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라는 질문이 죽은 사회는 토론문화가 죽은 사회, 논리의 추구, 합리성의 추구가 죽은 사회다. 키케로라는 로마의 공화주의자이자 정치가가 2,000년 전에 반어법으로 사용한 "논리로 안 되면 인신을 공격하라!"가 오늘 한국 사회에 그대로 적용되는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렴풋한 기억 속에 있던 내용은 아주 일부였다.
어릴 때 읽었던 책을 다시 읽는 새로운 경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마시멜로 보상 실험에 대한 다른 해석을 어느 책에서 보았다. (책 제목이 생각나지 않는다...)
각 아이들의 성장 환경에 따라, 어느 것이 자신에게 더 좋은 지 달랐을 것이라고. 넉넉하지 못한 환경에 있는 아이들에게는 지금 온 기회를 잡는 것(즉, 마시멜로를 지금 당장 먹는 것)이 자신을 더 아끼는 것이라고. 실험에서는 다른 보상체계를 제시했으나, 그건 그 아이가 사는 환경과 전혀 다른 방식이었으므로.

** “아무튼, 계속”의 진지한 버전이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비결은 일단 시작하는 것이다.
일단 시작하기 위한 비결은 복잡하고 압도적인 일을
다루기 쉬운 작은 일로 분해한 뒤 맨 처음의 하나를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 마크 트웨인

* 본문에서 재인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을 좋아하는 작가.
스릴러 장르를 좋아하지 않는다.
나에게 스릴러는 히치콕 영화다.
(히치콕 영화는 좋아한다^^)

* 몰랐던 책들을 많이 소개받았으나, 아마도 대부분의 책들을 읽지는 않을 것 같다. 어쩜 못할 것 같기도.
** “블랙 라이크 미”도 떠오른다.
*** 그런데, 아무튼 시리즈는, 집필기간이 짧은 것 같기도...아무튼.
**** 이다혜 기자의 글은 재미있다. 아무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