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해마다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구입하여 읽는 이유는 

     

     한국 소설의 시대적 흐름에 늘상 관심은 많으나

     해외에 사는 내가 새로 발표되는 소설들을 일일이 접하기 어렵고

     그래서   생각한 것이 

   한 해에 발표된 수많은 작품 들 중에서

   권위있고 비중있는 평론가와 작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엄선하여 그 진수만을 뽑아낸 

   일 년 한국 단편소설의 결졍판작인 면모 때문이다.

   즐거운 기대를 갖고 한 편,한 편 읽는 것이 즐거웠고 내 느낀 점을

   심사평과 비교하며 음미하는 것도 설레는 기쁨이었다.

   이에는 엄밀하게 심사위원들에 대한 신뢰와 주체 측 문학사상사에 

   에 대한 평소 호감이나 믿음도 전제로 함은 물론이다.


  2014 년도 대상 수상작 ( 편혜영 : 몬순 )

  대실망이다. 

  2013 년 출판된 미국의 신예작가 < 줌파 라히리 >의 " 축복받은 집 " 중 단편소설 

 < 일시적인 문제 >의 내용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첫 째,일시 정전 중 일어나는 

 둘 째, 한 삭막한 젊은 부부의 애증과 불신

 셋 째, 핵심 문제는 둘 사이의 어린 아기의 쥭음

 이 세 가지가 같은 소재인 것이다.

 하나 틀린건 불신과 미망이 풀리지 않은 모호한 < 몬순 >의 결말과

 상호 대화를 통한 이해와 공감, 용서와 화해로 물꼬를 트는 < 일시적인 문제 >.

 굳이 비교하자면 줌파 라히리의 솜씨가 산뜻하고 따뜻하다.

 

 심사위원들의 다양한 소감도 읽고 싶지 않았고 그녀의 다른 작품도 건너 버렸다.

 혹시 다른 독자들의 리뷰나 평을 찾아 보았으나 나 같은 딴지는 전혀 보이지 않아

 의아하고 그리고 미심쩍었다.

 문학사상사나 선정 심사위원들은 정말 이런 점보를 모르는 것일까.



 그런 나에게 큰 위안을 주는 작품이 있었다.

 < 조혜진  " 빛의 호위 " >

 제목을 보며 상큼하고 환한 느낌이 페퍼민트 향처럼 가슴을 열어 준다.

 내용을 읽어 보니 언젠가 읽었던 작품이다. 그 때도 멍때리는 여운이 길게 남아 설레었는데

 다시 또 읽어도 역시나 호감 간다. 너무 좋다. 역시 내 취향이야.

 이렇게 깊고 은근하고 치열하면서 또 따뜻한 이야기. 

 " 이 세상에서 사람이 할 수 있는 가장 위대한 일이 뭔 줄 알아? 그건 사람 살리는 일이예요"

 이런 뻔한 ?말이 나를 감동시킨다.

 구성은 과거와 현재가 혼유한다.

 잡지사 기자인 서술주체가 취재차 만난 젊은 사진작가 권은 ,

 그녀는 주로 분쟁지역에서 보도 사진을 찍는 열정과 도전의식이 충만한 작가.

 대체 무엇에 자극 받아 그 험한 지역을 넘나드는 걸까.

 < " 어떤 사진을 찍을 계획인데요 ?

   " 사람을 찍어야죠 " 그 녀가 대답했다. 전쟁의 비극은 철로 된 무기나 무너진 건물이 아니라 죽은 연인을 떠올리며 거울 앞에서 화장을 하는 젊은 여성의 젖은 눈동자 같은 데서 발견되어야 한다. 전쟁이 없었다면 당신이나 나 만큼만 울었을 평범한 사람들이 전쟁 그 자체니까.

  마치 준비라도 한듯 유려한 문어체로 덧붙여 설명하는 그 녀를 나는 어리둥절하게 건너다 봤다.>

그리고 역시 분쟁지역 사진작가인 < 헬게 한센 >이 단 한 편 만을 만든 다큐영화 이야기가 나온다.

 다큐 속에 등장하는 노먼 마이어와 그의 어머니 알마 마이어의 생애.사진작가 권은이 깊게 

 감명받은 액자 속 이야기가 큰 비중으로 다가온다.

 그런데 서술주체인 나는 권은을 통해서 아스라이 잊었던 장면 장면이 컷으로 지나간다. 생각 날듯 말듯. 마치 퍼즐 조각을 맞추듯 , 언듯 언듯 생각한다.

 어린 초등생 시절 ,  담임 선생의 심부름으로 장기결석 학생의 집을 방문한 적이 있다.

깜깜한 어둠 속에 추위와 허기로 웅크린 어린 소녀. 그냥 두면 죽을 것만 같은 그녀에 대한 연민과 걱정으로 뭔가 도와주고 싶은 마음에 

집에서 당시 고가인 필름 카메라를 그녀에게 갖다 준다. 뭐 정 어려우면 팔아서 굶어 죽지는 말라는 의도로. 그러나 그녀, 권은은 카메라에서 터지는 후레쉬의 빛에 매혹되어 삶에 머물고 사진찍기에 매료되어 사진 작가가 된 것이다.

 < --- 그러니까 내게 무슨 일이 생기더라도 반장, 네가 준 카메라가 날 이미 살린 적이 있다는 걸 너는 기억할 필요가 있어 >

 권은은 자신의 불로그 속에다 그에게 편지를 써 놓고 또 다른 분쟁지역으로 떠났던 것이다.

 액자 속 노먼 마이어 모자의 서술도 너무 강한 울림이었고 

 권은과 < 나 >의 담백한 진심도 실은 겉은 메말랐지만 깊숙이 흐르는 사막의 물줄기처럼 고귀한 

 인간적 사랑임이 나를 한없이 흐믓한 감동에 젖게 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