꽃을 인공적으로 덮지 않고 남겨둬 길과 어우러지게 설계했다. 그래서 보도가 반듯하지 않고 좁거나 길거나 넓은 자유로운 형태로 이어지며 풀이 무성한 곳도 있다. 그래서 하이라인 파크는 직선으로 걸을 수 없다. 곳곳에서 나타나는 풀과 꽃이 발걸음을 조심스럽게 만든다. 하지만 보도와 높이가 비슷하기 때문에 시야를 방해하지 도 않는다. 자연스럽게 녹이 슨 갈색의 철길에 뿌리를 내린 꽃과 풀, 양쪽에 늘어선 개성 있는 건축물, 달리는 차를 바라보며 내 속도로 걸어갈 뿐이다. [p. 23]
‘뉴욕’하면 떠올리는 화려함을 만끽하고 싶다면, 2주에 한 번씩 바뀌는 쇼윈도를 통해 뉴욕 거리의 표정을 바꾼다는 버그도프 굿맨 백화점[1901]을 방문하면 된다.
이곳은 마치 잘 차려진 편집숍 같다. 품목별로 나눠진 공간에서는 브랜드에 상관 없이 맘에 드는 제품을 집어 비교해 볼 수 있다. 다른 백화점에서 이브닝 드레스를 사기 위해 온갖 브랜드 매장을 다 들어가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면, 이곳에서는 이브닝 드레스가 큐레이팅된 공간에서 오직 이브닝 드레스만 여러 브랜드별로 비교해서 보고 구입할 수 있다.
쇼핑은 즐거운 일이지만, 물건 하나를 구입하기 위해 취향에 맞지 않는 곳까지 일일이 둘러보는 것은 피곤한 일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버그도프 굿맨은 고객에게 합리적인 동선으로 편리함을 주고, 섬세한 큐레이팅으로 취향을 찾을 수 있게 돕는다.
~ 중략 ~
편집숍이라는 방식은 고객이 좀 더 주체적으로 제품을 찾고 구매하는 기쁨을 준다. 그것은 자신의 취향을 발견하고 욕망을 실현하는 것과도 직결된다. 소비하는 인간의 본질적 욕구를 건드린 버그도프 굿맨의 전략은 결국 뉴요커를 매료시키는 데 완벽하게 맞아 들었다. 시간이 흘러도 누군가 계속 찾는 곳이 되기 위해서는 정체되기보다 끊임없이 연구하고 발전하며 자신만의 색깔을 찾는 것이 중요하단 사실을 이곳을 보며 다시 한번 깨닫는다. [pp. 29~32]
미국의 전설적인 금융 황제 존 피어폰트 모건(John Pierpont Morgan, 1837~1913)이 모은 수집품을 전시한 모건 라이브러리 앤 뮤지엄[1906]은 어떤 의미에서는 돈 냄새가 물씬 풍기는 뉴욕을 보여준다
어쩌면 모건의 부와 명예는 미국이라서 지켜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의 과오는 티끌이 되고, 그의 돈으로 수집한 물건이 업적으로 기억되는 건 미국이 자본주의의 첨단을 걷는 나라여서 가능한 것은 아닌지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p. 43]
뮤지컬의 성지(聖地) 브로드웨이도 유명하지만, 최초의 흑인 수석 무용수 지명(2015)으로 다문화국가인 미국을 상징하는 듯한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1939]의 존재감도 뚜렷하다.
아메리칸 걸[1986]이라는 인형 가게는 찰스 슐츠(Charles Schulz, 1922~2000)의 만화 <피너츠(Peanuts)>을 떠올리게 한다. 평범한 흑인 아이 프랭클린 암스트롱(Franklin Armstrong)을 만화에 등장시켜 자연스럽게 편견을 깼던 것처럼, 다양한 인형을 통해 자연스럽게 다름을 존중하는 문화를 경험하게 하기 때문이다.
