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 - 인생도처유상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가 돌아왔다. 오래전 첫 번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만났을 때, 얼마나 두근거렸는지 모른다. 지금은 다 옛날이야기가 되어 버렸지만, 한 때 역사학도였던 나에게 유홍준 선생의 답사기는 남다르게 감회가 서린 책이라고 말하고 싶다. 봄가을 답사 준비로 바빴던 시절에 이런 책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유홍준 선생의 답사기를 읽고 또 읽으면서 달랬었다. 우리나라 강역을 넘어, 북한까지 누빈 그의 활약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 그러다가 선생이 문화재청장으로 공직에 나서면서 그의 답사의 명맥이 끊긴 줄 알았다.

이번에 새롭게 쓰는 답사기는 옛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을 필두로 시작한다. 경복궁에 한 2년간 살았는데 그 시절에 바로 유홍준 선생의 답사기를 만났으니 이 어찌 인연이 아니라고 할 수 있겠는가. 지금은 복원공사가 끝나 모두 공개가 되었지만, 그 시절만 하더라도 아미산과 녹산 일대는 민간에게 개방되지 않았었다. 새로 단장한 답사기에서 아침, 저녁으로 누비던 경복궁 이야기를 유홍준 선생의 설명으로 듣자니 정말 감회가 새롭다. 그 시절에 아침마다 만나던 경천사지 석탑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하여 보관되고 있는데, 왠지 갇혀 있다는 느낌에 애처로워 보였다. 새로 복원된 태원전 자리에서 먹고 자고 했는데, 태원전이 왕이나 왕비의 시신을 모시던 곳이었다고 하니 왠지 으스스해지기도 했다.

태조 이성계와 더불어 조선의 틀을 짠 삼봉 정도전이 설계한 서울, 그중에서도 국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법궁으로서 경복궁의 가치는 지금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가. 물론 중국 베이징의 자금성과는 그 스케일에서 상대가 되지 않을진 몰라도 자연과 인공의 조화라는 측면에서는 단연 우리나라의 경복궁을 따라올 상대는 세계에서 없을 것이다. 유홍준 선생은 보통 사람이라면 그냥 넘겼을 지도 모르는 다리나 계단의 석수(石獸) 조각에까지 세심한 설명을 빠뜨리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그런 석물을 좋아하는데, 정말 오랜만에 경복궁을 찾아 선생이 설명한 석물 사진을 찍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첫 번째 답사기에서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그야말로 시대의 화두 같은 명언을 던졌던 유홍준 선생은 문화재 청장이라는 공적인 자리를 거치면서 우리나라 문화재 보존의 실재적인 방법론까지 제시해준다. 언제나 그렇지만, 실재가 없는 이론은 그야말로 팥소 없는 진빵이리라. 국가의 백년대계라는 문화재 보존을 위해, 후대에 복원을 위한 금강송 식수사업 같은 그야말로 백 년 앞을 내다보는 혜안은 문화재에 대한 뜨거운 사랑의 발로가 아닐까.

개인적으로 이번 답사기의 키워드를 꼽는다면 단연 “상수(上手)”일 것이다. 우리 삶 속에서 살아 숨 쉬는 문화재는 특정한 대가가 아니라 나무의 달인, 시골 촌로나 만수산의 나물을 캐서 파는 할머니 같은 분의 총합이라는 것이 선생의 주장이다. 개발만능주의가 판치는 시대에 애써 걷는 굽잇길의 미학을 노래하는 반교리 청년회원의 글은 독자의 마음을 참 푸근하게 만들어준다.

유홍준 선생은 답사에서 아무래도 조각이나 공예보다는 건축물이 시각적 효과에 있어 월등하다고 말한다. 전적으로 공감하는 바이다. 예전에 탑이나 부도 하나 달랑 있는 폐사지를 찾아다니다 보면, 으리으리한 가람이 들어선 고찰에 비해 너무 시시하게 보였다. 그래서 선생은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을 화두로 제시했을까? 아무리 폐허 같은 유적지지만, 선생의 인문정신이 곁들여진 유창한 설명을 좇다 보면 어느새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역사 속에 거닐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선생의 새로운 답사기를 읽으면서 가본 곳에서는 추억을 그리고 미처 가보지 못한 선암사나 거창의 수승대 정자 같은 답사지에는 언젠가 시간을 내서 가보리라는 다짐을 하게 된다.

선생의 답사는 가시적인 공간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누구나 잊고 싶어 하는 거창 양민학살사건이 벌어졌던 신원리와 하루가 다르게 늘어가는 다문화 가정이라는 현실을 직시하고 외래 성씨와의 조화로운 삶을 외래종 꽃인 코스모스에 대한 개인의 소회로 조근조근하게 풀어나간다. 마지막을 장식하는 5도2촌의 실질적인 삶을 실천하고 있는 제2의 고향 부여 외산면 반교리에서의 정착생활에 대한 글 역시 일품이다. 입으로만 하는 농촌사랑이 아닌, 실천이 병행된 선생의 삶에서 언행이 일치하는 지식인으로서의 모습을 보았다면 과찬일까.

이 책을 통해 부여문화원 주최로 선생이 인솔하는 <부여답사>라는 프로그램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일찌감치 신청해서 이번 봄이 다 가기 전에 선생과 함께 부여에 한 번 다녀와야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답사의 상수에게 한 수 배워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