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 메모입니다.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아래 내용을 확인하지 않아도 됩니다.

몇 가지 확인할 점들을 메모합니다.
<제5장 공간 탄생>은 공간을 주제로한 소비 분석이 있어 재미있었어요.

1. ‘이용비중’은 금액 기준인지?
2. 2019년의 2030 중에서 2023년에 4050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콘텐츠 이용 비중은 어떻게 되는지? 콘텐츠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소비를 할거고 소득이 늘어난다면 소비 금액이 늘어나지 않을까?
3. 어떤 업종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해당 업종에 최소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 영화관에 가는 빈도가 줄긴 했겠지만, 소멸하고 있는지? 적절한 규모의 경제가 어느 정도로 유지되고 있는지?
4. 점심시간 결제가 빨라진 건 배달을 포함해서 그런 건 아닌지?
5.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미용실, 서점, 커피, 빵집 등등)는 선결제를 하면 혜택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용 비중에서 분리해서 봐야하지 않을까?
6. (p. 68) ‘생성형 AI 서비스 유료 이용 추이‘는 스케일이 표시되지 않아서 얼마나 늘었는지 짐작하기가 어려움. 유료 서비스가 출시됐으니 이용이 늘긴 늘었을텐데...
7. ‘실제 이용자의 후기를 살펴보면 처음에는 돈 낭비라고 생각했지만 금세 외주의 편리함과 자유에 중독되었다는 고백이 많다’ -> ‘의견이 많다’ 정도가 아닐까?
8. 편의점 브랜드 앱 소비가 증가한 것은 서비스가 늘었기 때문이 아닐지?
9. <커피 전문점 가맹점주 평균 연령>은 평균 월세와 같이 나왔으면 좋았을듯.
10. 배스킨라빈스 무인매장 ‘플로우‘가 오픈한다/했다는 기사는 많은데, 24년에 폐점한다는 기사는 다른 신문에는 없고 매경에 있네요. 무인매장 서비스는 지속 가능성을 봐야겠지요. 주로 정해진 품목과 서비스를 재공하는 형태는 지속하는 것 같아요. 문구점, 아이스크림이나 과자 판매, 프린트 가게 등. 개점 초기의 목표 달성 초과도 눈여겨 볼만한 내용이지만, 마케팅이나 새로움 관점에서 흥미를 보였을 가능성이 있어서 지속적으로 운영이 가능할 지는 조금 더 지켜보는 게 좋았을 것 같아요. 무인매장은 오히려 문구점으로 썼다면 어땠을지...
11. ‘인셍네컷’은 예전 스티커사진과 같은 거 같아요. 그렇다면 이름만 바뀔 뿐, 브랜드만 바뀔 뿐, 폴라로이드 사진 같이 즐거운 한 때를 기억하고 싶은 동일한 욕구는 변치 않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오래된 사진관이 인생네컷로 바뀐다기보다 스티커사진이 진화한 셈이라는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