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 지금 준비해야 할 문해력의 미래
김성우 지음 / 유유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정성 processivity˝은 거의 처음 들어본 것 같아요.
기억을 할 수는 없지만.

저는 인공지능의 광범위한 부상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결과가 과정을 삭제하는 경향 나아가 과정을 귀히 여기는 관점을 무시하는 습속의 강화라고 생각합니다. 무엇이든 잘 생성해 내면 어떤 과정을 거치든지 상관이 없으며 정성과 노동보다 고도화된 컴퓨팅을 우월하게 여기는 태도이지요. 앞서 사용항 용어를 쓰자면 생산성이 과정성을 집어삼키는 현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 지금 준비해야 할 문해력의 미래
김성우 지음 / 유유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잠 못 드는 밤이 아니더라도, 목적 없이 읽고 싶은 한두 페이지를 발견하기 위하여 수많은 책들을 꺼내어 쌓기만 하는 고독한 밤을 어떤 사람들은 알 것이다. 지식을 넓히거나 지혜를 얻거나 교훈을 찾는 따위의 목적들마저 잠재워지는 고요한 시간. 우리가 막연히 읽고 싶은 글, 천천히 되풀이하여 그리고 문득 몽상에 잠기기도 하면서, 다시 읽고 싶은 글 몇 페이지란 어떤 것일까?

- 장 그르니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 지금 준비해야 할 문해력의 미래
김성우 지음 / 유유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텍스트를 벼리는 일은 자신과 대면하는 것이고, 타인과의 관계를 상상하는 것이자, 글을 읽고 써내는 일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고민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이 만들어 낸 텍스트에는 수많은 텍스트의 파편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그 누구도 생성된 텍스트에 자신을 던지지 않습니다. 인공지능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는 수많은 연원에서 유래하고 때로 유려함을 자랑하지만, 자신의 존재를 걸고 윤리적으로 헌신하는 필자는 없습니다. 청산유수의 텍스트는 분명 인간릐의 언어이지만 그 안에는 인간이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바일(스마트폰)은 누구에게 도움이 되었나요?
전 세계 지구인들이 평등해지는 데 도움이 되었나요
혹은 빅테크라는 특종 기업과 창업자들이 국가를 초월하는 권력을 공고히 하고 거대한 부를 갖도록 했나요?

인공지능은 어떻게 활용이 될까요?
빅테크들의 권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혹은 새로운 세력이 부와 권력을 갖는데 도움이 될까요?
이러니 저러니 해도 공정한 기술로써 평등하게 활용할 수 있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각 기업들이 AI에 투자하는 건
미래 권력을 가시화하고 싶기 때문일겁니다.

각 개인의 삶에서는 AI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의 Z세대도 이전 세대에 비하면 외계인이겠지만, 어렸을 때부터 인공지능으로 지식을 습득한 알파세대들도 Z세대에게는 외계인들이겠지요. ㅎㅎㅎ

X세대에게는 M과 Z가 힘들었듯, M에게는 Z와 알파가, Z에게는 알파가 힘들겠지요. ㅎㅎㅎㅎㅎㅎ

일면 관찰의 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당신들에게도 어려운 시간이 올 수 있지 않을까‘하고 말하고 싶어집니다. ㅎㅎㅎㅎ

낀 세대가 될 수 밖에 없는 모든 직장인들에게 심심한 유감을 표합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상이 다양한 논의를 촉발하고 있지만, 좀처럼 논의되고 있지 않은 영역이 바로 언어를 통한 사회화 과정의 급격한 변화입니다. 최근 한 선생님에게 학생들이 인공지능을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가 "화를 내지 않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습니다. 부모님이나 선생님들은 두세 번만 연속으로 질문을 해도 회피하거나 짜증을 내는데, 인공지능은 절대 화를 내지 않고 묵묵히 ‘인내심을 가지고’ 답을 해 준다는 것이었지요. 그 학생들에게는 인공지능의 빠른 언어 생성과 높은 생산성도 중요했지만,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했다는 것이 더욱 중요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