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勉之哉 吾惟自況 而知其免夫矣'를 보도록 하시죠. 음을 직접 읽어 볼까요? 면지재 오유자황 이지기면부의. 풀이는 어떻게 할까요? 힘쓸지어다, 내 다른 이와 견줘보아 (어려움을) 벗어날 수 있음을 알게 되었거니! 자황(自況)은 자비(自比)와 같은 말로 남과 자신을 비교한다란 의미에요.

 

침묵과 웃음밖에 지을 수 없는 처지이지만, 오히려 자신의 처지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묵소거사의 말이 깊은 여운을 남기네요. 저 같으면 말을 못하니 답답해서 화병이 날텐데... 묵소거사의 인품이 어떠했을지 절로 짐작이 갑니다.

 

몇 자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力(힘력)과 免(벗어날면)의 합자에요. 힘든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힘쓴다는 의미지요. '힘쓸면'이라고 읽어요. 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勤勉(근면), 勉學(면학)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口(입구)와 五(다섯오, 여기서는 음만 담당)의 합자에요. 자신을 일컫는[口] 1인칭 대명사에요. '나오'라고 읽어요. 吾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吾等(오등, 우리들이란 뜻이에요), 吾輩(오배, 오등과 같은 뜻이에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忄(마음심)과 隹(새추, 여기서는 음만 담당해요. 소리값이 좀 변했죠. 추-->유)의 합자에요. 대상에 대해 깊이 생각한다는 의미지요. '생각할유'라고 읽어요. '오직'이란 뜻으로도 사용하는데, 사물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는데서 연역된 의미에요. 여기서는 바로 이 뜻으로 사용됐어요. 惟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思惟(사유), 惟一(유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惟一은 唯一로도 표기해요.

 

는 코를 그린 거에요. 고대 중국에서 자신을 남한테 소개할 때 코를 가리키면서 소개했기 때문에 '자기 자신'이란 의미로도 사용하게 됐는데, 후일 전적으로 '자기 자신'이란 의미로 사용하게 됐지요. 코를 나타내는 글자는 鼻(코비)로 표기하게 됐구요. '스스로자'라고 읽어요. 自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自身(자신), 自尊(자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氵(물수)와 兄(맏형, 여기서는 음만 담당해요. 소리값이 좀 변했죠. 형-->황)의 합자에요. 물이 불어 났다란 의미에요. '더할황'이라고 읽어요. 이 외에도 '견주다' '하물며' 등의 뜻으로도 사용해요. 況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狀況(상황), 況且(황차, 하물며란 뜻이에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矢(화살시)와 口(입구)의 합자에요. 대상에 대해 신속 정확하게[矢] 파악하고 표현한다[口]란 의미에요. '알지'라고 읽어요. 知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知識(지식), 周知(주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양 손으로 키를 잡고 있는 모양이에요. 키는 뉘나 검불 등을 골라낼 때 사용하는 도구지요. 지금은 지시대명사의 의미인 '그'라는 뜻으로 사용하고, 본래의 의미인 '키'는 箕(키기)로 표기해요. '그기'라고 읽어요. 其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其他(기타), 其外(기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兎(토끼토)에서 丶가 빠진 거에요. 丶는 다리를 의미해요. 토끼가 다리가 안보일 정도로 빨리 달아나 포위망을 벗어났다란 의미에요. '면할면'이라고 읽어요. 免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謀免(모면), 免除(면제)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는 大와 一의 합자에요. 大는 사람을 표현한 것이고, 一은 비녀를 의미해요. 상투를 만들어 비녀를 꽂을 사람, 즉 성인을 의미해요. '사내부'라고 읽어요. 여기서는 감탄의 종결사 의미로 사용됐어요.  이럴때는 '어조사부'라고 읽어요. 夫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大丈夫(대장부), 夫君(부군)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힘쓸면, 나오, 오직유, 스스로자, 더할(견줄)황, 알지, 그기, 면할면, 어조사부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免, (      )他, (      )勉, 狀(      ), (      )知, (      )身, (      )等, (      )一 

 

3. 다음을 소리내어 읽어 보시오.

