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핵심은 바로 에너지를 어떻게 사용하고, 어떻게 절약하는가이다. 누구나 제한된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성공한 사람들은 본능적으로나 의식적으로 에너지를 잘 사용하는 법을 분명히 알고 있다. (...) 시행착오를 거쳐서 자신의 욕구를 파악하고, 자신에게 양분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 자신의 본능적인 리듬과 일정이 무엇인지 알아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 도리스 레싱 편에서.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랐던 예술가를 많이 알게되어 좋고,
읽어야 할 책 목록이 늘어난다.

책 한 권에 많은 예술가의 일상이 기술되어 있어,
아쉬움이 남는 건 어쩔 수 없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사람들이 마음대로 생각하도록
그냥 내버려두어요.
그들이 내 행동에 신경을 쓴다면,
이미 그들보다 내가
우월하다는 의미일 테니까요.”

- by 마릴린 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간의 품격’
아주 정확한 표현은 아니지만,
내가 사는 사회에 서로에 대한 존중과 품격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이 책은, 일반적으로 ‘환자’라고 불리는, 뇌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작가의 글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특별한 점을 발견하고, ‘고객’들이 자신의 삶을 조금이라도 더 우아하게 살 수 있도록 같이 걸어가는 글이다.

못하는 걸 잘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사는 것보다,
잘하는 걸 하면서 사는 게 나 자신과 모두에게 좋은 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잘하는 걸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도 할 것 같다.
그렇게되면 실력의 차이가 명확해지니,
뒤통수 치는 일도 적어지지 않을까. 하는 바램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도스토옙스키는 때때로 ‘정신발작’을 일으켰고 발작시에는 ‘복잡한 정신상태’가 되었다. 그 점에 대해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처럼 건강한 사람들은 우리와 같은 간질 환자들이 발작을 일으키기 직전에 느끼는 행복감을 상상도 하지 못할 것입니다. 그 지극한 행복감이 몇 초 만에 끝날지 아니면 몇 시간, 몇 달 동안 계속될지는 우리도 모릅니다. 그러나 설령 인생에서 맛볼 수 있는 모든 기쁨을 준다고 해도 이것과 바꿀 마음이 없는 것만은 확실합니다. (T.알라주라닌,1963년)

*2.
“발작이 일어나서 행복했습니다. 일생에서 가장 건강하고 행복했던 경험이었습니다. 이제 어린 시절의 기억이 완전히 사라졌다는 느낌은 없습니다. 자세한 부분까지 낱낱이 떠올릴 수는 없지만 분명히 있었다는 것만은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 비로소 나는 어느 모로 보나 만족스럽고 완전한 존재가 되었답니다.”

- ‘실행’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