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렇다, 내가 이달에 사들인 책들은 이 세 권이 전부가 아니다.
실컷 땡기길래 어렵사리 수배해서 산 홋타 요시에 선생의 <고야>는 아직 1권도 마저 읽지 못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바로 이 책 때문이었다.
같은 저자로 한길사에서 나온 <라 로슈푸코의 인간을 위한 변명>이다.
이 책 역시 고야 시리즈처럼 절판된 책이다.
지난주에 인천에 갔다가 램프의 요정에서 데리고 왔다. 바로 읽기 시작해서, 2/3 지점을 돌파한 것 같다. 이 책부터 읽었어야 했는데...
금발 귀신이라 불리던 바이킹들이 갈리아 지방을 노략질하던 첫 번째 천년말부터 시작되는 유구한 역사를 다룬다. 바이킹의 배를 드라칼이라고 부른다지. 먼 훗날, 육지로 배를 실어 나른 오스만 투르크의 메메드 2세도 그들에게서 기술을 배웠던 게 아닐까.
베르퇴유에 근거한 로슈푸코 가문 역사는 프랑스 발루아 왕조와 부르봉 왕조를 포함한 근세사 그 자체다. 잉글랜드와 왕위계승 문제로 다툰 백년전쟁은 물론이고,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으로 신구교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위그노 전쟁에도 로슈푸코 집안의 당주들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자신의 공작력에 사는 이들은 모두 프로테스탄트인데 정작 당주는 가톨릭편에서 서서 내전을 치르는 아이러니란.
성 바르텔레미의 학살 당시 당주였던 프랑수아 3세가 살해되었고, 종교전쟁의 와중에 프랑수아 4세도 저격당해 죽었다. 역사소설의 주인공 프랑수아 6세는 태양왕으로 알려진 루이 14세에 대항해서 프롱드의 난의 주역으로 전장을 종횡무진 누볐다. 그 역시 전장에서 저격당해 실명할 뻔한 위기를 맞기도 한다. 배신과 음모가 끊이지 않고 일어나던 당시 프랑스에서 어떤 일도 가능하다고 했던가. 자신의 집사 출신 능력가 구르빌의 활약을 보고 주인공은 자신을 돈키호테에 그리고 해결사 구르빌을 돈키호테의 시종 산초 판사에 비유하기도 한다.
홋타 요시에 작가는 당시 부르주아 계급이 상업과 매관 등의 방법으로 경제적 제패를 사회적 제패로 이어 갔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주인공이 활약하던 17세기 프랑스에 대한 이야기들은 정말 흥미진진했다. 다가올 대혁명의 여명기라고 해야 할까.

다음은 오늘 램프의 요정에 달려가 산 켄 리우의 소설집이다.
<어딘가 상상도 못할 곳에, 수많은 순록 떼가>. 황금가지에서 나온 책이다.
그리고 보니 다른 소설집인 <종이 호랑이>도 지인의 추천으로 읽다 말았던 것 같은데...
어제 간만에 우리 달궁 멤버들하고 채팅을 하고 나서 구매를 결정하게 되었다.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사자! 점심시간에 나가서 책을 샀다.
그리고 바로 읽기 시작했는데 가장 관심이 가는 <군신 관우의 아메리카 정착기>부터 읽었다. 소설집 가운데 가장 분량이 긴 소설이었는데 단박에 읽어 버렸다.
내가 켄 리우였다면 전설의 군신이자 관제라고 불린 의리와 충성의 상징인 관우를 중국집 주방장이나 라이더로 그리지 않았을까.
상상을 초월하는 스피드로 대중들의 미각을 사로잡는 중화요리를 뚝딱뚝딱 만들어내는 그런 쉐프 말이다. 중화 요릿집의 이름은 <관운장>, 어떤가 나의 발칙한 상상력이.
켄 리우는 그 대신 남북전쟁 이후, 국가 재건에 필요한 노동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미합중국 정부가 중국에서 쿨리라는 이름으로 수입한 중국인 노동자들의 신산스러운 삶에 방점을 찍는다. 소설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아이다호는 아직 준주였고, 중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은 극심했다. 얼마 전에 만난 굽시니스트 작가의 <본격 한중일 세계사>에서 만난 쿨리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만나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나의 책읽기들은 이런 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모양이다.
서둘러서 단편 2개를 읽고 나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호>를 읽기 시작한다. 이제 열 개의 이야기가 남아 있다.

마지막으로 지난 월요일에 광활한 우주점으로 주문해서 오늘 받은 나쓰메 소세키 선생의 <그 후>다. 이 책은 순전히 지난 주말에 한겨레 기사로 만난 로쟈 선생의 펌프질 덕분이다. 토요일날 살 수도 있었으나 민음사 세문보다 현암사 버전을 원해서 기다리던 중, 중고서점에 떴다는 소식을 듣고는 바로 주문장을 날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