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을 보는 회사원»은 웹툰으로 먼저 봤습니다.
신기로부터 아이를 지키기 위해 어느 스님이 절에 데려가 키웁니다. 절에서 수련을 한 아이가 어른이 되어 사회로 나옵니다. 관상을 볼 줄 알고, 악수를 하면 상대의 사주를 읽을 수 있습니다.

웹툰 «상남자»는 과거로 돌아가 인생2회차를 살고 있습니다. 과거에 있었던 일들을 떠올리며 본인이 생각하는 방향으로 일이 되도록 노력합니다.

즐겨보는 웹툰이지만 보다보면 ‘전지적 작가 시점’이 아니라면 우리 삶은 살기가 어려운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인생N회차도 아니고 다른 사람을 꿰뚫어볼 재주도 없지만, 오늘도 고단한 일과를 마친 직장인들에게 수고하셨다는 한 마디를 전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건 언제쯤일까요? 대체로 어른들은 당신들의 이야기를 잘 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본 모습이 크게 남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묶여있었던 어느 시간대로 돌아가되 더 넓은 관점으로 그 시기를, 그때의 사람들과 만나는 얘기입니다. 문자 할머니의 이야기가 주축을 이루고, 아이들은 골목이 키운다는 말처럼 주인공과 친구 딸 사이도 친밀해집니다.

문자 할머니는 주인공 영두가 처한 상황을 제대로 바로잡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등 어른의 역할을 하십니다. 그러나 자아가 강한 중학생 시기였기 때문일까요? 두 번에 걸친 후의를 받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문자 할머니가 시미즈 마리코라는 이름으로 살았던 시절을 알게됩니다.

엇갈린 시간들이 아쉬웠습니다. 낙원하숙의 위치가 왜 거기였을지, 손잡이는 왜 유리조각이었을지 나중에 알게됩니다.

영화 <조선인 여공의 노래>를 본 후에 재일 한국인들이 꽤 많다는 걸 알게됐습니다. 옛날 일본 영화를 보기 시작하면서, 누구누구 배우가, 누구누구 감독이 재일교포일 것이다, 한국계일 것이다, 라는 얘기들이 심심치않게 언급됐습니다. 대만도 일본의 지배를 꽤 오래 받았는데, 대만에 사는 일본인이나 일본에 사는 대만인은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인생N회차라는 말도 있지만, 한번 뿐인 삶에서, 태어날 나라와 시기와 부모를 정할 수는 없습니다. 그저 오늘을, 이 순간을 살 뿐일 겁니다. 줌인, 줌아웃되듯 문자 할머니의 삶이 몇 줄로 요약되고, 영두의 외할머니와 만났던 그 순간 서로가 읽어낸 마음 덕분에 영두와 이어집니다.

문자 할머니가 돌아가시기 전에 영두와 다시 만났더라면 어땠을까 생각해봅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검정고시로 학력을 갖춘 영두의 삶은 여유가 없었을 거라는 건 알면서도, 그런 바램이 들었습니다.

아직 이 소설에 대해 정리가 잘 되지 않습니다. 사람들에 대한 섬세한 포착들이 전작보다는 밝아졌지만, 그래도 어둠 속에 홀로 견디는 모습들입니다. 아직은 낯선 느낌입니다. 조금 더 지나면 알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랜만에 다시 읽고 있습니다. 애니메이션도 앞부분을 보다가 중단했던 것 같습니다. 일본에서는 이 만화가 대단하다, 일본만화대상, 데츠카 오사무상 등을 수상했고 판매부수도 꽤 많았다고 합니다. 지난 해에는 실사 영화로, 올해는 넷플릭스 드라마로 제작됐습니다.

완결됐고, 훗카이도에 대해 관심이 있어 다시 읽고 있는데, 왜 만화를 ‘19세 이상’으로 분류하지 않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영화와 드라마는 청소년관람불가 등급입니다.

분명, 아이누족의 풍습이나 생활상 등 인류학적인 측면에서는 고증을 많이 하고 그린 만화이지만, 지나치게 잔인하고 수위를 넘는 전개와 표현들이 많이 나옵니다.

기본 스토리의 골격이 흥미롭고 다른 데서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아이누족에 대한 여러 가지에 대해 알 수 있지만, 연구 목적이 아니라면 별로 추천하고 싶진 않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권위를 이용하는 것도 중요해.
(...)
인간은 직함이 있는 사람이 하는 말을 맹목적으로 믿는 경향이 있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한한 일입니다.

오늘 읽고있는 두 책에서 ‘흰죽지참수리’, ‘흰죽지수리‘가 나옵니다.
아무런 공통점이 없어 보였던 책입니다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