 

  勉之哉 吾惟自況 而知其免夫矣

 

오늘로 '묵소거사자찬'을 마쳤내요. 좀 힘드셨을 것 같아요. 아닌가요? 제가 힘들어서 그렇게 느끼는 걸까요? ^ ^ 다음 시간에는 좀 쉬운 내용으로 찾아 뵙도록 하죠.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不言而喩 何傷乎默 得中而發 何患乎笑'를 보시죠. 직접 음을 한 번 읽어 볼까요? 불언이유 하상호묵 득중이발 하환호소. 해석도 바로 해볼까요? 말하지 않고도 깨우쳐줄 수 있으니 침묵한다하여 해될 것이 뭐 있으며, 시중을 얻어서 알맞게 표현하니 웃기만 한다하여 문제될 것이 뭐 있겠는가.

 

동양 철학에서는 말에 대한 불신이 강하지요. 논어에 보면 '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 鮮矣仁)'이라 해서 말 잘하는 것과 인(仁)과는 거리가 멀다는 말이 나와요. 유교만 그런 것이 아니라 불교나 도교에서도 마찬가지죠. 참된 진리는 말로 포착하기 힘들며, 말로 유려하게 하면 할수록 진리와 멀어진다는 의식이 강한 것이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진리는 진리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서양철학과는 대조적이에요.

 

위의 구절을 읽으면서 수긍의 마음이 드시나요, 아니면 부정적인 생각이 드시나요? 전, 수긍의 마음이 들던데... 모르긴 해도 님께서도 마찬가지 아니실까 싶어요. 서구사상의 세례속에 살고 있지만 우리 의식의 저변에는 여전히 동양적인 가치관이 깊이 잠재해 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싶어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일부는 빼겠어요. ^ ^

 

은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말을 한다는 의미의 口(입구)와 음[언]을 담당하는 나머지 글자로 구성되었다. 둘. 上(위상)의 초기 글자인 二와 혀의 의미인 舌(혀설)이 결합된 글자로, 혀 위에서 나오는 것이란 '말'이란 의미이다. 둘 다 의미가 통하죠? ^ ^ '말씀언'이라고 읽어요. 言은 語(말씀어)와 붙여서 많이 사용하죠. 의미차이가 조금 있어요. 言은 대상에 대해 직접 말하는 것이고, 語는 논란을 벌인다는 의미에요. 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言論(언론), 言辯(언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口(입구)와 兪의 합자에요. 兪는 지금은 '그러하다'란 의미로 사용하지만, 본래는 뗏목이란 의미였어요. 뗏목으로 물 이쪽에서 저쪽으로 건너가듯 말[口]로 건네준다(건너간다), 즉 깨우쳐준다(깨우친다)란 의미지요. '깨우쳐줄(깨달을)유'라고 읽어요. 喩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風喩(풍유), 直喩(직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사람[人]이 무언인가를 짊어지고 있다는 의미에요. 可는 음을 담당하는데 소리값이 약간 변했죠(가-->하). 지금은 '무엇'이라는 뜻으로 사용하고, 짊어지고 있다란 의미는 荷(멜하)로 표기해요. '어찌하'라고 읽어요. 何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如何(여하), 何等(하등)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다른 이[人]에게 상처를 주었거나 입었다는 의미에요. 나머지 부분은 음을 담당하는데 소리값이 약간 변했죠(양 -->상). '상할상'이라고 읽어요. 傷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傷處(상처), 損傷(손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彳(걸을척)과 貝(조개패)의 변형과 손[手: 손수]의 변형인 寸을 합친 자에요. 현장에 가서 힘들게 조개를 채취해 얻었다란 의미지요. '얻을득'이라고 읽어요. 得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獲得(획득), 得失(득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활[弓: 활궁]을 쏘았다란 의미에요. 나머지 부분은 음을 담당하죠. '쏠발'이라고 읽어요. '피다'라는 의미로도 많이 사용하는데, '쏘다'라는 의미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發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發射(발사), 發芽(발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串(꿸천)과 心(마음심)의 합자에요. 마음이 근심스런 생각에 꿰어있는 상태란 의미지요. '근심환'이라고 읽어요. 患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憂患(우환), 患者(환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할 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말씀언, 깨우칠유, 어찌하, 상할상, 얻을득, 쏠발, 근심환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如(     ), (     )失, (     )處, (     )射,  風(     ),  憂(     ),  (     )論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그  뜻을 풀이해 보시오.

