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의 나라, 인간의 땅 - 고진하의 우파니샤드 기행
고진하 글.사진 / 비채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여름 시즌이 시즌이니만큼 범람하는 여행 서적들과 에세이들을 많이 접할 수가 있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고 나서 되돌아보니, 기억에 떠오르는 책들은 단 한 권도 없었다. 내가 접한 여행 책들의 깊이가 없어서였을까? 그러던 올해 초에, 일본 출신의 작가 세노 갓파의 <인도 스케치 여행>을 읽게 됐다. 그 책에 읽고 나서, 인도에 대한 관심이 모락모락 피어났다. 그러던 차에 고진하 목사의 <신들의 땅, 인간의 나라>는 다른 차원의 나라 인도를 나에게 소개해 주었다. 보다 심오한 영적인 차원의.

사실 우파니샤드란 말은 그동안 많이 들어와 봤지만 단 한 번도 그 뜻을 찾아보거나 그러진 않았다. 우파니샤드란 ‘스승이 아끼는 제자를 무릎이 닿도록 가까이 앉히고 은밀히 전해주는 지혜’를 뜻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다른 건 몰라도 인도 기행에 있어서 스승이라고 할 수 있는 고진하 목사가 독자들에게 은밀하게 전해주는 지혜가 이 책 속에 담겨져 있단 말인가? 슬며시 미소가 피어올랐다. 지은이의 인도 기행의 중심에는 언제나 그렇게 우파니샤드의 가르침이 자리 잡고 있었다.

책을 읽으면서 지인에게 책의 내용에 대해 설명을 했었는데 그는 내가 말하는 내용들이 지은이가 말하고 싶어 한 게 아닌 것 같다는 아주 예리한 지적을 해주었다. 사실 기독교인으로서, 힌두사상에 심취한 지은이의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그런 편견을 걷어내고 정말 이 책에서 지은이가 하고 싶어 하는 게 무엇인가를 들여다보았다. 인도의 신기하고 풍경과 기이한 그네들의 생활의 모습들? 아니다 그런건 모두 허위와 위선으로 가득한 물질세계의 환영(幻影)에 지나지 않았다.

이 책에서 말하고 싶어 하는 것들은 바로 궁극의 진리에 대한 깨달음, 다시 말해 아트만(참자아)의 세계로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진리는 서로 통한다고 했던가? 마야의 세계에서는 도저히 얻을 수 없는 궁극의 행복에 다다르기 위해 자신의 참모습과 자아를 찾기 위한 지난한 도상에 우리는 서 있는게 아닐까. 동시에 개인적인 질문이 하나 생각났는데, 아니 설사 살면서 아트만의 경지에 진리를 깨닫지 못한다고 해서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누구나 아트만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은 아니지 아닌가 말이다. 혼란스러웠다.

힌두 철학에서 말하는 대로 브라흐만(창조자), 비슈누(유지자) 그리고 시바(파괴자)가 서로 합일과 해체를 통한 영혼의 속성을 나타낸다고 했던가. 인간은 누구나 죽음 가운데 살고 있으면서도, 자신의 죽음에 대해서 생각하지 못한다는 아니 보다 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생각하고 싶어 하지 않는 본연의 모습이 떠올랐다. 육신의 소멸과 억겁의 회귀 등의 이야기들은 인도 힌두 철학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시키기도 했다.

인도 (우파니샤드) 기행이라는 제목만 보고서 이 책을 집어든 이들에게 이 책은 실망스러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내면의 근원적인 결핍을 다스리기 위해 세속의 행복보다는 근원적인 그 무엇인가를 기대한 이들에게 이 책은 아주 반가운 손님으로 다가온다. 신과의 진정한 합일을 위해 오늘도 노래와 악기를 내려놓지 못하는 바울(음유시인)들의 모습에서 시간이 빚어내는 환영을 초월한 구도자의 모습이 저물어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