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스: 가능한 세계들>이 나오기까지
칼 세이건(Carl Sagan, 1934~1996)이라고 하면 대부분 <코스모스(Cosmos)>(1980)라는 이름의 책이나 다큐멘터리를 떠올린다. <코스모스: 가능한 세계들(Cosmos: Possible Worlds)>의 저자인 앤 드루얀(Ann Druyan, 1949~ )은 바로 그 칼 세이건의 아내이자 천문학자인 스티븐 소터(Steven Soter, 1943~ )와 함께 <코스모스>의 원고를 함께 작성한 사람이다.
그래서일까? 1996년 칼 세이건이 사망한 후에도 그녀는 그의 유지를 이어받아 스티븐 소터와 함께 2014년 <코스모스>(1980)의 업데이트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코스모스: 스페이스타임 오디세이(Cosmos: A Space Time Odyssey)>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했을 뿐 아니라 제작 및 감독에 참여했다.
그렇기에 40년의 시간이 흐른 2020년에 앤 드루얀이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와 같은 방식으로 <코스모스: 가능한 세계들(Cosmos: Possible Worlds)>을 출간하고 동명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왜 <코스모스: 가능한 세계들>을 출간 및 제작했을까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한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 이하 ‘아인슈타인’)은 1939년 세계박람회 개막식에서 “과학이 예술처럼 그 사명을 진실하고 온전하게 수행하려면, 대중이 과학의 성취를 그 표면적 내용뿐 아니라 더 깊은 의미까지도 이해해야 합니다.” [p. 26]라고 말했다.
앤 드루얀에 따르면 아인슈타인의 이 말이 ‘코스모스’ 프로젝트의 꿈이라고 한다. 그녀가 보기에는 이것이 “우리가 직면한 여러 위기를 전부는 아니라도 많이 해결해 줄 만한 열쇠” [p. 7]라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즉, 과학의 성취를 표면적 내용뿐 아니라 더 깊은 의미까지 이해한다는 것을 “최대한 많은 사람이 과학을 지금과는 사뭇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 [p. 7]이라고 본 것이다. 사실 우리는 과학을 도구로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다. 그런데 그녀는 과학을 도구가 아닌 사상 혹은 관점으로 수용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분명히 그녀도 과학이 가지는 부정적인 영향력은 인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주장하는 것은 한국의 동도서기(東道西器), 중국의 중체서용(中體西用), 일본의 화혼양재(和魂洋才)처럼 과학이라는 학문을 내용적 측면이 아니라 형식적 측면에서 받아들이는 어리석음을 피해야 한다는 얘기가 아닐까? 그래서 그녀는 “우리는 이제부터라도 과학자들처럼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각해야 합니다. 우리의 이른바 지도자들은 다음 선거 혹은 사분기 평가까지의 시간에만 신경 씁니다. 우리에게는 그런 근시안적 사고를 지속할 여유가 더는 없습니다. 우리가 직면한 위기는 우리가 제대로 해결해 내지 못할 경우, 지구 문명 전체를 파괴할 위기이니까요.” [p. 9]라고 말한 것일 것이다.
인류는 이 책의 1장 처음에 쓰여진 것처럼 “우리는 이 광막한 우주에 출현한 지 얼마 안 된 어린 존재” [p. 39]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기술적 사춘기’ 즉, “젊은 문명이 스스로를 파괴할 기술적 수단을 갖추었지만, 아직 그런 파국을 예방할 성숙함과 지혜를 갖지 못한 위험천만한 시기” [p. 421]를 거치는 것도 당연하다.
어쩌면 저자가 인류가 자초한 ‘대멸종의 시대’를 언급하면서도 낙관적인 전망을 버리지 않는 것은 “우리 중 충분히 많은 수가 전 세계 과학자들의 말을 마음에 새긴다면, 그리고 행동한다면, 이 재앙을 충분히 멈추고 되돌릴 수 있다고” [p. 8] 믿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누군가는 ‘칼 세이건 <코스모스>의 정식 후속작’이라는 책소개를 들어 저자가 <코스모스>(1980)에 대한 신뢰와 지지에 기대어 이 책을 썼다고 할 지도 모른다. 그렇게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책이 말한 대로 과학이라는 열쇠로 인류가 재앙을 멈출 수 있다는 믿음을 확신시켜 무의식 중에 파멸로 향하는 인류의 발걸음을 멈추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