 

   不言而喩 何傷乎默 得中而發 何患乎笑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默笑之義 大矣哉'를 보도록 하시죠. 義(옳을의, 뜻의) 矣(어조사의) 哉(어조사재)만 알면 읽을 실 수 있을 것 같애요. ^ ^  뭐라고 읽죠? 그렇죠, 묵소지의 대의재! 矣는 단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종결사이고, 哉는 감탄의 의미를 나타내는 종결사에요. 그러면 '默笑之義 大矣哉'는 어떻게 풀이될까요? 그렇죠, '묵소(默笑)의 의미가 참으로 크도다!' 정도가 되겠지요. 여기까지가 그간 읽어 온 내용이 한 단락 마무리되는 부분이에요. 1문단이 끝났다고나 할까요? ^ ^

 

복습삼아 그동안 읽어 온 내용을 연결하여 한 번 읽어 보실까요? 용기를 내서 시~작!

 

當默而默 近乎時 當笑而笑 近乎中 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 動而不悖於天理 靜而不拂乎人情 默笑之義 大矣哉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義, 矣, 哉 세 글자만 살펴보면 될 것 같군요. ^ ^

 

는 羊(양양, 羊은 여기서 선하고 아름답다란 의미로 사용됐어요. 羊의 순한 이미지에서 연역된 의미지요)과 我(나아)의 합자에요. 나를 선하고 아름답게 표현한 모습이란 의미에요. 예절범절에 맞는 모습이란 뜻이지요. 지금은 주로 '옳다, 뜻' 등의 의미로 사용하고, 본래의 의미는 儀(거동의)로 표현하고 있어요. '옳다'란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고, '뜻'이란 의미는 '意(뜻의)'와 음이 같아서 뜻을 가차(빌려 옴)한 것이에요. 義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義理(의리), 意義(의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矢(화살시)와 厶의 합자에요. 화살이 날아가 목표 지점에 머물듯, 하나의 의미 단위가 끝났음을 나타내는 말이지요. 厶는 음을 나타내요. 예를 따로 들 필요는 없을 것 같군요. ^ ^

는 口(입구)와 烖(재앙재, 지금은 '재앙재'를 災로 표현하죠. 烖는 災의 옛 글자에요)의 약자가 결합된 것이에요. 천재지변이 눈에 분명히 보이듯 하나의 의미 단위를 분명하게 구별지어 주는 말[口]이란 의미지요. 이것 역시 예를 따로 들 필요는 없을 것 같군요. ^ ^

 

오늘은 문제를 아니내도 되겠지요? ^ ^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動而不悖於天理 靜而不拂乎人情'을 보도록 하시죠. 움직일동(動) 말이을이(而) 아니불(不) 어그러질패(悖) 어조사어(於) 하늘천(天) 이치리(理) 고요할정(靜) 말이을이(而) 아니불(不) 거스를불(拂) 어조사호(乎) 사람인(人) 뜻정(情), 동이불패어천리 정이불불호인정(動而不悖於天理 靜而不拂乎人情)이라고 읽어요. 而는 순접의 의미로 '~할 때에' 정도로 풀이하고 於와 乎는 대상의 의미로 '~에'로 풀이해요.

