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흔적은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있어요. 백제의 미소로 알려진 서산마애삼존불 근처에 있지요. 별로 사람들의 눈길을 끌지 못하는 흔적이에요. 그도 그럴 것이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글씨도 소박하고 각자도 깊지 않거든요. 그렇다고 유명 인사와 관련된 유적도 아니구요. 무엇보다 바위 높은 곳에 새겨놓아 찾아 보기가 쉽지 않아요. 이 바위의 이름은 방선암(訪仙岩)이에요. 찾을방(訪) 신선선(仙) 바위암(岩), 신선들이 내방한 바위란 뜻이지요. 풍류 문사들이 찾아와 놀던 바위라고 해요. 바위 위에 앉으면 푸른 소나무와 맑은 계곡이 어우러져 신선이 찾을만한 장소라는 생각이 절로 들어요.

 

지금이야 차가 있어 이곳을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예전에는 쉽지 않았을 것 같아요. 꽤 깊은 골짜기거든요. 이곳을 찾았던 풍류문사들은 어떻게 이곳을 찾아 왔을까요? 모르긴 해도 아랫 사람들이 많은 수고 -- 말을 끌거나 가마를 메는-- 를 하지 않았을까 싶어요. 이런 생각으로 바위를 바라보니 그리 아름답게만은 보이지 않더군요. 바위 위에서는 풍류문사들의 왁자한 소리가, 바위 아래에서는 물땀을 흘리는 아랫사람들의 고단한 소리가 들렸겠지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言(말씀언)과 方(방위방)의 합자에요. 사방의 많은 사람들에게 의견을 묻는다는 의미에요. '찾는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죠. 訪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訪問(방문), 尋訪(심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人(사람인)과 山(뫼산)의 합자에요. 입산 수도하여 불로장생을 이룬 후 승천한 사람이란 뜻이에요. 僊으로 표기하기도 해요. 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神仙(신선), 仙道(선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巖의 약자에요. 巖은 山(뫼산)과 嚴(엄할엄)의 합자에요. 험준하고 접근하기 어려운[嚴] 벼랑[山]이란 뜻이에요. '바위'란 뜻은 여기서 연역된 것이죠. 벼랑에는 바윗돌이 많잖아요? ^ ^ 岩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岩石(암석), 岩壁(암벽)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찾을방, 신선선, 바위암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石,  (       )問,  (       )

 

3. 드러누워 배꼽 밑 3 Cm 되는 지점에 손을 올려 놓고 10분간 '복식호흡'을 해 보시오. 숨을 들이 마실 때 배가 나오고, 숨을 내쉴 때 배가 꺼지도록.

 

3번 문제 해보셨나요? 이른 바 '단전호흡'이라는 건데, 이 호흡을 잘하면 신선이 된다는군요. ^ ^ 뭐, 신선까지는 아니래도 복식호흡을 자주하면 숨이 깊어져 심신이 많이 안정되니 손해 볼 일은 없을 것 같아요. ^ ^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사진을 찍은 곳은 삼불봉(三佛峰)이에요. 요기까지만 올라왔다 하산했어요. ^ ^  근경의 봉우리가 관음봉, 문필봉, 원경의 봉우리가 연천봉 천황봉이에요. 삼불봉은 세 부처님 모습이란 뜻인데, 천황봉이나 동학사에서 이곳을 바라보면 그런 모습으로 보인다고 해요. 이 곳은 설화(雪花: 눈꽃)가 유명한 곳이에요. 눈온 날 이곳에 오른 사람은 꽃술이 되겠지요? ^ ^

 

오늘은 특별히 한자 표지가 없으니 삼불봉(三佛峰)과 설화(雪花)의 한자들을 보도록 하시죠. 三과 花와 峰은 전에 다뤘으니 빼도록 하겠어요. ^ ^

 

은 亻(사람인)과 弗(아닐불)의 합자에요. 사물을 보는 것이 정밀하고 명확하지 못하다는 의미에요. 보통 '부처불'로 많이 사용하는데, 이것은 산스크리트어 '붓다(Buddha)'를 음역한 것이에요. 지금은 원의미로는 거의 사용 안하고 '부처'라는 뜻으로 주로 사용하죠. 佛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佛敎(불교), 佛像(불상)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참고로 弗이 들어간 한자는 대개 '불'로 읽어요. 拂(떨칠불), 彿(비슷할불), 艴(발끈할불)...

