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풍의 역사
최민석 지음 / 민음사 / 2014년 9월
평점 :
최민석 작가의 ‘바람의 사나이’ 허풍의 불타는 연대기를 읽어 가며, 나는 어쩔 수 없이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으 <포레스트 검프>, 보다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탐 행크스를 떠올릴 수밖에 없었다. 지난 세기 모든 미국 역사의 중요한 변곡점에 등장해서 관객들을 놀래켰던 포레스트 검프가 영화를 무대로 했다면,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에 개입한 유려한 인물로 최민석 작가는 이풍(아니 허풍이 더 어울리겠다)을 등장시킨다. 어마어마한 인원이 희생된 오키나와 전투에서도, 그리고 민족상잔의 비극이었던 한국전쟁에서도 살아남은 불세출의 영웅 허풍 말이다. 문득 이 매력적인 소설을 영화로 만든다면 주인공 허풍 역을 누구에게 맡겨야할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언젠가 최민석의 작가가 후기에서 남긴 글대로, 이 충성된 독자는 그의 신간이 나오는 대로 꼬박꼬박 사서 보게 됐다. 좀 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그의 가열찬 구라와 뻥의 세계에 매료되었다고나 할까. 난 이 작가의 뻔뻔함을 사랑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오키나와 전투에서 오로지 사랑하는 여인 밤의 이름을 외쳤을 뿐인데, 공격군이었던 미군 사령관의 마음을 움직여 대일본 전쟁을 마무리하는 원자폭탄(atomic bomb)을 투여하게 만들었다는 설정에서는 정말, 작가라면 이 정도 스케일의 서사도 해야지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전에 읽은 이기호 작가의 <차남들의 세계사>에서도 희화화를 통한 한국 현대사 조망이 돋보였는데, 최민석 작가는 한술 더 떠서 좀 더 스케일이 큰 희화화에 도전한다. 무대도 한국만이 아니라 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그리고 베트남전 등 동아시아를 움직인 굵직굵직한 사건에 자신이 애써 창조한 캐릭터들을 연달아 투입시킨다. 그 핵심에는 작가가 지속적으로 언급한 대로, 무언가 역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이들이 아닌 그저 생(生)이라는 종잡을 수 없는 미스터리를 버텨내기 위해 하루하루를 낸 우리네 삶의 근원을 예리하게 짚어내는데 방점을 찍는다.
우리의 주인공 허풍의 운발은 억세게 세다. 엄청난 인원이 희생된 오키나와 전투에서도, 한국전쟁의 와중에서도 국군과 인민군을 오가며 그리고 포로수용소 생활까지 거치면서 끈질기게 살아남는다. 그것뿐이던가, 도리짓고땡으로 가산을 홀딱 날리고 월남에서 돌아온 오 중사를 따라 결국 월남에까지 흘러간다. 대단한 생명력이 아닐 수 없다. 아, 우리의 뻔뻔한 작가는 이런 불세출의 영웅의 활약상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안티히어로를 배치하는 세밀함도 잊지 않는다. 그가 바로 앞잡이(꼴라보?)로 고향 중도에서 허풍의 일격에 남성성을 잃고 절치부심 복수를 꿈꾼다. 이름도 없는 앞잡이가 영웅탄생을 일조하기 위해, 위태로운 역사의 순간마다 등장해서 주인공 허풍에게 깊숙한 태클을 걸어댄다. 도대체 어떻게 그곳에 흘러가 있을까 하는 일말의 의문은 작가의 친절하기 짝이 없는 설명에 일사천리로 해결된다.
허풍 허구 부자의 월남행까지는 그래도 어느 정도 들어줄 만하다. 하지만, 오 중사와 홍콩 여가수 만옥까지 낀 허풍 부자가 밴드를 결성해서 독재자의 마지막 대연회 행사에 참석해서 사건의 알파와 오메가를 목격했다는 이야기는 정말 이만저만한 허풍이 아니다. 적당한 허풍은 서사에 힘을 실어 주지만, 이 정도 레벨의 허풍은 독자가 감당할 수준이 아닌 것 같다. 그렇게 한창 달리던 서사의 힘이 꺾이면서 순간 맥이 풀려 버렸다. 한국 소설의 귀환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최민석 작가의 <풍의 역사>에 대한 나의 기대가 너무 컸던 걸까. 한국현대사라는 좋은 (서사의) 요리 재료를 가지고, 셰프급 요리가 아니라 짬뽕을 만들어냈다고나 할까.
물론 무성영화 시대 변사를 연상시키는 최민석 작가의 이야기 풀어내는 스타일은 확실히 재밌다. 그것은 이미 전작 <시티투어버스를 탈취하라>와 <능력자>에서 확인하지 않았던가. 문제는 약간 과하다 싶은 희화화와 가벼움이 아닐까 싶다. 그렇다고 해서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급의 진중함은 아니겠지만, 그저 참을만한 가벼움이면 좋겠다. 연달아 읽은 최제훈의 작가의 소설처럼 엘리트 코스 소설가가 아닌, 다양한 경험을 가진 늦깎이 작가의 등장을 반가워하면서도 <풍의 역사>를 다 읽고 난 뒤의 헛헛함을 어찌 해야 할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