아메리칸 걸에는 드레스를 입은 우아한 인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형이 있다. 휠체어를 탄 인형, 목발을 든 인형, 안내견과 함께 있는 인형도 있다. 아이들이 어렸을 때부터 나와 다른 것에 어떠한 편견도 가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데 한몫하고 있는 것이다. 역시 ‘아메리칸’ 걸이라는 이름을 쓸 만한 자격이 있는 곳이다. 그러고 보면 미국은 이렇게 인형 가게에서도 ‘다름을 존중’하는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이런 사소하지만 자연스럽게 스며 있는 평등의 문화가 다양성의 나라 미국을 만든 게 아닐까. [p. 92]
‘2장 예술, 시간이 흘러도 퇴색되지 않는 아름다움’에서는 뉴욕이라는 도시가 단순히 졸부(猝富)처럼 돈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님을 드러낸다. 뉴욕을 대표하는 근현대미술의 메카인 ‘뉴욕 현대미술관’, 200만 점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소장품을 가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중세 건축물 잔해를 조합해 만든 ‘클로이스터스 박물관’, 분리파(Secession)2)의 미술에 집중한 미술관인 ‘노이에 갤러리’, 오직 미국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품만 취급하는 ‘휘트니 미술관’, 타이타닉의 비극이 낳은 ‘구겐하임 미술관’, 뉴욕의 3대 갤러리라는 가고시안, 페이스, 데이비드 즈위너 등 곳곳에 예술 공간이 가득한 이 도시는 뉴요커들이 그림을 쉽게 접하고 감각과 안목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며, 파리만 예술의 도시가 아님을 상기시켜 준다.
‘3장 ‘문화, 다채로운 이야기 가득한 뉴요커의 일상’에서는 뉴욕에 사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뉴요커의, 아니 뉴요커가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보여준다.
‘미국’하면 떠올리는 록펠러(Rockefeller) 가문은 뉴욕시의 수도세를 부담하는 등 사회 환원 사업으로 더 각광받고 있다. 석유왕 존 D. 록펠러(John D. Rockefeller, 1839~1937)의 며느리 애비 록펠러(Abby Rockefeller, 1874~1948)와 그녀의 두 친구에 의해 뉴욕 현대미술관이, 그의 손자 넬슨 록펠러(Nelson Rockefeller, 1908~1979)가 기증한 3,000여 점의 작품을 토대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각각 시작되었다. 뿐만 아니라 존 D. 록펠러 본인도 시카고 대학(1890)과 록펠러 대학(1901)을 세우고, 세계 최대 규모의 자선 단체인 록펠러 재단(1913)을 설립했다.
부자만 기부하는 것은 아니다. ‘뉴욕의 허파’라는 센트럴 파크는 공공 공원이지만 개인의 기부와 기업의 후원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특이한 것은 개인의 기부를 장려하기 위해 1만 달러를 기부하면 기부자가 원하는 문구를 동판에 새겨 벤치에 붙여주는 ‘어답트 벤치(Adopt A Bench)’라는 제도다. 이런 방식을 사용하기에 센트럴 파크는 산소를 공급하는 물리적인 ‘뉴욕의 허파’일 뿐 아니라, 다름이 차별로 변질되지 않고 ‘우리는 모두 뉴요커’라는 인식을 공유하게 만드는 정신적인 ‘뉴욕의 허파’가 된 것이 아닐까?
록펠러가 싹 틔운 기부 문화는 오늘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지금도 미국에서는 어느 정도 부를 쌓으면 사회에 기부하는 것을 고소득자의 의무이자 명예라고 생각한다.