은 雨(비우)와 彗(비혜)의 줄임 글자가 결합된 것이에요. 비가 구름 속에서 응고되어 내리는 것으로 빗자루로 쓸 수 있는 것이란 의미에요. '눈설'이라고 읽죠. 雪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雪害(설해), 積雪(적설)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부처불, 눈설

 

2. (      )안에 들어갈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敎,   積(      )

 

3. 다음 시에 대한 감상을 말하시오.


   한여름에 들린
   가야산
   독경 소리
   오늘은
   철늦은 서설(瑞雪)이 내려
   비로소 벙그는
   매화 봉오리

 

   눈 맞는
   해인사
   열 두 암자를
   오늘은
   두루 한 겨울
   면벽한 노승의 눈매에
   미소가 돌아

 

   (김광림, <산>)

 

삼불봉에서 하산했으니, 계룡산 기행은 오늘이 마지막이네요.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위를 보셨나요? 무엇을 떠올리셨어요? 전 처음에 남근을 떠올렸어요. 죄송합니다 ㅠㅠ  우리 주변에 이렇게 생긴 바위는 대개 남근 바위라고 불러서... 이 바위는 부처님의 사리를 보관한 천연탑이에요. 이름하여 천진보탑(天眞寶塔)이에요. 용문폭포를 지나 계룡산 중턱 쯤에 신흥암(新興庵)이란 절이 있는데 이 절 뒤편에 있어요. 탑이라고 생각하며 보니 탑같기도 하죠? ^ ^

 

천진보탑엔 이런 전설이 있어요. 부처님 열반 400년후 인도의 아쇼카 왕이 불법을 널리 알리기 위해 구시라국의 사리탑에 보관중이던 부처님 진신사리를 여러 곳에 나누어 주었어요. 그때 사천왕의 한 명이자 북방의 수호신인 비사문천왕이 이 곳 천진보탑에 부처님의 사리를 보관했어요. 그후 백제 구이신왕 원년에 아도 화상이 이를 발견했고 이 곳에 신흥암을 창건했다고 해요.

 

이곳에 진짜 부처님의 사리가 보관되어 있는지는 알길이 없어요. 다만 그렇게 내려오니 그렇게 믿을 뿐이죠. 설령 부처님 사리가 없다한들 그게 뭐 대수겠어요 ^ ^  제가 보기엔 위대한 불법[천진보탑과 사리]을 이곳[북방을 담당하는 비사문천왕. 인도에서 보면 우리나라(좁게는 계룡산)는 동북방에 해당하죠]에서 새로 펴겠다[신흥암. 신흥은 새로 일으킨다는 뜻이죠]는 의지를 담은 전설인 것 같아요. ^ ^

 

한자를 자세히 알아 볼까요? 天과 塔은 전에 다뤄서 빼도록 하겠어요.^ ^

 

은 匕(化의 약자에요. 될화)와 目(눈목)과 ㄴ(隱의 옛글자에요. 숨을은)과 기초의 의미를 담은 八의 합자에요. 엄청 복잡하죠? 이들이 합쳐져 무슨 의미를 표현한 것일까요? 눈에 보이는 기본 모습을 변화시켜 하늘로 숨어버린 사람이란 의미에요.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간 사람이란 뜻이지요. 육신의 껍질을 벗어버려야 참된 존재가 되나 봅니다. ^ ^ '참진'이라고 읽죠. 眞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眞善美(진선미), 眞露(진로, 참이슬. 소주 이름으로는 최고의 이름 같애요 ^ ^)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宀(집면)과 王(玉의 변형, 구슬옥)과 貝(조개패, 패물의 뜻이죠)와 缶(장군부. 장군의 몸통에 입구가 있는 항아리를 가리켜요)의 합자에요. 집과 장군속에 깊숙이 숨기고 보관해야 할 값나가는 구슬과 패물이란 뜻이지요. '보배보'라고 읽죠. 寶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寶物(보물), 寶貨(보화)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참진, 보배보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物, (      )露

