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프리데”씨, 고맙습니다!

어떤 이유로 뱀에게 수백번 물리며 뱀독에 대한 항체를 갖게 됐는지 궁금합니다. 그의 몸에 생겨난 항체가 매해 몇 십만 명의 죽음과 장애를 극복하는 데 활용이 되겠지요. 다큐멘터리나 <세상에 이런일이> 같은 TV프로그램에서 다루었으면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기사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71466)

”2023년 세계보건기구(WHO) 발표에 따르면 해마다 180~280만 명의 사람들이 600종 이상의 독사에 물려 10만 명이 사망하고 30만 명 이상이 영구장애를 겪는다.

(...)

(미 콜롬비아대 피터 퀑 교수) 연구팀은 뱀의 신경독에 초면역 반응을 보이는 팀 프리데(Tim Friede)라는 사람을 발견하고 항체를 기증받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기증자는 약 18년 동안 16종의 독사에 수백번 물리기를 반복하며 독의 용량을 점점 증가시켜 자기면역화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기증자는 말처럼 큰 동물을 죽일 정도의 뱀독에도 면역을 보였다.“

* 이미 팀 프리데를 인터뷰 하거나 그에 대해 작성한 기사가 있어 추가합니다. ‘복리의 마법’에 대해 투자자들은 강조하며, 조금이라도 빨리 투자를 시작하라고 합니다. 다섯 살 때독이 없는 뱀에 물린 뒤 독학으로 뱀독 주입과 뱀에 물리기를 반복하고, 그 과정에서 죽음의 고비를 넘기며 수백 번의 실험을 온몸으로 견디며 항체가 만들어졌겠지요. 이것도 긴 시간이 주는 혜택이지 않을까 합니다.

조선일보 기사를 추가합니다.
(출처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5/03/DPBWIPT6KNDMLEU2UFD3MUUBMA/)

“프리드는 뉴욕타임스에 “평생 만날 일도 없을 8000마일 떨어진 사람들을 돕기 위해, 인생에서 뭔가 의미 있는 일을 할 수 있다는 게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