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이 그린 일본 지도 ㅣ 조선의 사대부 26
이근우 지음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2023년 11월
평점 :
우리는 한 장의 지도에 담긴 정보량이나 지리적인 인식, 관심사, 제작 방식 등을 통해서 그 사회의 수준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회의 지도와 서로 비교함으로써 각 사회의 지향점도 파악할 수 있다. 지도 한 장이 갖는 의의는 대단히 크다.
그런데 지도는 사실대로가 아닌,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대로 그려진다. [p. 5]
조선 시대 일본 지도로 가장 먼저 언급되는 것은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 이하 ‘혼일도’)>다. 이 지도는 당시 알려진 구대륙 전체를 아우르지만, 원도(原圖)는 전해지지 않고 1470년에 수정된 지도의 사본이 남아 있다. 주목할 것은 이 지도를 만들 때, 박돈지(朴敦之, 1342~1422)가 회례사(回禮使)로 일본에 갔다가 비주수(備州守) 미나모토노 쇼스케[源詳助]로부터 입수한 상세한 일본 전도를 참고했을 것이라는 점이다. 어쨌든 이 <혼일도>에 포함된 일본 지도에는 지명과 해안선 외에 다른 정보가 거의 없으며, 나찰국(羅刹國)나 영주(瀛州)와 같은 가상의 공간도 포함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는 조선 전기 조선의 일본에 대한 인식을 대표하는, 신숙주(申叔舟, 1417~1475)의 주도로 편찬된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다. 여기에는 그가 세종 때 다녀온 쓰시마섬[對馬島], 이키섬[壹岐島], 류쿠[琉球] 왕국 등의 사회, 풍속, 문화, 지리, 생활상, 정치·외교관계 등이 총체적으로 분류, 정리되어 있다. 나아가 이 책에 수록된 방대한 지명은 일본의 지명 연구나 중세 언어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이 책에는 ‘해동제국총도(海東諸國總圖)’, ‘일본본국지도(日本本國之圖)’, ‘일본국서해도규슈지도(日本國西海道九州之圖)’, ‘일본국이키섬지도(日本國壹岐島之圖)’, ‘일본국쓰시마섬지도(日本國對馬島之圖)’, ‘유구국지도(琉球國之圖)’ 등 모두 6개 일본 지도가 실려 있다.
이렇게 <해동제국기>가 편찬된 것은 어쩌면 유학자답지 않게 민간 상업의 진흥을 지지하고, 실무를 중시하는 신숙주였기에 가능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조선시대 통틀어 최고의 일본통이었을지도 모를 신숙주가 죽은 후 일본은 전국시대에 돌입했고, 한일간의 연락은 끊어지게 된다. 게다가 신숙주와 맥을 같이 하는 훈구파가 몰락하고 사림파가 득세하면서 상황은 바뀌게 된다. 널리 알려진 대로 조광조로 대표되는 사림파는 민생과 현실보다 의리와 명분을 중시했다. 이는 조선 백성을 납치하고 재물을 약탈하고 달아난 여진족 추장 속고내(束古乃)가 압록강을 넘어 사냥하러 들어오자 이를 기습, 체포하자는 의견에 강력하게 반대했던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게다가 사림파가 집권을 한 이후에는 붕당(朋黨)으로 대표되는 신하들의 정국 주도권 다툼과 탕평(蕩平)으로 대표되는 왕권 강화 노력, 그리고 세도 정치로 이어지는 흐름 속에서 조선의 사대부는 외부에 관심을 가질 여력이 없었다.
만약 여력이 있더라도 조선 사대부가 일본에 대해 가지고 있던 선입견은 또 다른 걸림돌이 되었을 것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소중화(小中華) 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당시 조선 사람들에게 있어서 임진왜란(壬辰倭亂)은 루쉰[魯迅]<아Q정전(阿Q正傳)>에서 ‘아Q(阿Q)’가 멸시하던 왕(王)털보에게 사소한 시비 끝에 일방적으로 두들겨 맞은 것과 마찬가지로 어이없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에 대한 피해의식을 일본에 대한 무시라는 형태로 도치, 발현시킴으로써 ‘아Q(阿Q)’처럼 자위한 것이 아닐까? 이는 18세기 조선 사대부가 임진왜란을 떠올리며 일본을 야만적인 나라라고 얕보고 제대로 알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았던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이는 선조 40년(1607)부터 순조 11년(1811)까지 12차례의 통신사(通信使)가 일본을 방문하여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의 <해사록(海?錄)>,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와 쌍벽을 이루는 기행문학이라는 신유한(申維翰, 1681~1752)의 <해사동유록(海槎東遊錄), 이하 ‘해유록(海遊錄)’>, 조엄(趙曮)의 <해사일기(海槎日記)> 등 다양한 기록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기의 신숙주처럼 제대로 된 일본 지도를 만들거나 일본에 대한 지리 정보를 갱신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심지어 이 시기 일본에서는 조선과 달리 정부가 지도를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에 풀려있어 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그 결과 17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지도급일본유구중원(朝鮮地圖及日本琉球中原)> 등에 수록된 일본 지도가 아예 조선 초기인 무로마치 막부[室町 幕府; 1392~1467] 시기의 일본정보에 기초하게 된다. 그러니 지명의 오류, 지리적인 오류, 사실의 오류가 나타날 수밖에.
그나마 조엄과 함께 통신사 서기(書記)로 갔던 원중거(元重擧, 1719~1790)가 쓴 백과사전식 견문록인 <화국지(和國志)>에 실린 12장의 일본 지도는 결을 달리한다. 적(赤), 청(靑), 흑(黑) 3색으로 그려진 이 지도들은 주(州)별 경계 및 도시명, 육로와 수로 등 교통로, 산과 대천(大川) 등 자연 지리 등이 비교적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고 한다. 나아가 원중거와 교분이 있던 북학파 실학자들의 일본 인식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다만 북학파가 현실에 미쳤던 영향력을 감안하면, 조선 사대부의 일본인식을 변경하지는 못했으리라 생각한다.
이는 <동람보첩(東覽寶帖)>의 ‘천하도(天下圖)’처럼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지리서인 <산해경(山海經)>의 천원지방(天圓地方)의 논리와 전설적이거나 공상적인 지명으로 지도의 외곽을 채우는 방식의 지도가 17세기부터 19세기 후반까지 나온 것으로도 알 수 있다.
반면, 일본은 도쿠가와 막부[德川 幕府; 1603~1868] 시기에 들어서면서 막부의 전국에 대한 통제력이 확립되자 각 지역 봉건 영주로부터 지도를 받아 일본 전체 지도를 제작했다. 또한 유럽 등에서 제작된 세계지도의 전래되고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등의 지리학이 수용되어 일본의 지도 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다. 덕분에 다양하고 자세한 지도가 만들어졌다.
그 중 이시카와 류센[石川 流宣]이 그린 <본조도감강목(本朝圖鑑綱目)>(1676)을 입수한 윤두서(尹斗緖, 1668~1715)가 <일본여도(日本輿圖)>를 제작했으나 이것도 원중거의 <화국지>나 이를 간략한 형태로 보이는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청령국지(蜻蛉國志)>와 비슷한 운명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임진왜란 이후 일본 지도 제작에서 보이는 한국과 일본의 차이는 세계사의 흐름에 편승하느냐 아니면 거슬러 역행하느냐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는 실제 역사에서 두 나라의 운명을 갈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