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앞의 생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란?

 

삶이란 어떤 것일까? ‘삶’, ‘Life’, ‘生’……. 다양한 언어로 표현하기는 쉬워도 정의(定義)하기는 어려운 단어다. 어쩌면 사람마다 자신만의 삶에 대한 정의가 있을지도 모른다. 각자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느끼는 것이 다를 테니까.

 

러시아 사실주의 문학의 선구자이자 러시아 국민 문학의 아버지로 유명한 알렉산드로 푸시킨(Alexander Pushkin, 1799~1837)은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하지 말라!

슬픈 날엔 참고 견디라

즐거운 날이 오고야 말리니, 왜 슬퍼하는가?

마음은 미래를 바라느니

현재는 한 없이 우울한 것

모든 것은 순식간에 지나가고

지나간 것은 훗날 소중하게 여겨지리라

 

라는 시(詩)를 남겼다. 어떤 삶이든 상관없이 삶에 순응하라는 의미로 읽혀진다. 하루하루가 고달픈 삶을 사는 이라면 이런 자세가 위로가 될 것이다.

에밀 아자르, 아니 로맹 가리(Romain Gary, 1914~1980)의 <자기 앞의 생>도 비슷한 느낌을 주는 작품이다. 1970년 이방인들이 밀집된 빈민지역인, 파리의 멜빌에 있는 아파트에서 창녀들의 아이들을 맡아 기르는 폴란드계 유대인 아줌마 로자의 손에서 아랍 소년 모하메드 카디르(이하 ‘모모’)가 성장해가는 모습을 그려가고 있다.

 

모모는

 

나는 영화에서 죽어가는 사람이 마지막 순간에 “여러분 각자 자기 일을 열심히 하십시오”라고 말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건 그가 생을 이해한다는 뜻이다. 감상에 젖어서 사람들을 우울하게 만드는 것은 쓸데없는 것이다. [p. 139]

 

라고 얘기한다. 이것만 보면, 저자가 모모의 입을 빌려 말하는 생(生)은 무척 건조할 것 같은데, 또 막상 소설 속에 그려지는 삶이 그렇지도 않은 것을 보면 묘(妙)하다.

 

 

생(生)을 긍정해야 버틸 수 있는

 

열네 살 모모의 주변에는 사회로부터 소외되어 밑바닥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악명 높은 아우슈비츠에 끌려갔다가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뒤 거리의 여자로 살아가다가 은퇴 후에는 주로 창녀의 자식을 맡아 키우게 된 폴란드 출신 유대인 로자 아줌마, 여자의 삶을 선택한 세네갈의 전직 권투선수 출신의 여장 남자 롤라, 첫사랑을 평생 잊지 못하는 알제리 출신 무슬림 노인 하밀, 나이지라아 출신의 멋쟁이 포주인 은다 아메데, 거리에서 묘기를 부리는 카메룬 출신의 청소부 흑인 왈룸바…….

 

로자 아줌마는 폴란드 태생 유태인이었지만, 수년간 모로코와 알제리에서 몸으로 벌어먹고 살았기 때문에 아랍어를 웬만큼 할 줄 알았다. 유태어도 알았기 때문에 우리는 곧잘 유태어로 이야기하곤 했다. [p. 13]

 

오층에 사는 롤라 아줌마는 여장 남자로, 볼로뉴 숲에서 일했다. 바다를 건너오기 전에는 세네갈에서 권투 챔피언이었다고 했다. [p. 18]

 

하밀 할아버지는 알제리에서 온 사람이었다. 삼십 년 전 알제리에서 메카로 순례를 떠났었다. [p. 48]

 

생 미셸 거리에서 불을 삼키는 묘기로 구경꾼을 끌어 모으던 왈룸바 씨도 찾아와 로자 아줌마 앞에서 자기 재주를 보여주었다.

왈룸바 씨는 카메룬 출신의 흑인으로 청소부 일을 하고 있었는데,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그는 여러 명의 아내와 자식들을 고향에 두고 왔다. 그의 불 삼키는 솜씨는 가히 올림픽 금메달 감이었고, 그는 여가시간을 모두 이 일에 바쳤다. [pp. 196~197]

 

이들은 모두 사회로부터 소외되어 밑바닥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이지만, 서로에게 부족한 것을 채워주려고 노력한다.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 없다. 그저 서로에게 관심을 갖고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에서 시작하면 된다. 한 사람의 슬픔과 고통을 여러 사람이 나눔으로써 그 무게를 줄이고 상황을 다소 누그러뜨리는 것처럼.

 

그래서 모모의 아버지 유세프 카디르가 자기 아들을 찾으러 왔다가, 아랍인[모하메드]이 아닌 유대인[모세]으로 키워졌다는 오해에 충격을 받아 죽은 다음에 로자 아줌마와 모모의 모습을 그린 부분은 의미심장하다.

 

우리는 좀 전에 일어난 일에 대해 서로 말하지 않으려 애썼다. 머리만 복잡해질 것이 뻔했다. 나는 그녀의 발치에 있는 등받이 없는 의자에 앉아서, 그녀가 나를 지키기 위해 해준 일들에 감사하며 그녀의 손을 잡아주었다. 우리가 세상에서 가진 것이라고는 우리 둘뿐이었다. 그리고 그것만은 지켜야 했다. 아주 못생긴 사람과 살다 보면 그가 못생겼기 때문에 사랑하게 되는 것 같다. 정말로 못생긴 사람들은 무언가 결핍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것이 오히려 장점이 된다. [p. 232]

 

이 부분은 아무리 힘들어 버거운 삶도, 혼자가 아닌 ‘함께’라면 살만하다고 얘기가 아닐까? 어쩌면 이 모든 것이 역설적으로 각자가 자기 앞에 놓인 생(生)을 긍정하고 버티기 때문에 가능한 것일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