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3 : 만화로 배우는 서양사 - 중세를 지배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역사 한빛비즈 교양툰 12
올리비에 보비노 지음, 파스칼 마냐 그림, 이정은 옮김 / 한빛비즈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1월말에 도서관에 들렀다가 <중세> 만화로 배우는 서양사 시리즈 3권을 빌렸다. 생각보다 글밥이 많아서인지 금방 읽을 줄 알았던 그래픽 노블들을 다 읽는데 제법 시간이 걸렸다. 그리고 보니 1권과 2권 리뷰는 쓰지도 못했네.

 

3권은 중세의 두 축 가운데 봉건제도와 핵심이었던 기독교(가톨릭)를 다룬다. 로마 시대에 소아시아에서 출발한 기독교가 유럽으로 전파되면서 기독교 문명은 서구 문명의 핵심 요체의 자리에 오른다.

 

다신교 사회였던 로마 시대에 기독교가 유입될 때만 하더라도, 유일신 사상의 기독교는 다수 로마 민중들에게 배척당하고 심지어 박해를 받기도 했다. 유구한 기독교 역사에서 박해와 순교는 교세를 누그러뜨리는 기제가 아닌 오히려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 훗날 일본의 위정자들은 그런 기독교의 속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무지막지한 탄압 대신 교묘하게 사제와 신도들의 배교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기독교 전파를 억압하는데 성공했다. 아마 고대 시대에는 이런 정치적 방법을 몰랐던 모양이다. 기독교인들을 십자가형이나 사자굴에 던져 넣는 방식이 유효할 거라는 판단착오가 그 반대 효과를 불러 오기도 했다.

 

기존의 로마 중심의 세계에서 콘스탄티노플을 건설하고 노바 로마라 부르기 시작하며, 세계의 중심을 동쪽으로 이동시킨 콘스탄티누스 시절에 비로소 기독교는 제국의 유일한 종교의 지위를 얻게 된다. 이를 기점으로 그 후 천년 이상 중세 시대를 지배한 기독교 세상이 열리게 됐다.

 

로마 교회의 수장인 교황을 중심으로 서로마교회와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가 이끄는 동로마교회의 분열은 1054년 결정적인 분기점을 만나게 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첫 번째 사도로 꼽히는 베드로의 대리인으로 자청하던 교황이 어느 순간부터 그리스도의 대리인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사도의 대리인의 위치와 성자의 대리인의 위치는 말 그대로 하늘과 땅 차이가 아니었던가.

 

게다가 교황을 중심으로 하는 가톨릭의 수직적 체계는 필연적으로 세속권과 충돌할 수밖에 없는 숙명적 관계였다. 야심적인 교황들이 차례로 등장하면서, 어느 순간부터 교권이 세속권을 능가하게 되었다. 신의 대리인을 자처하는 교황에게는 제후들을 파문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고, 파문당한 제후나 세속군주는 봉건 질서 시스템에서 배제되기 때문에 치명상을 입기 마련이었다. 권위가 사라진 군주에게 계속해서 충성을 맹세할 이유가 무엇이란 말인가. 게다가 로마 교황들은 성경에도 나오지 않는 연옥을 발명해서 면죄부를 발행하고, 그리스어로 쓰인 니케아 신경에는 원래 없었던 필리오케를 삽입해서 위격 논쟁을 불러 일으키는 등 동방교회와 점점 멀어지는 길을 택하기 시작했다.

 

필리오케(filioque:그리고 아들로부터도) 논쟁은 초기 기독교 신학 논쟁에서 유래되었다. 27편의 신약성경들은 그리스어로 쓰였다.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라틴어와 달리 그리스어는 추상적이고 이상을 추구하는 언어였다. 그리스 사람들은 신과 성자와 성령이 하나라는 기독교 교리에서 핵심을 이루는 삼위일체 개념을 이해할 수가 없었다. 예수 그리스도는 신인가, 인간이라는 질문에서 출발한 논쟁이 선행했다. 논쟁을 즐기는 그리스인들에게 이보다 더 좋은 주제는 없었다. 게다가 신성과 인성을 각각 강조하는 이단까지 가세하면서 논쟁에 기름을 끼얹게 되었다.