 

그러면 이 문장은 이렇게 풀이되요: 행동할 때에는 천리에 어긋남이 없고, 고요할 때에는 인정에 거스름이 없다. 행동거지가 천리와 본성에 모두 부합한다는 의미지요. 와우, 성인이네요 ^ ^

 

묵소거사는 행동거지의 기준을 천리와 본성에 두고 있어요. 성리학적 가치관에 충실한 것이지요. 우리는 행동거지의 기준을 어디에 두고 있을까요? 그리고 그것은 무슨 가치관에 충실한 것일까요? 그리고 돌이켜 살펴 볼 점은 없을런지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動, 悖, 於, 拂, 情만 보도록 하겠어요. 다른 것은 전에 다뤘거든요. ^ ^

 

은 重(무거울중)과 力(힘력)의 합자에요. 진중한 자세로 힘써 일한다란 의미에요. 動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動靜(동정), 動力(동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忄(마음심)과 孛의 합자에요. 孛는 지금은 살별(혜성)이란 의미로 사용하는데, 본래 초목이 어지러이 무성한 모양을 나타냈어요. 여기서는 그 의미로 사용했죠. 悖는 초목이 어지러이 무성한 것처럼 심사가 뒤틀리고 불만족스럽다란 의미에요. 悖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悖逆無道(패역무도, 한마디로 싹수가 노랗다란 의미에요 ^ ^), 悖倫(패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본래 烏(까마귀오)의 옛글자가 모양이 변한 거에요. 그러니까 이것도 본래는 까마귀란 뜻으로 사용하던 글자였죠. 지금은 전혀 그 뜻으로 사용하지 않아요. 어조사로만 사용하여 '~에서/~보다' 등의 의미로 풀이해요. 왜 그렇게 됐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 ^ 예를 하나 들어 볼까요? 靑出於藍而靑於藍(청출어람이청어람: 청색은 쪽[풀의 한 종류]에서 나왔으나 쪽빛보다 더 푸르다, 제자가 스승보다 나은 경우에 사용하죠)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扌(손수)와 弗의 합자에요. 弗은 지금은 '아니다'란 뜻으로 주로 사용하지만, 본래는 구부러진 화살을 바르게 펴는 기구를 의미하는 글자였어요. 여기서는 그 의미로 사용했죠. 구부러진 화살을 반듯하게 펴듯이 옳지 못한 것을 털어 내고 바르게 한다란 의미에요. 拂이 들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拂拭(불식, 없애다), 拂意(불의, 뜻에 거스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거스르다'란 의미는 '바로 잡는다'는 데서 연역된 거에요. 바로 잡으려면 현상태를 '거스려야' 하지 않겠어요? ^ ^

은 忄(마음심)과 靑(푸를청)의 합자에요. 靑은 여기서 선명하다란 의미로 사용됐어요. 대상에 대해 마음 속에서 선명히 드러나는 감정이란 뜻이에요. 흔히 喜怒哀樂愛惡欲(희노애락애오욕)을 일컫죠. 情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人情(인정), 心情(심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움직일동, 어그러질패, 어조사어, 거스를불, 뜻정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力, (       )倫, 靑出(       )藍,  (       )拭,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어 보시오.

 

   動而不悖於天理 靜而不拂乎人情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은 어떤 내용이 이어질까요?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를 보도록 하겠어요. 두루주(周) 돌선(旋) 가할가(可) 아닐부(否) 어조사지(之) 사이간(間) 굽힐굴(屈) 펼신(伸) 사라질(줄)소(消) 길장(長) 어조사지(之) 즈음제(際), 주선가부지간 굴신소장지제(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라고 읽어요.

 

周旋은 왔다갔다 한다란 뜻으로 행동한다란 의미에요. 可否는 할 것인가 말 것인가란 뜻이지요. 두 말을 합친 周旋可否란 행동할 것인가 말 것인가란 뜻이지요. 之는 ~의란 뜻이고, 間은 말 그대로 사이란 뜻이에요. 따라서 周旋可否之間은 '행동할 것인가 말 것인가 선택의 지점에서' 정도의 의미가 되겠지요.