 

3. '나는 누구인가?'를 화두로 10분간 명상하시오.

 

자, 내일은 계룡산 어디를 갈까요? 알아 맞춰 보세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동영상 잘 보셨는지요? ^ ^ 갑사구곡(甲寺九曲)의 하나인 팔곡(八曲) 용문폭(龍門瀑)을 찍은 거에요. 팔(八)은 여덟팔, 곡(曲)은 굽을곡, 용(龍)은 용룡, 문(門)은 문문, 폭(瀑)은 폭포폭이에요. 용문폭은 용이 되기 위한 관문이 되는 폭포란 의미지요.

 

용문은 흔히 등용문(登龍門)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요. 용문(龍門)은 황하 상류의 산서성(山西省)과 섬서성(陝西省)의 경계에 있는 협곡 이름이에요. 이곳은 물살이 빠르고 세서 물고기들이 거슬러 오르질 못한다고 해요. 그래서 이곳을[龍門] 거슬러 오르는[登] 물고기는 용이 된다는 전설이 만들어졌죠. 후한 시대 이응(李膺)은 지식인 사회에서 가장 존중받는 인물중의 한 명 이었는데 그의 천거를 받은 사람은 용문을 거슬러 오른 물고기와 같다하여 '용문에 올랐다[登龍門]'며 자랑스러워 하고 다른 이들도 부러워했다고 해요.

 

윤덕영은 이 폭포를 바라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괜히 씁쓸해 지네요.

 

자, 한자를 자세히 알아 볼까요? 龍과 門은 전에 다뤘으니 빼도록 하겠어요. ^ ^

 

은 본래 양쪽으로 나눠놓았다란 뜻이었어요. 후에 '여덟'이란 뜻으로 사용하게 된 것이죠. 양쪽으로 네 개씩 공평하게 나눠놓았다란 의미로 사용하여 '여덟'이란 뜻을 갖게 되지 않았나 싶어요. 지금 '나누다'란 의미는 八에 刀(칼도)를 더하여 '分(나눌분)'으로 표기하죠. 八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四方八方(사방팔방), 八道(팔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대나무나 풀 등을 엮어 만든 그릇을 의미하는 글자였어요. '굽다'란 의미는 그 그릇들의 둥그런 모양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曲折(곡절), 曲直(곡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氵(물수)와 暴(사나울폭)의 합자에요. 빠르게 흘러 내리며 포말을 사방으로 내뿜는 물이란 의미지요. 瀑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瀑布(폭포), 濺瀑(천폭, 소나기란 뜻이에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여덟팔, 굽을곡, 폭포폭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布四方(     )方, (     )折

 

3. 다음 시에 대한 감상을 쓰시오.

 

   향로봉에 햇살 비쳐 영롱한 무늬이네/ 멀리서 바라보니 앞 내 위에 걸쳐진 듯/ 곧추 날아 흘러내려 삼천

   길/ 천상의 은하수 떨어져 내린 듯(日照香爐生紫煙/ 遙看瀑布掛長川/ 飛流直下三千尺/ 疑是銀河落九天)

                                                                                            [이백, 망여산폭포(望廬山瀑布)]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계룡산에는 갑사구곡(甲寺九曲)이 있어요. ()

  은 구석에 위치한 경치좋은 곳이란 의미죠. 1곡 용

  유소(龍遊沼), 2곡 이일천(二一川,) 3곡 백룡강(

  龍), 4곡 달문택(達門澤), 5곡 금계암(金鷄巖), 6

  곡 명월담(明月潭), 7곡 계명암(鷄鳴巖), 8곡 용문

  폭(龍門), 9곡 수정봉(水晶峯)이에요.  이번 계룡

  산에 갔을 때는 1곡 용유소와 5곡 금계암 그리고 8곡

용문폭만 보았어요.