 

325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소집한 니케아 공의회에서 삼위일체론에 입각한 니케아 신경이 채택되면서 위격에 대한 논쟁이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서방교회에서 당시 에스파냐에서 널리 퍼져 있던 아리우스파를 배제하기 위해 니케아 신경에 원래 그리스어 버전에는 없던 필리오케를 슬쩍 끼워 넣으면서 동서교회의 갈등이 폭발해 버렸다.

 

2차전은 성상파괴 문제였다. 군인 출신 동로마 황제 레오 3세가 726년 성상파괴 명령을 내리면서 동서교회 갈등이 다시 분출했다. 당시 무슬림과 대치하고 있던 레오 3세는 일절의 우상을 숭배하지 않는 이슬람 세력의 영향을 받아 동로마 교회에서 유행하던 성상을 모조리 파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동로마 교회는 황제의 권력에 예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황제의 명령에 따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교황의 통제 아래 있었던 서로마교회의 상황은 동로마의 그것과는 달랐다. 로마에서 교황은 계속해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신의 세속권을 강화해 가고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교황이 동로마 황제의 일방적 명령을 따를 이유가 없었다. 117년에 걸친 성상파괴 논쟁(Iconoclast Controversy)은 기존의 전례를 따르는 것으로 유야무야되고 만다.

 

1054년 교황의 특사가 콘스탄티노플 대주교를 파문하고, 대주교 역시 특사를 파문하는 사태로 교회는 분열하게 된다. 그리고 4차 십자군원정 당시 콘스탄티노플이 십자군에게 약탈당하는 사태로 동서교회는 분열을 넘어 서로 적대의 관계로 돌입하게 된다.

 

중세 교회가 부와 권력을 독점하고, 신앙이나 구원의 문제를 등한시하고 대형 교회 건축에 집중하게 되면서 결국 몰락하게 되는 과정은 21세기 한국 교회의 모습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즐겨보는 종리스찬 JDSN이 너튜브에서 언급한 대로, 외형적으로 거대한 양적 성장을 이룬 한국 교회가 더 이상 청년 세대에 매력적인 존재가 되지 못하고 기존의 성도들조차 가나안 성도들이 되는 현상에 소위 교계 지도자들은 반성해야 할 것이다. 염불보다 젯밥이 눈이 먼 사이비 목사들이 정치판을 휘젓는 모습도 기가 차다. 종교 권력이 세속화되었을 때, 중세 가톨릭교회는 권력의 정점에서 그대로 무너져 버렸다. 붕괴가 시작되었을 때, 그들만 모르고 있었다. 21세기 어느 나라의 교회도 마찬가지다. 외면한다고 해서 현실이 바뀌지 않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스 2023-02-15 14: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재밌는 분이네요 ^^
종리스찬 tv 보고 왔어요

레삭매냐 2023-02-15 17:27   좋아요 1 | URL
인스타로 알게 된 분인데
콘텐츠가 인상적이어서
자주 보고 있답니다.

가필드 2023-02-17 13: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레샥메냐님 얼마전에 봤던 난처한 미술이야기 중세편을 다룬 4-5편도 생각나게 하네요
성상 파괴로 남아 있는 유물들이 많이 없다 하셨거든요 ㅠㅠ 교회들이 세속화되어 있는게
문제인거 같아요 이럴때일수록 초대 교회들의 갈급했던마음들이 생각나게 합니다

레삭매냐 2023-02-17 14:37   좋아요 1 | URL
논쟁이라는 게 막상 당시에는
죽어라고 싸우지만 나중에 지
나고 나면 왜 싸웠는지도 모르
기가 다반사인 것 같습니다.

성상 파괴논쟁도 발발할 시점
에는 뜨거웠지만, 나중에 결
국 유야무야되고 말았지요.

초대교회로 돌아가자~! 라는
캐치 프레이즈는 500년 전 종
교개혁 당시부터 있었던 표현
인데 아직도 그러고 있다는 게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