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잔 이펙트
페터 회 지음, 김진아 옮김 / 현대문학 / 2017년 4월
평점 :
아마 책 좀 읽는다 하는 사람들이라면 덴마크 출신 작가 페터 회의 <스밀라의 눈에 대한 감각>이란 책을 알 것이다. 나 역시 그 책은 가지고 있다. 하지만 소장만 하고 읽진 않아서 왜들 그렇게 절판 당시 타령을 해대는지 알 수가 없다. 지금은 재출간 돼서 언제라도 구해서 볼 수 있어서 그런지 복간된 후에 오히려 인기가 줄었다고 해야 할까. 아마 많은 이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알고 있거나 가지고 있지만 읽은 사람은 또 드문 그런 책이 아닐까 조심스레 추정해 본다. 이번에 새로 출간된 <수잔 이펙트>(2014)는 페터 회 작가의 최신작이자 8번째 작품이다.
어디선가 이 책을 ‘미학적 스릴러’라고 평하는 것을 보았는데 다 읽고 나니 충분히 이해가 갔다. 그리고 쉽게 읽히는 책이 아니라는 점도. 소설의 주인공 수잔 스벤센은 올해 44세 그리고 코펜하겐 대학에서 물리학 강사로 일하고 있는 중이다. 시작은 스벤센 가족이 빠진 곤경으로부터 시작한다. 21세기 가족 시스템의 은밀한 내부가 그렇듯, 스벤센 가족 역시 파국일보 직전이다. 전직 법무부 장관이라는 토르킬 하인이라는 이름의 사나이가 수잔에게 은밀한 제안을 한다. 물론 로버트 레드포드가 드미 무어에게 영화에서 한 것 같은 그런 제안은 아니고, 미래위원회라는 조직의 마지막 보고서를 찾아 달라는 부탁이었다. 소설이 진행되면서 독자들은 알게 되겠지만, 수잔은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어떤 사람이라도 그녀 앞에 서면 거짓말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인은 그녀의 그런 능력을 이미 알고 있었던 걸까.
미래위원회라는 조직이 있는지도 몰랐던 수잔과 가족들은 비밀을 파헤칠수록 자신들의 안전이 위협받는 사실과 한 때 전도유망한 청년들이 만든 미래위원회 위원들이 하나둘씩 죽음을 맞으면서 막장 드라마 같이 시작되었던 소설은 드디어 미학적 스릴러로 진화하기 시작한다. 게다가 수잔의 과거가 등장하면서 요즘 뜨거운 이슈 중의 하나인 페미니즘에 대한 문제제기도 빠뜨리지 않는다. 객체가 아닌 주체로서 삶을 살아야 하는 여성이 아닌 인간으로서 존재의식의 발로라고 해야 할까. 단순히 재밌는 막장드라마를 기대했던 독자는 혼돈 속으로 빠져 들기 시작한다.
어느날 자신과 솔로 댄서로서 한 세대 앞서 페미니스트로서 삶을 산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고아원/소년원에서 세상을 배운 수잔 스벤센의 가공할 만한 과거에 대한 고백에 파티에 모인 이들의 입이 쩍 벌어진다. 어떤 이야기들은 정말 숨겨야만 하는 게 아니었던가. 아니면 그렇게 헤진 상처를 만천하에 공개함으로써 더 화끈한 힐링을 원했던 걸까. 소설 <수잔 이펙트>에서 다루는 파격은 그것으로 끝이 아니다.
결국 우여곡절 끝에 미래위원회가 준비한 결론에 도달하게 된 수잔은 인류의 미래가 결국 파국이고, 소수의 엘리트들만이 생존을 위해 준비한 패러다이스로 자신도 초대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무지막지한 핵군비 경쟁 혹은 환경파괴로 인류의 생존은 더 이상 안전을 담보할 수 없게 되었고, 어떻게든 살아남기 위해 인류의 미래를 선택받은 소수에게만 전하겠다는 행정편의적인 이기주의가 독자가 결말에서 만나게 되는 핵심이다. 소설에서 전개된 내용을 우리 사회에 전개하게 된다면, 종말론적 노아의 방주에 탑승하게 된 사람들은 누구일까? 그다지 쓸모가 없어 보이는 정치인들? 막대한 금권을 자랑하는 재벌가 사람들? 인류 생존에 절대적으로 필요할 환경전문가 혹은 농업생산과 에너지생산을 담당할 기술자들? 문득 우리 사회가 돌아가기 위해서는 정말 많은 협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수잔 이펙트>를 읽으면서 새삼 깨닫게 됐다.
질문은 다시 원점으로 회귀한다. 그렇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인정받은 소수를 제외한 그야말로 꼬리칸에 탑승한 보통 사람들은 어떻게 되는 걸까? 너무 뻔할 걸 물어서 식상한가.
전반적으로 봤을 때, 소설은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지만 문제는 공간적 배경이 되는 덴마크라는 나라였다. 현재 세계를 좌지우지하는 미국이나 중국 혹은 독일 같은 나라라면 또 모르겠지만 꼴랑 인구 560만 명 정도의 나라에서 이런 스케일의 미래비전을 준비하다니 놀랄 수밖에 없지 않은가 말이다. 그리고 하도 페터 회 작가가 닐스 보어 연구소 타령을 해대서 위키피디아로 닐스 보어에 대해 조사해 보기도 했다. 또 소설을 읽으면서 한편으로 우리보다 GDP가 거의 두 배나 되는 복지선진국도 역시나 이런저런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됐다. 여담이긴 하지만 최근에 재밌게 본 드라마 <김과장>에서 주인공 김과장이 삥땅을 쳐서 모은 돈으로 이민을 가려던 나라가 덴마크였다는 점이 새삼 기억이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