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파티아 성 - 개정판 쥘 베른 걸작선 (쥘 베른 컬렉션) 7
쥘 베른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림원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쥘 베른이라는 이름에는 언제나 근대 최초의 SF 작가라는 명칭이 따라 다닌다. 그가 활동하던 19세기 말까지만 해도 존재하지 않았던 비행선 혹은 잠수함을 이용해서 육해공 심지어는 우주까지 망라하는 공상과학 소설을 발표했다.

특히 그의 대표작들이라고 할 수 있는 “경이의 여행” 시리즈는 모두 54편으로, 1892년에 발표된 <카르파티아 성>은 37번째에 해당한다. 세상의 모든 신기한 것들에 관심을 가졌던 쥘 베른은 이 책에서 유럽의 오지인 오늘날의 루마니아(당시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의 일부였던)의 트란실바니아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작가는 왜 그 많은 장소들 중에서 트란실바니아를 골랐을까?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되지만 고대 로마시대 다키아 지역으로 불린 이래 유럽의 변방으로 이 글이 씌여지던 19세기말에도 여전히 미신과 초자연적인 요소들이 일상화되었던 지역이라는 점에 주목하자. 이 책보다 5년 뒤에 출간된 브람 스토커가 “드라큘라”의 본고장으로 루마니아의 트란실바니아를 고른 것도 충분히 이해가 간다.

<카르파티아 성>은 현대 루마니아의 중앙부를 이루는 트란실바니아 중에서도 카르파티아 산맥에 자리한 웨르슈트 마을에서 시작된다. 마을의 양치기인 프리크가 떠돌이 방물장수에게 망원경을 구입하고, 예의 저주 받은 성으로 알려진 로돌프 데 고르치 남작의 “카르파티아 성”에서 흰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발견하고 마을 사람들에게 보고를 하자, 대뜸 삼림감독원이자 마을 판사인 콜츠 씨의 미래의 사윗감인 닉 데크가 자발적으로 원인규명에 나선다.

닉 데크와 함께 울며 겨자 먹기로 함께 탐험에 나선 파타크 의원은 정체를 알 수 없는 목소리의 경고를 무시하고 성에 진입하려다가 낭패를 당한 채 마을로 철수를 하게 된다. 여기까지가 소설의 전반부라고 할 수가 있겠다. 그렇게 실의에 빠져 있던 마을에 프란츠 데 텔레크(이 책의 실질적인 주인공이다)와 그의 하인 로츠코가 등장하면서 이야기는 본격적인 미스터리로 접어들기 시작한다.

텔레크 백작과 희대의 오페라 가수 스틸라의 슬픈 사랑 이야기에, 그들의 사랑의 장애물이었던 고르치 남작과 그의 과학자 동료 오르파니크의 이야기가 곁들여지면서 카르파티아 성의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이야기들이 어우러져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시작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오르페우스” 신화를 모티브로 삼았다는 책 소개가 문득 떠올랐다.

5년 전에 불의의 사고로 죽은 스틸라와 다시 만나기 위해, 죽음마저도 불사하는 델레크 백작의 모습은 독사에게 물려 죽은 에우리디케를 죽음에서 구하기 위해 하데스의 명부로 뛰어드는 오르페우스의 현현이었다. 과연 델레크 백작은 스틸라를 구할 수 있을까? 그리고 도대체 카르파티아 성의 비밀은 무엇인가.

역시 백여 년 전의 글이라 그런 진 몰라도, <카르파티아 성>의 놀라운 비밀은 오늘날에 보면 사실 아무 것도 아닌 문명의 이기에 의한 것이었다. 하지만 역시 시대를 앞서간 선구자답게 쥘 베른은 당시 놀라운 문명의 발명품이었던 장치들을 이용해서, 여전히 신비로운 초자연적인 힘의 존재를 믿고 있던 이들을 계몽하고 있었다.

스틸라라는 아름답고 천상의 목소리를 가진 여성을 사이에 둔 연적 텔레크 백작과 고르치 남작의 로맨스 대결 역시 빼놓을 수가 없는 요소다. 이야기의 전개에 있어, 개연성이 좀 떨어지긴 하지만 고르치 남작과 오르파니크의 카르파티아 성 칩거의 이유에 있어 아주 납득이 가지 않는 것도 아닌 듯 싶었다.

카르파티아 성이 쇼르(Chort:악마)에 의해 지배당하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는 웨르슈트 마을 주민들과 탐험에 나선 닉 데크와 파타크 의원의 갈등 구조는 전근대적 미신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 이들과 근대이성에 의한 합리주의의 충돌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거기에 이천년전 그리스 신화의 전설을 근대 버전으로 가미해서 쥘 베른은 트란실바니아라는 미지의 공간을 배경으로 한 미스터리를 멋지게 창조해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