 

屈伸은 몸을 구부렸다 편다란 뜻으로 호흡하는 모습을 나타낸 거에요. 消長은 줄어들고 늘어난다란 뜻으로, 본래는 수명이 줄거나 늘어난다는 의미인데, 여기서는 屈伸과 관련하여 호흡하는 모습을 표현한 거에요. 屈하면 消하고 伸하면 長하는 것이지요. 之는 ~의란  뜻이고, 際는 ~할 즈음이란 뜻이에요. 따라서 屈伸消長之際는 '고요히 호흡하며 가만히 앉아 있을 때에' 정도의 의미가 되겠지요.

 

이렇게 보면 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는 한마디로 무어라 표현할 수 있을까요? 그렇죠. '동정(動靜: 움직임과 고요함)의 상황'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之, 間, 長은 빼도록 하겠어요. ^ ^

 

는 用(쓸용)과 口(입구)의 합자에요. 말[口]을  할 적에는[用] 두루두루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지요. 입 잘못 놀렸다가 큰 일 날 수 있잖아요? 지금은 빠트림없이 세밀하게란 의미의 '두루'란 뜻으로만 사용하죠. 周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周邊(주변), 周圍(주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㫃(旗의 축약형, 깃발기)와 疋(足의 변형, 발족)의 합자에요. 깃발을 돌린다라는 의미지요. 깃발을 돌릴 때 발도 따라 움직이기에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疋을 추가했지요. 旋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旋回(선회), 施設(시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口(입구)와 丁의 합자에요. 丁은 편안한 기운이 밖으로 흘러 나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에요. 말[口] 할 때 편안한 기운이 밖으로 흘러 나오며 나는 소리라는 뜻이에요. 긍정의 소리라는 의미지요. 可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可能(가능), 不可(불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不(아니불)과 口(입구)의 합자에요. 아니라고 말하다란 의미지요. 否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否認(부인), 可否(가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尸(尾의 약자, 꼬리미)와 出(날출)의 합자에요. 몸을 구부렸다 폈다 하며 앞으로 나가는[出] 꼬리[尸]없는 자벌레나방을 가리켜요. 지금은 '구부리다'란 의미로만 사용하죠. 屈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屈服(굴복), 屈從(굴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人(사람인)과 申(거듭할신, 申은 본래 몸을 묶어 놓는다는 뜻이 있어요. 여기서는 그 뜻으로 사용했어요)의 합자에요. 몸을 묶어서 반듯이 세우듯이 구부린 몸을 반듯이 편다는 뜻이에요. 伸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伸縮性(신축성), 伸寃(신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氵(물수)와 肖(削의 약자, 깎을삭)의 합자에요. 수량[氵]이 줄고 줄어[肖] 다 말라 붙었다는 의미에요. '사라지다, 줄다'란 의미는 여기서 나온 것이지요. 消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消防(소방), 消滅(소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阝(阜의 변형, 언덕부)와 祭(제사제)의 합자에요. 신과 인간이 만나는 제사처럼  언덕과 언덕이 만나는 지점이란 의미에요. 주체와 객체가 만나는 지점이란 의미의 '즈음, 때'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際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交際(교제), 國際(국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오늘은 좀 힘들더라도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 ^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두루주, 돌선, 가할가, 아닐부, 굽힐굴, 펼신, 사라질(줄)소, 즈음제

 

2. (     )안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縮性, (     )從,  國(     ), (     )認,   (     )圍,  (     )防,  (     )設,  (     )能

 

3. 다음을 읽어 보시오.

 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

 

우리는 매순간 선택을 해야 하죠. 선택 후 아쉬움이 남지 않으려면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내일 묵소거사의 말을 들어 보도록 하죠. 안녕히 계세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