~ 중략 ~
일반 시민에게도 소액이나마 동네 체육관이나 학교에 기부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자리 잡혀 있다. 모든 이들에게 생활화된 미국의 기부 문화는 그 자체가 나라의 가치를 높이는 브랜딩 전략이란 생각이 든다. 뉴욕에 사는 동안 도시 곳곳에 보이는 기부의 흔적들, 이를테면 시민들이 세운 미술관이나 박물관 같은 곳을 보면서 높은 시민 의식이 어떻게 도시의 문화를 꽃피우는지 볼 수 있었다. 전 세계인이 사랑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도, 현대미술관도 다 미국 시민들의 기부로 인해 만들어진 문화 공간이다. 어쩌면 기부와 나눔 문화는 세계적 찬사를 받는 글로벌 메가시티의 필수 요건이 아닐까. [p. 211]
뉴욕의 또 다른 특징은 보행자를 배려하는, 걷기 좋은 도시라는 점이다. 이런 특징은 심지어 범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로스앤젤레스 같은 경우, 은행 강도들이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고속도로 출구 또는 입구 가까이에 위치한 은행을 털고 바로 고속도로로 진입해서 경찰 헬기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사라진다고 한다. 반면, 뉴욕의 은행 강도들은 자동차를 타고 움직이지 않는다고 한다.
코튼 요원은 교통 체계가 다르고, 보행자 친화적인 뉴욕의 도로에서는 다른 종류의 은행털이가 벌어진다고 지적했다. 뉴욕의 범죄자는 뛰거나 지하철을 타고 도망간다는 것이다.3)
뉴요커의 또 다른 라이프 스타일을 보여주는 것이 특정 요일에만 형성되는, 농산물 직거래 장터인 유니언스퀘어 파크의 ‘파머스 마켓(Farmer’s Market)’이다.
뉴욕시는 뉴욕으로부터 321킬로미터 이내에 있는 곳에서 생산된 농산물만 거래하도록 규정을 만들어놓았다. 운반하는 과정에서 농작물들이 스트레스 받지 않고 올 수 있는 최대 거리가 321킬로미터이기 때문이란다. 그래서 농산물들은 주로 뉴저지나 롱아일랜드, 메인 등 뉴욕 근교의 주에서 오며 무척 신선하다. 농부들은 중간 마진을 떼지 않은 채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어서 좋고, 구매자들은 원산지가 정확하고 건강한 채소나 과일을 눈으로 보고 사 갈 수 있으니 모두가 윈윈이다. 게다가 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자연스레 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으니 이곳을 주로 찾는, 오가닉한 삶을 추구하며 자연 보호에 앞장서는 사람들에게도 뜻이 맞는 곳인 셈이다. [pp. 247~249]
‘4장 맛, 마음까지 열고 닫는 음식의 힘’에서는 네덜란드 사람들의 거주지 ‘뉴암스테르담’에서 출발한 뉴욕의 다양한 맛을 보여준다.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탈리아 음식을 즐길 수 있는 ‘밥보(Babbo)’,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굴[Oyster]의 도시였던 뉴욕의 흔적이 담긴 그랜드 센트럴 역의 ‘오이스터 바(Grand Central Oyster Bar)’, 샤오롱바오[小籠包]로 유명한 홍콩요리 전문점 ‘조스 상하이(Joe’s shanghai)’, 클래식한 스테이크의 정수를 보여주는 ‘피터 루거(Peter Luger Steak House)’, ‘뉴욕의 디저트’하면 떠오르는 치즈케이크를 파는 대표적인 가게인 ‘주니어스(Junior’s Restaurant & Bakery)’, 이탈리아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분위기의 이탈리아 식재료와 음식을 함께 파는 오픈 마켓인 ‘이틀리(Eataly NYC Flatiron)’ 등을 소개하고 있다.
1) 서현, <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개정판), (효형출판, 2004), p. 248
2) 빈 분리파(Wiener Secession)로도 불린다. 1897년 빈(Wien)의 전시관인 퀸스틀러하우스(Kunstlerhaus)의 보수주의 성향에 불만을 가진 예술가들이 탈퇴하여 결성했다. 분리파의 주요인물로는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1862~1918), 에곤 실레(Egon Schiele, 1890~1918), 오스카르 코코슈카(Oskar Kokoschka, 1886~1980) 등이 있다.
3) 제프 마노, <도둑의 도시 가이드>, 김주양 옮김, (열림원, 2018), p.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