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메모입니다:
팔란티어 외부인으로서 어떻게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했는지 궁금합니다. 문헌자료를 참고했는지, 혹은 인터뷰를 했는지...
일반적으로 어떤 기업에 대한 책은 내부 인물이 쓰거나, 외부인이라면 인터뷰와 자료조사가 핵심 정보 출처이고, 그 정보들을 작가가 분석하고 해석해서 작성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온톨로지가 핵심이라기 보다, 아무도 연결할 수 없었던 정부의 데이터를 연결해서 분석할 수 있었던 게 핵심이지 않을까요?
왜 미국정부는 911부터 정부와 관계를 공고히 해온 구글이 아니라 팔란티어에게 데이터를 열어주었을까요? 혹은 이름만 팔란티어이고 구글이 이면에 깊숙하게 개입해있는 걸까요?
팔란티어에 대한 회사 개요 정보가 앞에 있으면 좋았을 것 같은데, 전작에 나와서 제외했는지 모르겠네요. 적어도 2011년에는 있었네요. - 2003년에 설립했습니다. 직원은 다섯 명이었네요.
미 육군 사례가 팔란티어가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됐겠지만, 책에 기술된 내용이라면, 특히 “데이터는 풍부하지만, 정보는 빈곤한” 현상은 모든 기업들도 가지고 있는 문제였습니다. 더더욱 2011년이라면, 지금과는 IT환경이 너무 달랐습니다. 지금의 시선으로 보면 이해가 안 되겠지만.
신문에는 ‘오픈AI’로 표가하는 게 일반적인데, 왜 ‘오픈애이아이’라고 했을까요? 둘 다 맞는 표현이겠지요? 익숙한 ‘오픈AI‘와 표기가 달라지니 마치 다른 회사처럼 읽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