 

갑사구곡은 대한제국 시절 순종황제의 부인인 정효황후 윤씨의 숙부인 윤덕영이 명명한 것이에요. 이곳에 간성장(艮成莊)이란 별장을 짓고 지내면서 명명했죠. 간(艮)은 그칠간, 성(成)은 이룰성, 장(莊)은 별장장이에요. 간은 주역의 64괘중 52번째 괘인 간괘()를 의미해요. 간괘는 중첩된 산의 모습을 상징화한 기호에요. 그 의미는 '편안히 머무르다'란 뜻이지요. 그런데, '편안히 머무르'려면 욕심이 없고 상황에 맞게 처신해야 하지 않겠어요? 그래서 간괘는 무욕(無欲)과 시중(時中)의 가치를 가지고 있어요. 더러는 어지러운 세상을 피해 은둔한 군자를 상징한다고 보기도 하죠. 이렇게 보면 간성장(艮成莊)의 의미는 '시중과 무욕을 달성한 은군자의 별장' 정도로 풀이할 수 있을 것 같애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目(눈목)과 匕(比의 약자, 견줄비)의 합자에요. 서로 흘겨 본다는 뜻이지요. 머무르다란 의미는 흘겨보는 상태를 지속한다는데서 연역된 것이에요. 艮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艮方(간방, 동북방을 간방이라고 해요), 艮止(간지, 머물러야 할 곳에 머무른다는 뜻이에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戊(다섯째천간무)와 丁(장정정)의 합자에요. 戊는 방위로는 중앙이며 오행으로는 토(土: 흙토)에 해당해요. 흙에 의지하여 모든 것이 튼실하게[丁] 이루어진다란 의미에요. 成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成事(성사), 成就(성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艹(풀초)와 壯(장할장)의 합자에요. 풀이 크고 무성하게 자랐다라는 뜻이지요. 별장이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에요. 별장은 대개 풀이 크고 무성한 산이나 물가에 짓기 때문이지요. 莊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山莊(산장), 別莊(별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그칠간, 이룰성, 별장장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山(     ), (     )方,  (     )就

 

3. 다음 시를 읽고 그 느낌을 말하시오.

 

   중년에 자못 도를 좋아하다/ 만년에 종남산 기슭에 집을 지었네/ 흥이 나면 매양 홀로 거니나니/ 그 가운

   데 기쁜 일 나만이 안다네/ 걸어서 물 다하는 곳 이르면/ 앉아서 구름 이는 것 바라 보고/ 우연히 숲 속의

   나무하는 늙은이 만나/ 담소나누며 돌아가기 잊는다네(中歲頗好道/晩家南山陲/興來每獨往/勝事空自知/

   行到水窮處/坐看雲起時/偶然値林叟/談笑無還期) <왕유, 종남별업(終南別業)>

 

인터넷을 찾아보니 윤덕영은 친일파로 되어 있더군요. 경술국치(1910) 당시 지대한(?) 공을 세운 인물이라고 해요. 조약에 찍을 국새를 정효황후 윤씨가 치마 밑에 감췄는데 윤덕영이 혼을 내서(?) 빼앗아 왔다 해요. 경술국치이후 일제로부터 자작을 하사받았다는군요. 간성장은 경술국치이후 지어진 것으로 보여요.

 

이런 사실을 알고나니 간성장 건물도 각자(刻字: 글씨를 새긴 것)도 곱게 보이질 않더군요. 망국의 백성이 호가호위로 누리는 풍류와 자족이란 과연 무슨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요?

 

자,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